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세계 곳곳 재유행 조짐" 입국자 확진 사흘째 30명 안팎 급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해외 환자가 최근 다시 늘면서 국내 방역의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입국자 규모 자체에는 큰 변동이 없지만, 미국과 유럽 등 해외에서 코로나가 재유행하면서 입국자 가운데 확진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당국 "입국 숫자는 그대로, 세계적 유행 영향"

14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해외에서 유입된 환자는 31명으로 집계됐다. 공항과 항만 등 검역 과정에서 14명 확인됐고 지역사회로 나와 자가격리 하던 중 17명이 확진됐다. 이로써 이날까지 해외유입 환자는 누적 3446명으로 늘었다. 전체(2만4889명)의 약 14%를 차지한다.

해외유입 환자를 국가별로 나눠 보면 미국이 13명으로 가장 많았다. 미국에서 입국한 주한 미군 장병이 무더기로 확진됐다고 한다. 이외 필리핀 5명, 일본 3명, 러시아·우즈베키스탄·네팔 각각 2명, 미얀마·쿠웨이트·멕시코·과테말라 각각 1명 등이었다. 내국인이 2명, 외국인이 29명이었다.

13일 감천항에 정박 중인 확진 선원 발생 러시아 냉동냉장선(7329t)의 모습. 뉴시스

13일 감천항에 정박 중인 확진 선원 발생 러시아 냉동냉장선(7329t)의 모습. 뉴시스

최근 2주(10월1~14일)간 확진된 1078명을 감염 경로로 나눠 보면 해외 유입 환자는 239명으로 10명 중 2명 꼴(22.2%)이었다. 지난 8월부터 이달 11일까지만 해도 꾸준히 10~20명대로 나오던 해외 환자는 12일 29명, 13일 33명, 14일 31명 등 며칠 새 연속 30명 안팎으로 나오고 있다. 12일에는 어학 연수 하러 단체 방문한 네팔 외국인이, 13일에는 입항한 러시아 선박에서 선원들이 무더기 확진됐다. 해외 유입 확진자가 이렇게 30명대로 올라간 것은 지난 7월 29일 이후 76일 만이다.

해외유입 환자가 최근 다시 증가하는 데는 세계 곳곳에서 코로나가 재유행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서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14일 오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국내 상황은 등락을 반복하고 있지만 전반적으로 조금씩 안정화 하는 추세”라며 “10월 이후 유행이 상당히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해외에서 확진자 수 자체가 많아지고 그로 인해 입국자가 많이 증가하지 않았지만 확진되는 비율 자체가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윤 반장은 “부산의 러시아 선박 (확진자)도 잠잠해졌다가 다시 늘어나는 이유도 러시아에서 유행이 조금 더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해외에서 증가하니까 입국자의 확진율이 올라간다”고 덧붙였다.

당국은 해외 환자의 경우 검역 과정이나 격리 중 확인되기 때문에 지역사회 확산은 크게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고 설명해왔다. 그러나 국내 방역·의료체계에 부담을 주는 만큼 마냥 안심할 수는 없다.

지난 7월 오후 인천국제공항 입국장을 나서는 탑승객의 모습. 연합뉴스

지난 7월 오후 인천국제공항 입국장을 나서는 탑승객의 모습. 연합뉴스

당국은 국가별 감염 위험도에 따라 세계 국가들을 ▶방역 강화 대상 국가 ▶추이 감시 국가 ▶교류 확대 가능 국가 등 3단계로 분류해 왔다. 방역 강화 대상 국가는 필리핀·방글라데시·파키스탄·카자흐스탄·키르기스스탄·우즈베키스탄 등으로 이들 6곳에서 오는 외국인은 음성 확인서를 내야 한다. 그러나 최근 음성 확인서를 받았음에도 확진되는 일이 잦아지면서 실효성 논란도 다시 일고 있다. 최근 무더기로 확진된 러시아 선박 선원과 네팔 국적의 외국인 모두 음성확인서를 제출했지만 한국 도착 직후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와 관련해 정은경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12일 브리핑에서 “코로나19 유전자 검사(PCR) 음성 확인서를 발급한 의료기관의 검사 신뢰성 부분은 현지 공관을 통해 확인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다만 국가별로 진단 시약의 민감도가 다를 수 있는 만큼 증상 여부를 면밀히 살피고 있다는 게 당국 설명이다.

관련기사

추이 감시 국가로 지정된 곳은 4개국이지만, 국가명은 공개되지 않았다. 당국은 2주마다 검역평가회의를 열고 국가별 감염 위험도 등을 점검하고 감염 위험도가 높은 국가를 추이감시국가 등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권준욱 방대본 부본부장은 지난 13일 브리핑에서“전 세계적인 발생 상황, 국내 입국자 중 확진자 발견 규모 등을 고려해 신속하고 유연하게 변경하면서 국내 유입 차단에 노력을 기울이도록 하겠다” 고 말했다.

황수연 기자 ppangsh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