ADVERTISEMENT

명성 높은 거장, 쟁쟁한 신예 한국무대 예약…코로나가 변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0면

올해 공연을 예고한 연주자와 연주단체. 독일의 명문 악단인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

올해 공연을 예고한 연주자와 연주단체. 독일의 명문 악단인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

지난해 코로나19로 취소됐던 공연들이 날짜를 다시 잡았다. 게다가 명성이 높은 거장, 쟁쟁한 신예들도 한국 공연을 새로 예고했다. 계획대로 된다면, 올해 클래식 음악회장에는 성찬이 차려진다. 2021년 공연 키워드 넷을 꼽았다.

2021 공연 키워드 네 가지 #오케스트라보다 독주자 위주 #백건우·조성진·조수미·정명훈… #한국인 연주자들 무대 줄이어 #코로나 상황 따라 조정될 수도

◆피아니스트의 향연=독주가 가능한 피아니스트들은 코로나19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잇따라 공연한다. ‘피아니스트의 해’라 할 만하다. 지난해 세 번 미뤄진 독주회를 시도하는 김선욱(이달 11일)으로 시작해 반 클라이번 콩쿠르 우승자인 선우예권(이달 26일)도 모차르트·쇼팽 프로그램으로 무대에 오른다. 지휘자 정명훈의 피아노 독주회도 4월 중 서울 예술의전당 대관 허가를 받았다.

헝가리 피아니스트 안드라스 쉬프. [중앙포토]

헝가리 피아니스트 안드라스 쉬프. [중앙포토]

원로 피아니스트들도 줄지어 내한한다. 우선 베토벤 해석의 권위자인 루돌프 부흐빈더(9월 18~19일)가 베토벤 협주곡 전곡(5곡)을 연주한다. 피아니스트의 ‘모범’인 세계적 연주자 안드라스 쉬프(10월 7일), 음악학자이자 뛰어난 즉흥연주자인 로버트 레빈(11월 11일), 러시아 음악의 대모인 엘리소 비르살라제(12월 2일), 연주력으로 세계에서 명성을 얻은 미하일 플레트네프(12월 4일)가 내한한다. 최근 연주가 뜸했던 77세의 넬손 프레이레(12월 10일)도 만날 수 있다.

신예들도 한국을 찾는다. 15세에 음반사 도이치 그라모폰과 계약을 맺어 주목받은 얀 리치에츠키(3월 31일), 잘츠부르크 음악제 등 유럽 공연장 섭외 1순위로 떠오른 이고르 레비트(5월 16일)가 방한 공연을 한다. 레비트는 잘츠부르크, 함부르크에서 호평 받은 베토벤 소나타들을 들려준다. 독특한 선곡과 해석으로 주목받는 비킹구르 올라프손(12월 9일)의 내한도 예정돼있다.

◆오케스트라 내한은 감소=대규모 오케스트라의 내한 소식은 줄었다. 코로나19 상황으로 수십명에서 100여 명 규모 단원들이 자가격리를 거치는 게 만만치 않아서다. 그래도 독일 음악의 상징적 악단인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3월 4~5일)가 브루크너·바그너로 한국을 찾을 예정이다. 미국·독일 음악계에서 실력으로 브랜드가 된 지휘자 안드리스 넬손스가 협연자 없이 오케스트라를 이끈다. 음악계의 오랜 ‘황제’인 지휘자 발레리 게르기예프도 마린스키 오케스트라(10월 30일)와 내한할 예정이다.

오슬로 필하모닉 지휘자 클라우스 마켈라. [사진 빈체로]

오슬로 필하모닉 지휘자 클라우스 마켈라. [사진 빈체로]

거대한 일류 오케스트라 내한은 적은 편이지만 ‘아이돌 급’ 지휘자들의 공연은 계획돼 있다. 지휘자 클라우스 마켈라는 1996년생으로 2년 전 22세일 때 100년 역사의 노르웨이 오슬로 필하모닉 상임 지휘자로 선임돼 지난해 취임했다. 해외 투어도 처음인 그는 오슬로필과 그리그·시벨리우스의 북유럽 레퍼토리를 선택했다. 6월 13일. 젊은 지휘자 세대교체의 또다른 주역인 로빈 티치아티(38)도 런던 필하모닉(10월 27일)을 이끌고 내한할 예정이다.

피아니스트 백건우. [중앙포토]

피아니스트 백건우. [중앙포토]

◆한국 연주자들의 약진=지휘자 사이먼 래틀은 베를린필의 디지털콘서트홀과 인터뷰에서 “코로나19로 가까운 로컬 연주자들이 주목받게 될 것”이라고 했다. 그 말처럼 국내 연주자, 한국 태생의 연주자들 무대가 올해 이어진다. 피아니스트 백건우는 바르토크 협주곡(3월 14일)으로 시작해 모차르트 프로젝트(7월 13일, 11월 3일)로 협주곡 연주를 예고했고 런던필(10월 27일)과 협연도 한다. 2005년 쇼팽 콩쿠르 동시 입상자인 임동민·동혁 형제(3월 3일)는 데뷔 후 처음으로 한 무대에서 듀오 연주를 연다. 바이올리니스트 클라라 주미 강은 바흐의 무반주 소나타와 파르티타 전곡(5월 31일)을, 피아니스트 김선욱과 함께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전곡(9월 12·14·15일)을 연주한다.

바이올리니스트 클라라 주미 강. [사진 빈체로]

바이올리니스트 클라라 주미 강. [사진 빈체로]

이밖에도 피아니스트 윤홍천(4월 16일),  김다솔(12월 9·16일), 바이올리니스트 조진주(4월 30일), 첼리스트 김민지(2월 25일), 김두민(10월 21일)을 만날 수 있다. 피아니스트 조성진은 마티아스 괴르네(4월 중)와 가곡 연주, 체코 필하모닉(10월 19일)과 협연을 예고했다. 소프라노 조수미는 데뷔 35주년을 맞아 이무지치 실내악단과 함께 12월 26일 내한한다.

◆관건은 자가격리=외국에서 입국하는 연주자들에게 관건은 2주 자가격리 규정이다. 지난해 11월 오스트리아의 빈 필하모닉은 자가격리를 고려해 한국 공연을 취소했지만, 당시 단기체류자에게 규정이 덜 까다로웠던 일본 공연은 진행했다. 2주동안 자가격리를 할 경우 일정 차질은 물론, 체류 비용 등이 추가된다.

한 공연 관계자는 “올해 공연 일정은 자가격리에 따른 비용과 기간을 고려하지 않고 일단 계획대로 발표했다”고 했다. 보통 해외 투어 공연은 2~3년 전 결정하기 때문에 정해진대로 계획을 발표했다는 뜻이다. 또한 아시아 지역이 최근 클래식에서 중요한 시장이 된만큼 투어 계획은 유지하고, 상황에 따라 부분 변동할 여지도 있다. 띄어앉기에 따른 티켓 판매 수입 감소도 변수다. 다만 한국에 있거나 한국 상황에 익숙한 연주자들의 경우에는 사회적 거리두기 규정을 준수하면서 열릴 가능성이 크다.

김호정 기자 wisehj@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