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바이든 ‘탄소 제로’ 약속, K배터리·전기차 ‘큰 장’ 온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1면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 - 한국산업 영향 

조 바이든 당선인

조 바이든 당선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친환경·그린에너지 정책에 따라 한국 완성차·배터리 업체는 운신의 폭이 넓어질 것으로 관측된다. 바이든 당선인은 2조 달러 규모의 친환경 인프라 투자 계획을 밝히는 등 친환경 관련 정책에 힘을 쏟고 있다. 바이든 당선인은 4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에 미 대통령이 되면 트럼프 정부가 탈퇴했던 파리기후협약에 복귀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친환경에 2조 달러 투자 공약 #전기차·자율차 시장 급성장 예고 #중국 배터리는 발목, 한국 3사 기회 #차부품·철강은 계속 고전 전망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말뚝 박아 놓은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한 규제 조처도 이어질 것으로 보여, 국내 자동차부품과 철강업계는 계속 고전할 전망이다. 바이든의 선거 슬로건은 ‘미국 내에서의 생산(Made in All of America)’이었다. 미국 내 공장에서, 미국인 근로자가 만들어낸 제품이 더 많아지도록 정책 수단을 쓰겠다는 취지다.

①‘K배터리’ 업체에 호재=바이든의 친환경 정책은 LG화학·삼성SDI·SK이노베이션 등 이른바 ‘K배터리’ 업체에는 호재다. 미국의 친환경차 판매 비중은 상대적으로 적다. 올 8월 미국에서 팔린 전기차는 2만8317대로 전체 판매 자동차의 2.1% 선이다. 반면에 중국은 5.4%(9만3297대), 유럽은 11%(9만7482대)에 이른다. 그만큼 미국에서 전기차 시장이 성장할 가능성도 크다는 얘기다.

연간 누적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연간 누적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관련기사

미국에 대규모 공장을 지을 수 있는 업체는 LG화학·삼성SDI·SK이노베이션 등 국내 3사와 일본 파나소닉, 중국 CATL 정도다. 하지만 일본 파나소닉은 테슬라와의 거래에 집중하고 있고, 중국 CATL은 미·중 무역 분쟁으로 발목이 잡혀 있다. 한국 배터리 3사에 가장 큰 기회가 열리는 셈이다. 이는 주가에도 반영됐다. 지난 2일 주당 12만2500원이던 SK이노베이션의 주가는 6일 14만1500원으로 15.5% 올랐다. 같은 기간 62만3000원이던 LG화학의 주가 역시 72만원(15.6% 상승)이 됐다.

② 전기차도 기회 “미국서 밀리면 타격”=바이든 당선인은 2050년까지 탄소 배출 ‘제로’를 공약으로 내걸었다. 현대·기아차는 2021년을 ‘전기차 원년’으로 삼고, 내년부터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를 적용한 신차를 잇따라 선보일 계획이다. 이항구 한국자동차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단기적으론 기회다. 미국에서 전기차 등 친환경 차에 대한 수요가 늘며 시장이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송기호 국제통상 전문 변호사는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산업에서 미국과 협의해 국제규범을 도출하는 게 우리 입장에선 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1~9월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점유율.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1~9월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점유율.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현대·기아차가 뚫어야 할 난관도 있다. 이항구 연구위원은 “기존 전기차 강자인 테슬라와 미국 완성차업체 GM, 독일 3사 등 전 세계 모든 자동차 메이커가 미국에서 더 치열하게 경쟁할 것”이라며 “미국에서 밀릴 경우 테슬라는 물론 중국 전기차 브랜드에도 뒤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대·기아차는 올해(1~9월) 글로벌 시장에서 12만7661대의 전기차를 팔았지만, 미국 시장에선 4242대 파는 데 그쳤다.

③철강 “기존 규제 유지될 것”=트럼프 시절 맞은 철강 반덤핑관세 등은 바이든 시대에도 유효할 것으로 관측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6월 무역확장법 232조를 바탕으로 한국산 열연강판에 대해 반덤핑 관세를 부과했다. 한국이 중국산 철강의 우회 수출국으로 이용되고 있다는 게 근거였다. 통상 전문가들은 바이든 행정부와 민주당이 단기간에 이 법안의 수정에 나서지 않을 것으로 본다.

홍종호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에너지·환경 부문 미국시장이 확대되면서 국내 기업의 기회도 늘어날 것”이라며 “업계가 경쟁력을 키울 수 있도록 국내 그린뉴딜 정책과 연계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영주·이수기 기자 humanest@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