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트롯 방역송, 깡춤 불조심···유튜브 홍보에 사활 건 지자체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0면

전남 유튜브 '으뜸전남튜브'가 지난 7월 유튜브로 판매한 화순 복숭아. [사진 전남도 유튜브 캡처]

전남 유튜브 '으뜸전남튜브'가 지난 7월 유튜브로 판매한 화순 복숭아. [사진 전남도 유튜브 캡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대면 홍보가 어려워지면서 각 지자체 간 유튜브를 활용한 온라인 홍보 경쟁이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 반짝이는 아이디어로 시민 눈을 사로잡기 위한 노력은 돋보이지만, 세금으로 운영되는 만큼 예산 쓰임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충주시청 유튜브 16만 구독 인기 #일부 지자체 조회수 저조해 고민 #예산보다 채널 정체성 구축이 먼저

지자체 유튜브 홍보전 눈길  

경기도 여주시가 지난 4월 유튜브에 공개한 '1일1깡 : 공무원의 깡 커버(Rain - Gang cover)' 영상. [사진 유튜브 캡처]

경기도 여주시가 지난 4월 유튜브에 공개한 '1일1깡 : 공무원의 깡 커버(Rain - Gang cover)' 영상. [사진 유튜브 캡처]

지자체 유튜브 홍보에서 많이 쓰이는 방식은 유행곡을 배경으로 한 뮤직비디오다. 유행곡의 대중적 인기에 힘입어 정책을 쉽게 알릴 수 있는 장점을 활용하는 방식이다. 대개 해당 지자체 공무원이 직접 출연해 친근감을 더한다.

경기도 여주시는 지난 4월 이재현 여주시청 주무관이 가수 비의 노래 ‘깡’에 맞춰 춤을 추는 커버 영상을 공개했다. 주제는 산불 조심. 이 영상은 13일 기준 조회수 111만회를 넘어섰다. 경기도 성남시는 지난 6월 공보실 직원들이 생활 속 방역수칙을 알리기 위해 가수 영탁의 노래 ‘네가 왜 거기서 나와’를 개사해 불렀다. 이종빈 성남시청 공보관은 “시민에게 효과적으로 방역수칙을 전달하기 위해 직원들이 머리를 맞댄 결과”라며 “반응이 생각보다 좋아 깜짝 놀랐다”고 말했다. 성남시의 해당 영상은 조회수 1만4000여회에 이른다.

코로나19로 ‘언택트’ 소비가 활성화하면서 유튜브는 지역 소비를 촉진하는 활로가 되기도 한다. 전남도는 홈쇼핑 방식을 빌려와 유튜브에서 무안 양파 등 전남 농수축산물을 판매하고 있다. 전북 임실군청도 이 같은 방식으로 임실치즈 등 지역 특산품을 팔고 있다. 김은숙 임실군청 홍보팀장은 “유튜브 등으로 판매한 추석 선물세트는 약 2500만원의 판매고를 올렸다”며 “오는 11월 열리는 김장페스티벌도 관련 행사가 기획돼있다. 앞으로 군내 홍보업무 등에 유튜브를 적극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수 억원 들지만 효과 없다” 반성도

충북 충주시가 지난 5월 생활 속 거리 두기를 강조하며 올린 '공무원 관짝 춤' 영상. 8일 기준 조회 수 420만 회를 기록했다. [사진 충주시 유튜브 캡처]

충북 충주시가 지난 5월 생활 속 거리 두기를 강조하며 올린 '공무원 관짝 춤' 영상. 8일 기준 조회 수 420만 회를 기록했다. [사진 충주시 유튜브 캡처]

지자체가 앞다퉈 유튜브에 매달리지만, 효과가 미미하다는 자성 목소리도 있다. 유튜브 구독자 16만여명으로 전국 지자체 1위인 충북 충주시청의 김선태 주무관은 통화에서 “다른 지자체는 유튜브에 몇억원씩 예산을 들이지만 조회 수가 2회인 경우도 봤다”고 말했다. 충주시청의 두드러진 유튜브 성과를 내는 데 ‘1등 공신’으로 꼽히는 그는 “대부분 지자체가 그렇게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우리만큼은 세금을 허투루 쓸 수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제작비 지원을 따로 받지 않고 있다”고 했다. 각 지자체가 유튜브 운영을 위해 적지 않은 예산을 투입하지만, 이렇다 할 결실은 없다는 지적이다. 일례로 유명 연예인이 지자체 유튜브에 동원되고 있으나 조회 수와 직결되진 않는다. 서울 강남구청이 지난 9월 선보인 ‘온택트 힐링 공연’에서 가수 비와이가 출연한 영상은 13일 기준 조회 수가 800회가 채 안 된다.

이에 따라 각 지자체가 섣부르게 트렌드를 좇으려 하지 말고 채널 정체성을 구축하는 데 주안점을 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황용석 건국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유튜브는 플랫폼 특성상 오락이나 유희용 목적이 크다 보니 공익적 목적을 가진 공적 영역의 주목도나 관심도는 떨어질 수밖에 없다”며 “자연스레 지자체 유튜브는 ‘시선 뺏어오기 싸움’에서 밀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민간 영역을 무작정 벤치마킹하려다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며 “단 한 사람의 시민이 본다고 해도 꼭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고자 해야 한다. 아카이브 측면으로 접근하는 게 현명한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채혜선 기자 chae.hyese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