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삼중장치로 300년 물려온 풍산 홍씨 가보 ‘기사계첩’, 국보 된다

중앙일보

입력

문화재청이 29일 국보로 승격 예고한 보물 제639호 『기사계첩』 12면의 경현당석연도. 숙종이 1719년 기로소에 들 때 행사 중 경희궁 경현당(景賢堂) 사연(賜宴, 나라에서 베푸는 잔치) 장면이다. [사진 문화재청]

문화재청이 29일 국보로 승격 예고한 보물 제639호 『기사계첩』 12면의 경현당석연도. 숙종이 1719년 기로소에 들 때 행사 중 경희궁 경현당(景賢堂) 사연(賜宴, 나라에서 베푸는 잔치) 장면이다. [사진 문화재청]

조선 시대엔 노년의 문관(文官)들을 우대하기 위한 기로소(耆老所)란 기관이 있었다. 70세 이상 정2품 이상 직책의 친목과 예우를 위해 설치했다. 국왕은 60세가 넘으면 입소할 수 있었는데 태조, 숙종, 영조, 고종 등 4명이 기로소에 들었다. 특히 조선 19대 왕 숙종(1661∼1720, 재위 1674∼1720)의 1719년 기로소 입소 행사는 『기사계첩』이라는 화첩으로 남아 당시 풍속과 왕실 회화 규범을 알려주는 귀한 자료가 돼 왔다.

숙종의 기로소 입사 행사 담은 기록화첩 #하사 받은 관료가 300년간 후손에 전승 #중앙박물관 소장본 이어 두번째 국보로

숙종은 기로소에 들 때 59세였다. 태조 이성계가 당대 기로소 관례인 70세가 되기 전 60세에 들어간 예에 비추어 ‘월반’을 했다. 당시 행사를 담은 화첩은 이듬해인 1720년(숙종 46년) 완성됐다. 기로신들에게 나눠줄 11첩과 기로소에 보관할 1첩 등 총 12첩이 제작됐다. 당시 이를 나눠받은 기로신들 가운데 홍만조(洪萬朝, 1645~1725)라는 학자가 있었다. 호가 만퇴(晩退)였던 그는 하사 받은 계첩에 ‘만퇴당장(晩退堂藏, 만퇴당 소장)’, ‘전가보장(傳家寶藏, 가문에 전해 소중히 간직함)’이라는 글씨를 덧붙였다. 화첩은 풍산 홍씨 후손가에 대대로 전승됐고 1978년 보물 제639호로 지정됐다.

문화재청이 29일 국보로 승격 예고한 보물 제639호 『기사계첩』의 1면. 숙종으로부터 『기사계첩』을 나눠받은 기로신 홍만조(洪萬朝, 1645~1725)가 화첩의 맨 앞에 자신의 호인 만퇴(晩退)를 써서 ‘만퇴당장(晩退堂藏, 만퇴당 소장)’이라고 남겼다. [사진 문화재청]

문화재청이 29일 국보로 승격 예고한 보물 제639호 『기사계첩』의 1면. 숙종으로부터 『기사계첩』을 나눠받은 기로신 홍만조(洪萬朝, 1645~1725)가 화첩의 맨 앞에 자신의 호인 만퇴(晩退)를 써서 ‘만퇴당장(晩退堂藏, 만퇴당 소장)’이라고 남겼다. [사진 문화재청]

국보로 승격되는 보물 제639호 『기사계첩』 22면에 당시 기로신 중 한명이자 이 화첩을 하사받은 홍만조의 초상이 실려있다. [사진 문화재청]

국보로 승격되는 보물 제639호 『기사계첩』 22면에 당시 기로신 중 한명이자 이 화첩을 하사받은 홍만조의 초상이 실려있다. [사진 문화재청]

숙종 하사로부터 300년간 보관돼온 풍산 홍씨 가문의 『기사계첩』이 국보가 된다. 문화재청은 29일 “300년 세월에도 불구하고 훼손되지 않은 채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다”면서 보물 제639호 『기사계첩』의 국보 승격을 예고했다. 『기사계첩』은 현재 박물관과 개인 소장 등 총 5건이 전하는데 이 중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은 지난해 국보 325호로 지정됐다. 거의 같은 기록회화를 두 번째 국보로 지정하는 것은 이를 하사 받은 홍만조가 경위와 전승을 명확히 써뒀을 뿐 아니라 보관상태가 매우 좋다는 점이 고려됐다고 한다. 먼저 화첩을 내함(內函)에 넣고 호갑(護匣, 가죽함)을 두른 후 외궤(外櫃)에 넣었는데 이 삼중의 보호장치가 그대로 전해져 내려왔다. 황정연 학예연구사는 “왕실이 민간에 내린 하사품이 일괄로 갖추어진 희귀 사례로서 이 같은 하사품의 차림새를 복원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풍산 홍씨 가문에서 300년간 전승돼 오다 이번에 국보로 승격 예고된 보물 제639호 『기사계첩』의 내함. [사진 문화재청]

풍산 홍씨 가문에서 300년간 전승돼 오다 이번에 국보로 승격 예고된 보물 제639호 『기사계첩』의 내함. [사진 문화재청]

풍산 홍씨 가문에서 300년간 전승돼 오다 이번에 국보로 승격 예고된 보물 제639호 『기사계첩』의 호갑(가죽함). [사진 문화재청]

풍산 홍씨 가문에서 300년간 전승돼 오다 이번에 국보로 승격 예고된 보물 제639호 『기사계첩』의 호갑(가죽함). [사진 문화재청]

풍산 홍씨 가문에서 300년간 전승돼 오다 이번에 국보로 승격 예고된 보물 제639호 『기사계첩』의 외궤. [사진 문화재청]

풍산 홍씨 가문에서 300년간 전승돼 오다 이번에 국보로 승격 예고된 보물 제639호 『기사계첩』의 외궤. [사진 문화재청]

국보 325호 『기사계첩』은 최근 막을 내린 국립중앙박물관의 ‘신국보 보물전 2017~2019’에서 선보인 바 있다. 기로신 중 한 명인 좌참찬 임방이 쓴 서문과 경희궁 경현당 사연(賜宴, 나라에서 베푸는 잔치) 때 숙종이 지은 어제(御製), 대제학 김유의 발문, 각 행사 참여자 명단, 행사 장면을 그린 기록화, 기로신 11명의 명단과 이들의 반신 초상화, 기로신들이 쓴 축시, 계첩을 제작한 실무자 명단으로 구성돼 있다. 기록화의 정제되면서도 화려한 색감과 함께 당대 문인들의 뛰어난 필치도 감상할 수 있다.

문화재청은 보물 제639호 「기사계첩」이 ①숙종의 기로소 입소라는 역사적 사실을 담아 훗날 고종이 기로소에 입소할 때 모범이 됐고 ^제작시기와 제작자가 분명히 밝혀져 있어 학술적으로 중요하며 ②기로신들의 친필과 그림이 현존하는 궁중회화를 대표할 만한 예술성도 갖춘 데다 ③계첩과 동시기에 만들어진 함(내함, 호갑, 외궤) 역시 당시 왕실공예품 제작 기술에 대해서도 귀중한 정보를 알려준다고 국보 지정 이유를 설명했다. 문화재청은 「경진년 연행도첩」 등 조선 시대 회화, 불경, 마애불 등 5건은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강혜란 기자 theother@joongang.co.kr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