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기고] 극단선택, 그 바이러스의 백신은 무엇인가

중앙일보

입력

지난 2월에 시작한 코로나19가 연말이 되어도 물러가지 않고 있다. 국가와 국민 모두가 많은 비용과 희생을 감내하며 이 불청객을 몰아내기 위해 온 힘을 기울이고 있다. 이제 백신도 만들어져 보급되고 있으니 조만간 물러갈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그러나 오랫동안 우리 국민들의 소중한 생명을 빼앗고 있는 자살 바이러스는 언제 잡힐지 기약이 없다. 여러 가지 노력을 하고 있지만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 것 같다. 이제 우리는 긴급히 자살을 물리칠 사회적 백신을 만들어 내야 한다. 비록 비용이 많이 들지라도 자살예방 백신을 만드는데 우선순위를 두어야 할 때인 것 같다.

통계청(2020)에 의하면 2019년 한 해 동안 13,799명, 하루 37.8명이 자살로 사망하였다. 인구 10만 명당 26.9명이 자살하여 OECD 국가 평균 자살률의 두 배 이상을 기록한 것이다. 자살자뿐 아니라 자살시도자, 자살유가족 등 매년 약 20만 명 이상의 자살피해자들이 큰 고통을 받고 있다. 자살은 우리나라 사망원인 중 5위로써 중대한 사회적 질환 중의 하나가 되었다. 이제 자살은 암, 심장질환, 뇌혈관 질환, 폐렴과 같은 질환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되었다. 매일 지상 최고의 가치인 생명을 버리는 사람이 넘쳐나는 현상을 막기 위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그동안 정부와 많은 단체에서 자살률을 줄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특히 정부는 2018년 자살예방 국가행동계획을 확정하였고, 자살예방정책과를 신설하였다. 2019년에는 국무총리 산하 자살예방정책위원회를 구성하여 범부처적인 자살예방 대응전략을 수립하여 실행하고 있다. 또한 민간의 협력을 유도하기 위해 2018년 생명존중정책 민·관협의회를 구성했다. 민·관협의회는 6개의 정부 부처와 종교계, 노사단체, 언론계, 전문가 단체, 협력 단체 등 38개 기관 단체가 모여 자살예방에 적극 나서고자 구성한 협의체다. 민관협의회는 협력적 거버넌스를 통해 자살률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20년 코로나19로 집합모임을 갖기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협의회의 여러 단체들은 새롭고 창의적인 방법으로 자살예방 활동을 전개해왔다. 먼저 생명존중정책민관협의회 운영지원단은 ‘생명을 지키는 일 우리 모두의 책임입니다’라는 슬로건 하에 생명존중 실천 슬로건 공모전 당선작으로 제작된 마스크 캠페인을 벌였다. 직장인 자살예방을 위한 첫걸음‘이란 웹소책자를 제작하였고, 한국노총과 함께 ’40대 남성 수호대작전’과 ‘2030세대 오늘도 안녕하지 못한 그대에게’ 대상 유튜브 영상을 제작하였다.

종교계에서는 지난 해 발간한 6대 종단 자살예방지침서를 효과적으로 보급하기 위해 강의 영상을 제작, 배포하였다. 이 영상들은 생명존중정책민관협의회 유튜브 채널에서 시청할 수 있다. 또한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는 생명존중 자살예방 세미나를 개최하여 자살예방에 대한 적극적 저널리즘으로서의 언론의 역할을 모색했다.

생명존중 의식 확산을 위한 이러한 민간의 자발적인 노력들은 자살예방에 대한 우리의 사회적 자본이다. 여러 연구에서 사회 참여와 상호 신뢰, 사회적 네트워크와 지지 같은 사회적 자본이 자살 행동을 완화 또는 예방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사회적 자본은 우리 사회에서 자살의 절연체 역할과 자살 위험에 처한 사람들의 생명 싸개가 될 수 있다.

우리 사회를 위험사회 또는 불안사회라고 한다. 시민들이 과거에 비해 더 단절되고 분열되어 있기 때문이다. 점점 더 홀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사회적 유대감이 약해지면서 생기는 결과이다. 서로 믿는 신뢰 사회로의 복귀가 절실하다. 긴밀한 네트워크를 통해 사회적 보호망이 더 확충되어야 한다. 위기에 처했어도 혼자가 아니고 누군가가 보살펴 주는 사람이 있다는 안정감을 찾게 될 때 자살예방이 가능하지 않을까. 사회적 자본이야말로 자살의 백신이기 때문이다.

하상훈 한국생명의전화 원장

온라인 중앙일보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