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단독] 노영민 후임 부상 유영민, 지난주 靑 들어가 文 만났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문재인 대통령과 유 전 장관이 지난해 8월 청와대에서 국무회의 전 차담회를 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유 전 장관이 지난해 8월 청와대에서 국무회의 전 차담회를 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청와대와 정부의 인적 쇄신 작업이 2020년 말 숨 가쁘게 진행되고 있다. 청와대가 30일 공수처장 임명-법무부 장관 임명-청와대 핵심 참모진 사의 등을 순차적으로 진행한 데 이어 빠르면 신년 연휴 직후 신임 대통령비서실장을 발표할 예정이다. 새 비서실장으론 유영민 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부상하고 있다. 부동산값 폭등과 코로나 백신 지연 도입 논란, ‘추미애·윤석열 갈등’ 등의 난맥상을 돌파하기 위한 승부수라는 평가다.

청와대 보좌진 3명 동시 사의 왜 #국정 난맥상 돌파 위한 카드 분석 #여권 내부 “거취 결정 너무 늦었다” #비서실장 거론 유영민, 기업인 출신 #지난주 청와대서 문 대통령 만나

정만호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30일 브리핑에서 “노영민 대통령비서실장과 김상조 정책실장, 김종호 민정수석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국정운영 부담을 덜어드리고 국정 일신의 계기로 삼아 주기를 바란다는 의미에서 사의를 표명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국가적으로 어려운 시기에 대통령께서 백지 위에서 국정운영을 구상할 수 있도록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힌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숙고하겠다”며 사표를 즉각 수리하지 않았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사표 수리를 포함해 후임 문제는 (신년) 연휴를 지내면서 숙고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노 실장 후임으로는 현 정부 초대 과기정통부 장관이었던 유영민 전 장관이 검토되고 있다. 유 전 장관은 지난주 청와대에 들어가 문 대통령을 직접 만났다고 한다. 부산에서 자란 유 전 장관은 LG전자와 포스코 등에서 일한 기업인 출신이다. 2016년 문 대통령이 민주당 대표 시절 영입한 인재로 20대·21대 총선에서 부산 해운대갑으로 출마했지만 상대 후보인 하태경 의원에게 밀려 연이어 낙선했다.

노영민, 김상조, 김종호(왼쪽부터). [연합뉴스]

노영민, 김상조, 김종호(왼쪽부터). [연합뉴스]

관련기사

이날 동시에 사의를 표한 김상조 정책실장의 경우 이호승 경제수석이 정책실장으로 발탁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김종호 민정수석의 후임으로는 신현수 전 국정원 기조실장이 거론되고 있다.

당초 여권 내부에선 “노 실장의 거취 결정이 너무 늦었다”는 비판이 적지 않았다. 노 실장은 지난 8월 다주택 논란을 책임지겠다며 5명 수석과 함께 집단 사표를 냈지만, 정작 본인은 자리를 지켰기 때문이다. 리더십에 상처를 입은 노 실장이 이후 대통령 비서실을 4개월간 현안에 기민하게 대응하지 못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최근엔 코로나 백신·치료제와 관련해 동향(충북)·동갑인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과의 친분이 부각되면서 야당의 집중포화를 받았다.

김상조 정책실장을 사퇴로 몬 이슈 역시 부동산과 백신이었다.

익명을 원한 정부 고위 관계자는 이날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부동산 대책 발표 때마다 ‘곧 집값이 잡힌다’는 잘못된 전망을 문 대통령에게 지속해서 입력한 참모로 김 실장을 꼽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고 했다. 당초 김 실장이 주도했던 백신 태스크포스에 대해서도 “청와대가 초기에 손을 떼면서 일선 부처의 실무진만 남게 돼 제대로 작동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는 지적이 있었다.

김조원 전 민정수석에 이어 지난 8월 임명돼 재임 기간이 4개월에 불과한 김종호 민정수석도 함께 사의를 표명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윤석열 검찰총장 징계와 관련한) 여러 절차나 법무부가 진행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일들에 대해 주무 수석으로 책임을 진 것”이라고 했다. 이를 두고 “사실상 ‘윤석열 찍어내기’ 실패에 책임을 지고 물러나는 것”이란 해석도 나왔다.

문 대통령은 지난 16일 법무부의 윤 총장 징계안을 재가하며 “징계를 둘러싼 혼란을 일단락 짓고 법무부와 검찰의 새로운 출발을 기대한다. 검찰이 바로 서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했다. 하지만 지난 24일 행정법원은 문 대통령이 재가한 징계안을 무효화했고, 결국 문 대통령은 “인사권자로서 국민께 불편과 혼란을 드려 사과한다”고 했다.

강태화 기자 thka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