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볼수록 좋구나, 큰스님과 미술사 대가 ‘팔순의 그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0면

성파스님의 칠화는 불교미술과 민화에 뿌리를 두고 있으면서도 현대적인 해석을 곁들인 것이 특징이다. 모두 옻판에 옻칠로 완성했다.

성파스님의 칠화는 불교미술과 민화에 뿌리를 두고 있으면서도 현대적인 해석을 곁들인 것이 특징이다. 모두 옻판에 옻칠로 완성했다.

경남 양산 통도사에 수행하며 예술혼을 불태우는 큰 스님 한 분이 있다. 영축총림 통도사 방장 성파(81)스님이다. 옻나무에서 추출한 옻액과 오방색의 채색염료로 그림을 그려온 스님은 2014년 서울 인사동 한국미술관, 2017년 경남도립미술관에서 대규모 전시를 연 바 있다. 지난여름엔 통도사 성보박물관에서 ‘옻칠민화 특별전’을 열어 작품 100여 점을 선보였다.

11일부터 나마갤러리 ‘지음지교’전 #정양모 전 박물관장, 통도사 성파 #도자기 그림 29점, 옻칠화 17점 #거장의 손길로 우리문화 멋 그려

성파스님의 칠화는 불교미술과 민화에 뿌리를 두고 있으면서도 현대적인 해석을 곁들인 것이 특징이다. 모두 옻판에 옻칠로 완성했다.

성파스님의 칠화는 불교미술과 민화에 뿌리를 두고 있으면서도 현대적인 해석을 곁들인 것이 특징이다. 모두 옻판에 옻칠로 완성했다.

지난 8월 초 통도사를 찾은 소헌(笑軒) 정양모(86·백범김구기념사업회장)전 국립중앙박물관장은 작품을 보고 또 들여다보며 쉽게 자리를 뜨지 못했다. 지난 10년간 종종 만나온 성파스님의 두 손을 꼭 잡고 이렇게 말했다. “스님, 제가 가을에 서울서 전시를 엽니다. 스님 작품을 함께 보여주면 좋겠습니다.” 성파스님은 “관장님께서 그리 말씀하시면 같이 하겠습니다”하고 흔쾌히 대답했다.

서울 돈화문로 나마갤러리에서 정 전 관장과 성파스님이 함께 참여하는 특별기획전 ‘지음지교 (知音之交)’가 11일 개막한다. 평생 다른 길을 걸어온 80대 두 거장의 각각 성격이 다른 작품을 한자리에서 보여주는 독특한 전시다. ‘국립중앙박물관의 산 역사’‘한국미술의 산증인’라 불리는 정 전 관장은 도자기 위 붓으로 그린 그림 29점을 선보이고, 성파스님은 칠화 17점을 선보인다. 성파스님의 출품작은 정 전 관장이 골랐다. “성파스님의 작품 중 특히 상상력과 독창성이 두드러지는 작품으로 골랐다”고 했다.

성파스님과 정양모 전 관장. [사진 나마갤러리]

성파스님과 정양모 전 관장. [사진 나마갤러리]

정 전 관장은 한국 도자기 연구에서 최고 권위를 지닌 미술사학자다. 국립경주박물관장을 두 번 역임하고 국립중앙박물관장(1993.3~1999.12)을 지내는 등 1962년부터 99년까지 박물관에서만 38년을 근무했다. 이번 전시는 2015년 그의 팔순 잔치를 겸해 제자들이 기획한 희묵전(戱墨展)에 이은 두 번째 전시다. 정 전 관장은 “저는 작가도 아니고, 제 것은 작품이랄 것도 없다”며 “평생 도자기 등 우리 문화재를 접하며 보고 기억에 남은 것들을 끄적인 것”이라고 말했다. 도예가인 아들 정진원 국민대 교수가 만든 도판과 도자합 위에 정 관장은 그림과 글로 우리 문화 이야기를 풀어놓았다.

정양모 전 국립중앙박물관장은 38년간 박물관에서 일하며 보았던 것을 그림과 글로 풀었다. 백자합은 아들인 도예가 정진원 교수의 작품이다.

