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주변은 17억, 우리는 4억···‘로또분양 지름길’ 로또전세의 부활

중앙일보

입력

안장원의 부동산 노트’ 외 더 많은 상품도 함께 구독해보세요.

도 함께 구독하시겠어요?

서울 서초구 반포동 한강 옆 아크로리버파크. 전용 84㎡ 전셋값이 20억원까지 올라갔다. 이 단지 내 전셋값이 14억원선인 59㎡의 장기전세주택 전세보증금은 6억원대다.

서울 서초구 반포동 한강 옆 아크로리버파크. 전용 84㎡ 전셋값이 20억원까지 올라갔다. 이 단지 내 전셋값이 14억원선인 59㎡의 장기전세주택 전세보증금은 6억원대다.

 서울 강남권 신도시인 위례신도시에 아파트를 분양받아 내년 입주 예정인 김모(52)씨. 지난해 분양 때 분양가가 주변 시세보다 3억원가량 저렴해 경쟁률이 50대 1을 넘었다. 김씨는 15년 이상 무주택자로 자녀 둘을 둬 청약가점 69점으로 당첨됐다. 지금은 주변 시세가 더 올라 분양가와 10억원까지 차이 난다. 그는 “시세보다 훨씬 저렴한 장기전세주택에 살다 보니 오랫동안 무주택을 유지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안장원의 부동산노트] #중산층 겨냥 장기전세주택 #11·19 전세 대책에서 부활 #재정 부담, 금수저 등 논란

‘로또 분양’ 당첨의 발판이 된 장기전세주택에 김씨는 2008년 입주했다. 당시 1억2000만원대였던 전세 보증금은 현재 1억6000여만원이다. 12년간 30% 올랐을 뿐이다. 김씨가 사는 집과 크기가 같은 주변 아파트의 보증금 시세는 5억원 선이다.

전셋값이 급등하고 분양시장의 로또가 커지면서 ‘로또 전세’가 주목받고 있다. 집값이 치솟던 2007년 당시 오세훈 시장이 맨 처음 도입한 장기전세주택(시프트)이다. 공급이 끊길 뻔하다가 정부가 지난달 전세대책에서 이와 유사한 ‘중형임대’를 도입하기로 하면서 다시 관심을 끌고 있다.

오세훈 시장의 장기전세주택 정책은 이명박 정부가 넘겨받아 2009년 법으로 만들어졌다. 이는 기존 임대주택과 달리 중산층을 겨냥해 집 크기를 60㎡(이하 전용면적) 초과로 넓혔고 주변 시세의 80% 이하에서 최장 20년간 거주할 수 있는 전세형 임대주택이다.

13년새 전세보증금 30% 상승

장기전세주택의 전셋값 인하 효과는 시간이 지나고 전셋값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증폭됐다. 처음 공급한 2007년 4월 이후 현재까지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평균 80% 뛰는 동안 장기전세주택 보증금은 2년에 5% 정도씩 30% 넘게 오르는 데 그쳤다. 인기 단지의 격차는 훨씬 크다.

2009년 2월 3억원에 나온 서초구 반포동 반포자이 84㎡ 보증금이 지금 4억1000만원이다. 같은 기간 이 아파트 같은 크기의 일반 전셋값은 3억9000만원에서 16억원으로 치솟았다. 가장 비싸게 실제 거래된 전셋값이 17억원이다. 장기전세주택 보증금이 주변 시세의 반의반 값인 25%로 13억원 저렴한 셈이다.

2015년 5억6000여만원에 들어간 강남구 대치동 래미안대치팰리스 59㎡ 장기전세주택 세입자가 현재 6억원에 살고 있다. 같은 크기 전셋값이 13억원까지 거래됐다. 2013년 초 2억원에 공급한 강남보금자리지구 59㎡ 장기전세주택 보증금이 지금 2억2000여만원이다. 같은 지구 59㎡ 일반 전셋집의 최고 거래금액이 7억2000만원이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장기전세주택에서 오랜 시간 동안 전셋값 걱정 없이 살면서 청약가점이나 청약저축 납입액을 쌓았다가 '로또 분양'을 받아 나간 세입자가 적지 않다"고 말했다. 다만, 갖고 있던 집을 팔고 늦게 장기전세주택에 들어갔다가 최근 몇년간의 집값 상승세를 놓쳐 후회하는 경우도 있다.

