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전국돌아 서울 '역풍선 효과'···압구정 현대 한달새 2억 뛰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최근 강남권 재건축 관련 단지 중심으로 서울 집값이 들썩이고 있다. 사진은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잠실동 일대 아파트단지. 연합뉴스.

최근 강남권 재건축 관련 단지 중심으로 서울 집값이 들썩이고 있다. 사진은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잠실동 일대 아파트단지. 연합뉴스.

서울 집값이 다시 꿈틀거리고 있다. 심해진 전세난이 집값을 밀어 올린 영향이다. 정부가 임대차 2법과 보유세 강화 등 온갖 규제를 쏟아냈지만 전국 집값은 올해 들어 6.7%(이달 21일 기준) 올랐다.

전국 집값 올들어 6.7% 올라 #풍선효과로 전국 돌아 서울로 #강남3구, 재건축 단지들 올라

24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2월 셋째 주(21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0.05% 올라 전주(0.04%)보다 상승률이 높아졌다. 서울 집값은 지난달 말부터 4주 연속 조금씩 상승 폭을 키우고 있다. 서울에서 가장 먼저 집값의 반등 신호를 켠 곳은 강남 3구(서초ㆍ강남ㆍ송파구)다. 송파구의 아파트값 상승률(0.1%)이 서울 평균의 2배로, 서초(0.09%)·강남구(0.08%)도 지난주보다 각각 0.03%포인트 더 올랐다.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한국부동산원의 부동산통계처 주택통계부 김진광 과장은 “최근 강남권은 재건축 이슈가 있는 단지 중심으로 아파트값이 올랐다”며 “특히 강남구 압구정동은 연내 재건축 조합을 결성하려는 움직임에 집값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2년 거주의무' 피해 조합 결성 움직임

일부 단지가 재건축 조합 결성에 속도를 내는 것은 지난 6ㆍ17대책 때 2년 이상 실거주한 재건축 조합원에게만 입주권을 부여하는 ‘2년 거주의무’를 피하기 위해서다. 내년 관련법이 시행되기 전에 조합설립 인가를 신청하면 2년 거주 의무가 면제되기 때문이다.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 8차(전용면적 107.6㎡)는 이달 2일 신고가인 27억5000만원에 팔렸다. 같은 크기 아파트가 한 달 전 25억원에 팔린 것보다 2억5000만원 뛰었다. 압구정동 한양 3차(전용 116.9㎡)는 지난 20일 29억원에 거래됐다. 직전 최고가(8월 28억원 매각)보다 1억원 더 올랐다.

서울 집값이 다시 들썩이는 데는 전국으로 규제지역이 확대된 영향도 있다. 서울을 누르자 경기도와 지방 집값이 튀는 식으로 풍선효과가 반복되면서 매수세가 전국을 돌아 다시 서울로 몰린 셈이다.

국토부는 지난 17일 부산 부산진 등 9곳을 포함해 전국 36개 지역을 조정대상지역으로 추가 지정했다. 현재 전국에 조정대상지역으로 묶인 곳만 111개에 이른다. 지방 아파트값은 0.37% 올랐다. 규제 영향으로 지난주(0.38%)보다 상승 폭은 줄었지만 5월 둘째 주 이후 7개월 넘게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11월 주택 매매거래량 26% 증가 

집값 불쏘시개인 전셋값 상승세도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이번 주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전주보다 0.3% 올라 68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서울(0.14%)을 비롯해 수도권(0.23%), 지방(0.37%) 등 전국 전셋값이 꾸준히 오르는 영향이 크다.

전세난이 심해지면서 전세 수요는 아파트 매매로 돌아서고 있다.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달 주택 거래량은 11만6758건으로 전달(9만2769건)보다 25.9% 증가했다. 최근 5년 평균치(8만6613건)와 비교해도 34.8% 늘어난 수치다.

부동산 시장 전문가들은 서울 집값 오름세는 단기간 이어질 수 있다고 봤다. 윤지해 부동산114 연구원은 “내년 서울 입주물량(입주자 모집공고 기준)이 2만호가량 준데다 집주인 실거주 요건이 강화돼 시장에 풀리는 물량이 많지 않을 것”이라며 “ 전반적인 공급 부족과 해소되지 않은 전세난이 매수세를 부추길 수 있다”고 봤다.

이창무 한양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정부가 주택 시장에 ‘주택을 충분히 공급한다’는 신호를 제대로 못 준 것”이라며 “결국 각종 규제에도 서울 집값만 올린 결과를 낳았다”고 지적했다.

염지현 기자 yjh@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