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2021 코로나 속 행복 찾기 7계명…정신과 의사의 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이경민 정신과 전문의의 제안 

위드 코로나 시대

위드 코로나 시대

한 70대 여성이 지병 진료를 위해 대형 병원을 찾았다. 이 노인은 정문으로 들어서기까지 연신 손에 든 세정 스프레이를 ‘칙칙’ 뿌려대며 발걸음을 옮겼다. ‘걸리면 죽을지 모른다.’ 공포에 휩싸인 노인의 모습은 코로나 시대를 살아가는 슬픈 현실이다. 코로나19 사태가 기어코 1년을 넘어 새해로 이어질 전망이다. 코로나와 함께 사는 ‘위드 코로나(with corona)’ 시대에도 우리는 행복을 기대할 수 있을까. 20년 넘게 정신과 전문의로 활동한 이경민 마인드루트 리더십랩 대표는 ‘그렇다’고 말한다. 세 아이를 키우며, 오늘도 화상 강의와 상담을 준비하는 이 대표가 말하는 ‘코로나 시대, 행복해지는 방법’을 정리해 봤다.

① 내게도 닥칠 수 있는(Why Not) 일=내가 얼마나 열심히 살아왔는데 왜 이런 일을 겪어야 해? 코로나19로 어려움과 불편을 겪는 많은 사람이 ‘하필 왜 나인지(Why me)’ 괴로워한다. 하지만 사람이 100년을 산다고 했을 때 한 번쯤은 역사적인 큰 사건을 맞이할 수 있다. 전쟁과 재난, 사고… 코로나를 겪는 우리도 그런 셈이다. 이미 닥친 위기를 부정하면 할수록 누군가에 대한 분노와 혐오가 생기고 책임을 돌릴 희생양을 찾는 데 에너지를 허비하게 된다. 일어난 일들을 가감 없이 ‘전적으로 받아들이는 일’이 행복의 기반을 다지는 첫걸음이다.

② 할 수 있는 것 찾기=코로나 같은 팬데믹 상황에선 내가 어쩌지 못하는 일과 내가 통제할 수 있는 일을 구분해야 한다. 전자가 코로나 확산이라면 후자는 주어진 환경에서 재택근무를 하고, 오프라인 사업을 온라인으로 돌리고, 부족했던 능력을 키우고 새로운 사업 구상을 하는 등의 노력이다. 중요한 건 막연히 상황이 나아지기를 기대하는 게 아니라 ‘최악을 예상하면서 최선을 기대하는 것’이다.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되 삶에 대한 의지를 보이는 ‘합리적 낙관론자’가 돼야 한다.

관련기사

③ ‘루틴’이 삶을 지탱한다=지금은 고인이 된 임세원 강북삼성병원 정신과 전문의는 생전에 만성 허리디스크로 고통을 겪었다. 칼로 찌르는 듯한 고통으로 자살 직전까지 갔다고 고백했던 그는 저서에서 말했다.

“도를 닦듯 제때 일어나고 세끼 밥시간에 밥을 먹고, 매일 나가는 직장이 없다면 아침에 도서관이나 주민센터 운동이라도 규칙적으로 가라. 이렇게 하루하루 견뎌 나가다 보면 정말 답답하고 괴로운 상황조차 마침내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이럴 때일수록 ‘나만의 일정한 생활’을 만들어 지키면 좋다.

④ 가족이 가족 같아졌다=혹자는 한국의 가족을 기업 같다고 한다. 아빠는 돈을 벌고, 엄마는 정보를 모으고, 아이는 부모의 투자를 받아 공부하는 등 각자의 역할과 임무를 수행하는 데 주력한다. 온 가족이 일주일에 한 번 같이 밥을 먹기도 힘든 집이 많았다. 하지만 코로나 사태로 좋든 싫든 ‘함께 부대끼며’ 살아가는 시간이 길어졌다. 삼시세끼와 육아를 챙기는 엄마나 아빠는 힘들다. 하지만 한편으론 근래에 가족끼리 이렇게 오래 가까이 있었던 시기도 없었다. 훗날 어쩌면 코로나가 준 선물로 기억될지 모르는 시간이다.

⑤ 자기계발? 버텨낸 것만으로 대단하다=유엔에서 트라우마를 겪은 난민을 돌볼 때 ‘버터플라이 허그’라는 심리치료법을 쓴다. 양손의 엄지손가락을 엇갈려 나비 모양을 만든 뒤 가슴에 대고 토닥토닥 두드리면 마음이 안정된다고 한다. 코로나19로 우리는 작은 잽을 너무 많이 맞았다. 이 기간에 취미를 찾고 공부하고 운동으로 멋진 몸을 만든 사람은 정말 훌륭하다. 하지만 이 모든 걸 하지 않았다 해도 그저 이 시기를 버텨낸 것만으로도 당신은 너무나 잘한 것이다. 일상을 이어가는 그 자체만으로 칭찬받고 축하받을 만하다. 손바닥을 가슴에 대고 토닥여주자. ‘올 한 해 정말 잘했어. 대견하다’고.

⑥ 나도 모르는 여러 명의 나, 들여다보기=우리는 이제껏 가정에서, 직장에서, 사적인 모임에서 ‘여러 모습의 나’로 살아왔다. 상황에 맞게 다른 사람으로 변신해 다양한 정체성을 표현하는 일명 ‘멀티 페르소나’에 익숙하다. 그러나 코로나 사태로 혼자만의 시간이 길어지면서 드디어 내가 가진 페르소나와 오롯이 독대할 기회를 갖게 됐다. 다양한 내 모습 중 어느 하나를 고르라는 게 아니다. 다양한 페르소나 중 ‘핵심(core)’이 뭔지 파악하고 집중해 보라는 얘기다. 내가 가장 좋을 때가 언제인지, 나에게 직장(또는 다른 것)이 정말 중요한지 등 흩어지고 분리됐던 나의 정체성을 정리하고 통합해 가는 과정이 늘어날수록 행복도 커진다.

⑦ 흘려보내는 행복을 움켜쥐라=행복도 ‘연습’이다. 연습할수록 커지고 잘 느껴진다. 한국인 중엔 의외로 ‘감정표현 불능증(Alexithymia)’이 많다. ‘좋다’는 말은 해도 ‘행복하다’는 말은 잘 못한다. 하지만 아무리 소소해도 좋은 감정은 모두 행복이다. ‘카르페 디엠’으로 많이 알려진 ‘오늘을 즐기라(Seize the day)’는 말처럼, 좋은 감정들을 무심코 흘려보내면 행복은 영영 느낄 수 없다. 마치 향기를 퍼뜨리고 와인을 음미하듯 좋은 기분을 낚아채서 최대한 ‘향유(savoring)’하는 게 행복의 지름길이다.

이경민 마인드루트 리더십랩 대표

이경민 마인드루트 리더십랩 대표

2021년 코로나 속 행복 찾기

①  ‘Why me’ 대신 ‘Why not ’
②  구체적으로 할 수 있는 것 찾아라
③  제때 자고 밥 먹고 … ‘루틴’을 지켜라
④  가족과 부대끼는 시간을 소중히 여겨라
⑤  “버틴 것만 해도 대단” 스스로를 토닥여라
⑥  여러 얼굴 중 진짜 나에게 귀 기울여라
⑦  행복도 연습해야, 누리고 표현해라

이소아 기자 ls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