최초 공급시기가 장지지구 2007년, 반포자이 2009년, 래미안대치팰리스 2015년. 자료: 서울도시보증공사

최초 공급시기가 장지지구 2007년, 반포자이 2009년, 래미안대치팰리스 2015년. 자료: 서울도시보증공사

3만 가구로 공급 줄어…SH는 빚더미

‘로또 전세’의 이면은 복잡하다.장기전세주택 공급이 당초 의욕과 달리 급감했다. 시세보다 낮은 가격에 임대하다 보니 관련 공공기관이 떠안게 된 빚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2008년 9월 이명박 정부가 분양가를 확 낮춘 보금자리주택을 도입하면서 “’장기전세형 주택’을 서울 등 도심에 10만가구 공급하겠다”고 밝혔지만 서울에서 지난해까지 서울주택도시공사(SH)가 지어서 공급한 물량이 2만7000여가구다. 재건축 매입형을 합치면 3만가구다. SH가 지은 장기전세주택 공급은 2017년 이후 거의 끊겼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강남·서초·고양원흥 보금자리지구와 경기도 하남시 미사지구 등에서 1900가구만 공급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새로 짓는 장기전세주택 공급을 중단하고 이미 계획돼 있는 남은 물량만 세입자를 모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주변 시세보다 훨씬 저렴하게 공급하면서 사업성 악화가 발목을 잡았다. SH에 따르면 누적 적자액이 1조4000억원에 달한다. 장기전세주택에 대한 국고 지원이 없는 데다 적자와 함께 공공기관 부채비율이 올라가 부담이 컸다. 정부가 11·19 전세대책에서 도입하기로 한 중형임대도 논란에 직면하며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정부는 지난달 19일 발표한 전세대책에서 60~85㎡ 중형임대를 2023년까지 3만3000가구, 2025년 이후 연간 2만 가구씩 공급하겠다고 했다. 소득 기준을 중위소득 130%에서 150%로 완화한다. 맞벌이 신혼부부는 180%까지 가능해 연 소득 1억원도 자격이 될 것 같다. 임대료를 소득과 연계해 주변 시세 대비 임대료 비율을 중위소득 100~130%는 80%, 130~150%는 90%로 책정한다. 임대 가능 기간이 현행 장기전세주택보다 10년 더 늘린 30년이다.

서민 주거안정에 집중해야 할 나랏돈을 중산층으로 확대하면 서민이 피해를 보지 않느냐는 우려가 나온다. 임재만 세종대 교수는 “중산층을 포괄하는 정부의 중형임대 도입으로 주거 취약계층 임대 물량이 줄어서는 안 된다”며 “전체적으로 임대주택 물량 확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중산층이 저렴한 전셋집에서 청약가점 등을 쌓아 로또 분양을 받으면 ‘이중 특혜’이라는 비판도 있다. 허윤경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많은 임대주택을 한꺼번에 공급할 수 없어 일부가 로또식 혜택을 독점해 사회 갈등으로 번질 가능성이 있다”며 “임대주택 거주 중 청약저축액이나 청약가점을 확보해 로또 분양시장으로 이동하는 이중 혜택 문제도 있다”고 말했다.

중형임대

중형임대

중산층용 임대주택은 공공이 개입하기보다 공공지원 민간임대 등 기존 민간임대주택제도를 활용하는 게 효율적이라는 주장도 있다. 이현석 건국대 교수는 “공공은 서민 주거안정에 주력하고 중산층을 흡수할 수 있는 임대주택은 민간에 맡기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고가 보증금 '금수저' 논란 

정부의 고가 전셋집 지원과 ‘금수저’논란도 불가피하다. 대치동 래미안대치팰리스 등에서 84㎡ 전셋값이 20억원까지 치솟았다. 정부가 중위소득 130~150%에게 주변 시세의 90%로 임대하면 보증금이 18억원인 셈이다. 18억원을 보증금으로 낼 능력이 있는 계층에 정부가 지원하는 게 맞느냐는 것이다.

중위소득 150%라 하더라도 강남의 고가 전세보증금을 자력으로 감당하기 어려워 부모 등 가족의 도움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금수저만 혜택을 볼 수 있는 셈이다. 박원갑 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중산층 수요가 많은 도심에 얼마나 많은 양을 공급할 수 있을지도 관건"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정한 선도사업장 6곳에 서울 도심은 들어가 있지 않다.

안장원 기자 ahnjw@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