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사회적기업에 올해 1조5000억원 공급…내년엔 더 푼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공공부문과 시중은행들이 올해 사회적기업 등에 공급한 자금이 1조5000억원을 넘어섰다. 내년에는 공공부문에서만 5162억원의 자금을 공급한다.

금융위원회는 7일 올해 들어 3번째로 사회적금융협의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7월 대전시 유성구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2회 대한민국 사회적경제 박람회 전시관을 방문, 슈가클레이 수업을 참관하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7월 대전시 유성구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2회 대한민국 사회적경제 박람회 전시관을 방문, 슈가클레이 수업을 참관하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공공부문 자금 공급 4924억원…시중은행은 1조649억원 대출

중소벤처진흥공단·신용보증기금·한국벤처투자 등 공공부문에선 올해 10월까지 사회적 기업 2366개사에 자금 4942억원을 공급했다. 대출 1350억원, 보증 2808억원, 투자 784억원 등이다. 올해 설정한 목표액(4275억원)을 초과 달성했다. 지난해 전체 공급규모인 4600억원도 넘어섰다.

시중은행도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대출을 늘렸다. 올해 9월말 기준 대출잔액은 1조649억원으로 지난해 말(8498억원)보다 2151억원 증가했다. 은행별로는 기업은행(2832억원)이 가장 많았고 신한은행(2133억원), 농협은행(1399억원) 등의 순이다. 공공부문과 시중은행의 자금 공급 규모를 합치면 1조5573억원이다.

올해 10월까지 공공부문에서 집행한 사회적기업 등에 대한 자금 공급 규모. 2366개사에 4942억원의 자금이 공급됐다. 금융위원회

올해 10월까지 공공부문에서 집행한 사회적기업 등에 대한 자금 공급 규모. 2366개사에 4942억원의 자금이 공급됐다. 금융위원회

내년 5162억원 자금 공급…ESG 열풍에 민간 공급도 늘 전망

금융위는 내년에는 공공부문에서 5162억원의 자금을 공급하기로 했다. 올해 목표인 4275억원보다 20% 이상 증가한 금액이다. 우수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해서는 신용보증기금의 보증한도를 현행 1억~3억원에서 5억원으로 늘리기로 했다. 사회적경제기업 평가시스템의 이용도 늘린다. 해당 평가지표는 사회적 가치 영역(60~70%), 금융지원 타당성(30~40%) 등으로 사회적기업을 평가해 금융지원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시스템이다. 사회적 가치 영역에는 기업철학, 참여·배려 및 연대, 사회적 가치 지향, 사회 환원 등의 항목으로 구성됐다.

시중은행들이 사회적기업 등에 진행한 대출 규모. 올해 9월말 기준 대출잔액은 1조649억원으로, 전년도 대출 잔액(8498억원)보다 2151억원 증가했다. 금융위원회

시중은행들이 사회적기업 등에 진행한 대출 규모. 올해 9월말 기준 대출잔액은 1조649억원으로, 전년도 대출 잔액(8498억원)보다 2151억원 증가했다. 금융위원회

내년에는 시중은행들의 자금 공급도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각 은행은 경영목표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내세우고 있다. 일부 은행의 경우 일반 기업 대출 대비 사회적기업 대출 비율을 평가 항목에 넣는 등 사회적기업에 대한 대출을 장려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지원 규모 부쩍 늘어…절반은 적자 기업

정부가 사회적기업에 대한 자금 공급에 공을 들이는 건 문재인 정부 출범 후다. 문재인 정부는 100대 국정과제로 사회적 경제 활성화를 넣고 관련 금융지원 등을 장려하고 있다. 사회적기업을 육성해 취약계층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 주요 목표다. 지난 2018년에는 '사회적 금융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고 정부와 공공부문의 금융 공급을 확대 계획을 밝혔다. 실제 공공부문 자금 공급은 1937억원(2018년)→4600억원(2019년)→4942억(2020년 10월) 등으로 매년 자금 공급이 늘고 있다.

사회적기업에 대한 대출 규모 등 각종 지원은 늘어나고 있지만, 사회적기업 중 절반가량은 적자로 나타난다. 지난 2017년 기준으로 영업이익을 보고한 사회적기업 1825개 중 817곳(44.8%)이 영업손실을 봤다. 금융권 관계자는 "시중은행들의 대출은 늘어나고 있지만, 대출 때 필요한 리스크 평가 절차를 거치는 데다, 신용보증기금 등의 보증을 받아 진행하는 곳이 많아 부실 우려는 크지 않다"고 말했다.

안효성 기자 hyoz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