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저우언라이는 현대 중국의 마지막 스예(師爺·선비)였다”

중앙일보

입력

 『저우언라이 평전』 책표지 [민음사]

『저우언라이 평전』 책표지 [민음사]

 『저우언라이 평전』
정종욱 지음
민음사
362쪽
1만6800원

마오쩌둥과 비대칭 관계 뿌리는 주군과 선비 #군사위 부주석으로 한국전쟁 참전 깊이 간여 #북, 함흥에 유일한 외국지도자 저우 동상 세워 #당 특무조직 행동대장과 피의 복수 엮이기도

북한 함흥의 흥남 비료공장 앞에는 저우언라이(周恩來)의 동상이 서있다. 김일성 부자 동상만 넘치는 북한에서 유일한 외국인 지도자 동상이다. 1958년 2월 저우의 함흥 방문을 동행했던 김일성의 배려다. 함흥에는 당시 한국전에 개입했던 중국 주둔군 본부가 위치했다. 58년 저우는 함흥을 찾아 중국군 철수를 매듭지었다.

1958년 2월 17일자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1면. 중국 인민지원군의 북한 사령부 방문을 위해 함흥을 방문한 저우언라이와 김일성 일행의 기사와 사진이 실렸다. [인민일보 캡처]

1958년 2월 17일자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1면. 중국 인민지원군의 북한 사령부 방문을 위해 함흥을 방문한 저우언라이와 김일성 일행의 기사와 사진이 실렸다. [인민일보 캡처]

1972년 3월 7일 닉슨 미국 대통령의 방중 1주일 뒤 저우는 다시 평양을 방문했다. 미·중 데탕트에 당시 사회주의 국가였던 베트남과 알바니아는 중국을 배신자라고 비난했다. 북한은 달랐다. 키신저 효과였다. “닉슨이 재선되면 임기 전 한반도에서 미군이 모두 철수할 수도 있다.” 저우는 키신저의 말을 김일성에게 직접 전했다. 다시 1975년 4월, 김일성은 베이징에 1주일간 머물렀다. “잃을 것은 군사 분계선이요, 얻는 것은 통일”이라며 제2의 남침에 중국의 동참을 요구했다. 말년의 마오쩌둥(毛澤東)과 저우는 반대했다.

지난 2008년 3월 저우언라이 탄생 110주년을 기념해 주북한 중국대사관, 함경남도 인민위원회 및 화교들이 보낸 화환들이 동상 앞에 서있다. [신화사]

지난 2008년 3월 저우언라이 탄생 110주년을 기념해 주북한 중국대사관, 함경남도 인민위원회 및 화교들이 보낸 화환들이 동상 앞에 서있다. [신화사]

이 책이 파헤친 끈끈했던 저우와 북한 관계의 몇 장면이다.
저우는 당 중앙 군사위 부주석으로 한국전에 깊숙이 간여했다. 6·25 발발 한 달 전 김일성은 베이징을 찾았다. 스탈린의 지시였다. 마오와저우를 만난다. 언쟁이 오갔다. 김일성은 스탈린이 남침 계획을 승인했다고 강조했다. 저우는 그날 밤 로시친 소련 대사를 불러 따졌다. 중국과 상의도 없이 일방적으로 승인한 데 대한 노골적 불만이었다. 이튿날 스탈린은 중국이 반대하면 김일성의 남침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단 중국은 뒤집을 힘도, 의사도 없었다.

연합군의 반격으로 전황이 급변했다. 중국이 개입을 결정한 사흘 뒤인 10월 8일 저우는 소련으로 향했다. 참전의 전제 조건인 소련의 공군 지원을 보장받기 위해서였다. 스탈린은 지원을 거부했다. 12일 저우의 전보를 받은 마오는 주저했다. 그래도 중국이 참전하면 미군이 진격을 멈출 것으로 예단했다. 출이부전(出而不戰)을 노렸다. 미군 아닌 한국군을 첫 공격 대상으로 삼은 이유다. 최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강변한 미국의 침략에 맞서 북한을 도왔다는 북·중 ‘항미원조’ 논리의 실상이다.
저우언라이는 3대 주중대사를 역임한 저자에게 평생의 화두였다. 왜 저우는 “인민의 소가 아니라 마오의 소”라는 비판에도 굴욕을 감내했을까. “저우는 현대 중국의 마지막 스예(師爺)였다.” 저자가 찾은 해답이다. 저우언라이 집안은 대대로 스예를 지냈다. 막우(幕友)로도 불린 스예는 조선의 아전·서리와 같은 지방의 정치 자문역이었다. 일종의 직업 선비다. 선비는 주군을 따라야 했다. 마오와 저우의 비대칭 관계의 뿌리다. 1935년 쭌이(遵義) 회의에서 최고 지도부였던 저우는 하급자 마오의 일인자 등극을 도왔다. 1976년 숨질 때까지 저우에게 마오는 왕과 같은 존재가 됐다.

1958년 북한에 주둔중이던 중국 인민지원군 철수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평양공항에 도착한 저우언라이(왼쪽) 중국 총리를 김일성(오른쪽) 북한 수상이 영접하고 있다. [트위터 캡처]

1958년 북한에 주둔중이던 중국 인민지원군 철수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평양공항에 도착한 저우언라이(왼쪽) 중국 총리를 김일성(오른쪽) 북한 수상이 영접하고 있다. [트위터 캡처]

자손도, 사사로움도, 파벌도, 원망도, 시신조차 남기지 않아 오무(五無)의 삶으로 알려진 저우에게는 피도 눈물도 없는 냉혈한의 캐릭터가 숨어있다. 1927년 저우는 국민당에 맞서 공산당의 스파이 조직인 중앙 특과를 창설했다. 특과의 행동 대장이던 심복 구순장(顧順章)과 피의 복수로 얽혔다. 1931년 구순장이 국민당에 체포되면서다. 구는 변절했다. 그의 누설로 당 총서기 샹중파(向忠發)가 체포·살해됐다. 당은 저우에게 보복을 맡겼다. 저우는 구의 부인, 장인과 장모, 형제 모두의 암살을 사주했다.

1958년 북한에 주둔중이던 중국 인민지원군 철수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방북한 저우언라이(오른쪽) 중국 총리와 김일성(왼쪽) 북한 수상이 함흥을 시찰하고 있다. [트위터 캡처]

1958년 북한에 주둔중이던 중국 인민지원군 철수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방북한 저우언라이(오른쪽) 중국 총리와 김일성(왼쪽) 북한 수상이 함흥을 시찰하고 있다. [트위터 캡처]

가족을 잃은 구순장이 복수의 칼을 갈았다. 상하이 각종 신문에 공산당원 ‘우하오(五號)’의 탈당 광고가 실렸다. 우하오는 1920년 비밀 결사체 각오사(覺悟社) 시절 저우의 암호였다. 문화 혁명이 터졌다. 사인방은 당시 광고를 빌미로 저우가 투항파였다며 공격했다. 1975년 9월 마지막 수술 직전 저우는 “당·인민·주석에 충성했다. 투항파가 아니다”라며 절규했다. 죽은 뒤 국민당에 투항한 배신자로 비치지 않기 위한 몸부림이었다. 구순장의 저주는 저우의 골수에 맺혔다.
중국의 지도자가 마오를 닮으려는 시대다. 이 책은 제2의 저우언라이를 찾아 온 지중파 원로가 중국과 이웃해 살아가야 할 후세를 위해 마련한 잘 다듬어진 선물이다. 일독을 권한다.
신경진 중국연구소장=shin.kyungj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