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임시 대책으론 단풍철 방역 한계…상시 시스템으로 전환해야

중앙선데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707호 02면

글로벌 2차 팬데믹 오나

이희영

이희영

기온이 내려가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우려가 여전하다. 이희영(사진) 분당서울대병원 교수(예방의학)는 “여름철에 코로나19 장기화 대책을 마련해야 했는데, 그 기회를 놓쳤다”며 “지금이라도 짧게는 이번 겨울, 길게는 내년을 대비한 방역 지침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코로나 초기부터 경기도 코로나19 긴급대책단 공동단장을 맡고 있다.

이희영 분당서울대병원 교수 #거리두기 강화·완화 무한 반복 #조사관·진료소 등 모든 게 임시 #장기전 대비 방역 지침 마련을

이른바 ‘단풍방역’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방역의 원칙과 기준을 다시 정리할 필요가 있다. 현재 확진자 발생 추이만 보면 1단계로 낮추기에 적합하다고 할 수 없다. 하지만 국민 피로감을 고려해 완화했다. 문제는 코로나 관련해 현재 모든 게 임시라는 점이다. 역학조사관도 임시로 뽑았고 각종 대응반, 선별진료소도 다 임시 체제다. 이제는 상시 시스템으로 전환해야 한다. 바이러스 종식까지 최소 2~3년은 걸릴 것이라고 각오하고 선별진료소부터 재정비해야 한다.”
또 보완해야 할 부분은.
“확진자가 늘면 또다시 사회적 거리두기를 강화해야 한다. 무한 반복이다.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는 사회적 거리두기에서 무엇을 해야 할지 논의가 필요하다. 그때마다 무조건 접촉하지 말라고 할 게 아니라 안전하게 접촉할 수 있는 방법을 정부 차원에서 찾아야 한다. 이를테면 사회적 거리두기를 강화할 경우 영세 음식점은 테이블마다 거리두기 실천이 현실적으로 어렵다. 그럼 방역 낙오자가 생기고, 그런 취약계층부터 방역이 뚫리게 된다. 결국 장기전을 치르기가 힘들어진다. 완화와 강화 사이에서 좀 더 편하게 실천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환절기 독감 유행으로 이중고를 겪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코로나는 선별진료소와 치료병원만 같이 움직이면 되지만 독감은 의료 전체가 협력해 같이 움직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1차 의료기관이 독감 예방에 많이 참여해야 하는데 코로나 탓에 기침이나 발열 환자를 받으려 하지 않고 있다. 환자 입장에선 호흡기 클리닉이 있는 대형병원으로 직행하게 된다. 사실상 호흡기 내과에 코로나와 독감 환자를 모두 떠넘기는 꼴이다. 정부가 이 프로세스의 큰 줄기를 그려줘야 한다.”
전 국민 대상의 방역 대신 취약층, 중증질환 중심으로 가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현장 의료진도 공감하지만, 실제 적용할 방법이 마땅치 않다. 예를 들어 노인층에 대한 방역을 강화한다고 노인만 외출을 금지할 수 있나. 요양병원의 환자 이동을 막았더니 병원 내 간호사, 요양보호사에게 바이러스가 전파됐다. 특정 그룹만 따로 떼서 방역을 강화하는 게 생각보다 쉽지 않다.”
유럽과 미국은 여전히 확진자가 늘어나는 이유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대만, 홍콩, 일본 등 동아시아가 전반적으로 확진자가 적거나 감소세다. 마스크 수용률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쳤다는 게 학계 중론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일찌감치 마스크를 통해 생활 방역을 강화했지만, 유럽과 미국은 초기에 불씨를 잡지 못했다. 세계보건기구(WHO)도 처음에는 마스크는 필수가 아닌 옵션이라고 했다가 한참 지나서야 필수라고 정정하지 않았나. 또 서양은 최근 10~20년 사이 호흡기 바이러스에 대한 경험이 거의 없다. 우리나라는 메르스, 중화권은 사스 경험이 있어 이 정도 대응이 가능했다.”

김나윤 기자 kim.nayoon@joongang.co.kr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