정양모 전 국립중앙박물관장은 38년간 박물관에서 일하며 보았던 것을 그림과 글로 풀었다. 백자합은 아들인 도예가 정진원 교수의 작품이다.

그림 29점 중 부귀영화를 상징한다는 ‘모란’ 그림이 6점이나 된다. 정 전 관장은 “한국의 문양 중 모란이 으뜸”이라며 “가장 많이 그려졌고, 놀라울 정도로 다양하게 표현됐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선조들은 디자인에 천재적인 소질이 있어 꽃잎을 탐스럽게도, 추상적으로도 표현했다.”고 말했다.

정양모 전 국립중앙박물관장은 38년간 박물관에서 일하며 보았던 것을 그림과 글로 풀었다. 백자합은 아들인 도예가 정진원 교수의 작품이다.

정양모 전 국립중앙박물관장은 38년간 박물관에서 일하며 보았던 것을 그림과 글로 풀었다. 백자합은 아들인 도예가 정진원 교수의 작품이다.

‘15세기 분청사기에 그려진 견공’은 수십 년 전 모 유명 인사가 감정을 의뢰한 기억을 떠올리며 그린 작품이다. 그는 “수만 개의 도자기를 보았지만 도자기의 견공 그림은 그때가 처음이자 마지막이었다”고 했다. 또 조선시대 최고급 백자를 생산한 경기도 광주 분원리 마을 그림엔 “우리 민족의 자존심인 분원리 가마터를 우리가 보존하지 못한”데 대한 안타까움을, 사방탁자 등 문방 그림엔  “공간 구성과 면 분할에서 탁월한 조형미를 보여주는 목기”에 대한 자부심을 표현했다. 정 전 관장은 “우리에겐 중국·일본과는 확연히 다른 미감이 있다. 자연스럽고 담담한 데서 우러나오는 아름다움과 품격을 잊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했다.

정양모 전 국립중앙박물관장은 38년간 박물관에서 일하며 보았던 것을 그림과 글로 풀었다. 백자합은 아들인 도예가 정진원 교수의 작품이다.

정양모 전 국립중앙박물관장은 38년간 박물관에서 일하며 보았던 것을 그림과 글로 풀었다. 백자합은 아들인 도예가 정진원 교수의 작품이다.

성파스님의 칠화 작업은 민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소재와 표현을 자유럽고 풍부하게 한 것이 특징이다. 정 전 관장이 “민화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그 어디서도 볼 수 없는 성파스님만의 작품”이라고 소개하는 이유다.

성파스님은 “옛 속담에 ‘꿈에서 스님만 봐도 옻오른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옻칠은 사찰문화와 밀접했던 전통공예기법”이라며 “그러나 이게 사찰에서도 사라지고 있었다.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고 오히려 그 색이 더 살아나는 칠 문화의 소중한 맥을 이어야 한다고 생각해왔다”고 말했다. 작품에 대해선 “처음엔 민화의 틀 안에서 그렸지만, 나중엔 상상력을 보태며 마음 가는 대로 그린 것”이라고 소개했다. 정 전 관장이 꼽는 성파의 ‘걸작’은 ‘미륵존’이다. 정 전 관장은 “큰 스님이 생각하는 미륵보살이 이 그림에 다 표현돼 있다. 볼수록 참 좋은 그림”이라고 말했다.

정종효 부산시립미술관 학예실장은 “스님의 칠화 작업은 전통의 흐름을 이으면서도 한국화의 새로운 경지를 개척하는 여정”이라며 “스님의 칠화는 기존 민화에서 볼 수 없었던 화려하면서도 중후한 색감, 스님만의 감각으로 자유자재로 풀어놓은 조형성이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박주열 나마갤러리 대표는 “정 전 관장이 17점을 고른 뒤 스님께 더 보탤 작품을 여쭸더니 중국 진나라 거문고의 달인 백아와 그의 거문고 소리를 알아주던 종자기의 지음지교를 말씀하시며 티끌 하나도 더할 게 없다고 하셨다”면서 “성파스님 작품은 판매하지 않지만, 우리 문화의 아름다움을 차분하게 전하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전시는 30일까지.

서울·양산=이은주 문화선임기자 jule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