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이겨도 김종인 공이겠냐” 그게 안철수 출마 떨떠름한 까닭

중앙일보

입력

“그게 외연 확장에 도움이 되겠습니까.”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24일 당 최고위 회의 뒤 서울시장 후보 단일화와 관련해 “국민의힘에 입당할 것이냐”는 기자들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반문이었지만 부정적인 뉘앙스가 더 강했다. 안 대표는 그러면서 “선거 승리를 위해 야권 단일 후보를 반드시 만들어야 한다. 어떻게 하면 외연을 확장해 선거에 보탬을 줄지 그 방법에만 모두 머리를 맞대자”고 강조했다. 후보 단일화는 해도 국민의힘 입당은 불가하다는 뜻으로 해석됐다.

안 대표 측 관계자는 "‘문재인 정부 싫어하는 사람 다 모이자’라고 해도 국민의힘 간판을 내세우면 외연 확장에 도움이 안 된다는 게 안 대표의 뜻”이라며 “지금 안 대표가 입당하면 안 대표도 죽고 국민의힘도 죽는다”고 말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24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오종택 기자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24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오종택 기자

이에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공식 입장을 내진 않고 있다. 다만 야권 단일화는 공감하나 제1야당이 구심점이 되어야 한다는 게 김 위원장의 기본 입장이다. 김 위원장은 안 대표 출마 선언 직후 당에 ‘대응 자제’를 지시했다.

특히 야권 단일화 과정이 김 위원장의 향후 정치적 입지와 직결된다는 관측도 적지 않다. 김 위원장과 친분이 있는 야권 인사는 이날 중앙일보와 통화에서 "김 위원장이 정치적 영향력을 지속하려면 ‘나 때문에 이겼다’는 평가가 필요하다”며 “그런데 안 대표 말대로 당 외부에서 단일 후보가 나오면 선거에 이겨도 김 위원장 공이 되겠는가"라고 전했다. 가능하면 김 위원장이 발굴하거나 띄운 인물이 서울시장이 되는 게 김 위원장 정치 행보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국민의힘에선 지난 주말 안 대표의 출마 선언을 기점으로 ‘당내 징발론’이 더욱 힘을 받는 분위기다. 특히 각종 여론조사에서 야권 선두를 달리는 나경원 전 의원, 오세훈 전 서울시장에 대한 당내 출마 의견이 많다. 유승민 전 의원에 대한 등판 요구도 여전하다. 현역 의원 중에선 윤희숙 의원도 부상 중이다.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장인 정진석 의원은 중앙일보와 통화에서 “우리는 우리 후보를 뽑는 스케줄대로 간다”며 “정당 지지도가 1등인 제1야당에 걸맞게 처신하겠다”고 말했다. tbs 의뢰로 리얼미터가 이날 발표한 ‘정당 지지도’에서도 국민의힘(33.6%)은 민주당(30.0%)을 앞섰다. 문재인 정부 출범 후 가장 높은 지지율이다.(※지난 21∼23일 만 18세 이상 1505명 조사.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 ±2.5%p)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주호영 원내대표가 지난 24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오종택 기자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주호영 원내대표가 지난 24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오종택 기자

후보 단일화 방식은 안 대표 스스로 “악마는 디테일에 있다”(21일 국민의당 회의)고 말할 정도로 예민한 뇌관이다. 크게 3가지로 ①안 대표 등이 입당해 국민의힘 경선에 참여하는 방식 ②국민의힘 최종 후보와 안 대표가 다시 당대당 결선을 치르는 순차 경선(박영선-박원순식 단일화 모델 등) ③처음부터 야권 플랫폼을 만들어 야권 후보들이 그 안에서 경선을 치르는 '빅텐트 모델' 등이다. 국민의힘 본경선(2차 경선)은 책임당원 투표 20%, 일반시민 여론조사 80%로 뽑기에 ①안은 안 대표 등 외부 인사에게 불리하다. 반면 ②·③안은 국민의힘이 반대한다.

국민의힘 일각에선 ‘외부인사 입당 후 100% 시민경선’도 제기한다. 국민의힘 당원에 우선권을 주지 않기에 당내 기반이 없는 외부 인사도 불리하지 않은 방식이다. 다만 안 대표측은 “당대당 결선이나 빅텐트 모델이 표 확장성에서 더 낫다”며 반대한다.

현재 국민의힘 소속 인사 중에선 김선동·이종구·이혜훈 전 의원과 조은희 서초구청장, 박춘희 전 송파구청장 등이 출마를 선언했다. 민주당은 우상호 의원만 출마선언을 하고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과 박주민 의원, 추미애 법무부 장관 등은 구체적인 입장 표명을 안 한 상태다.

현일훈·윤정민 기자 hyun.ilho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