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달라진 게 없다”…여권 헛발질에도 힘 못쓰는 국민의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부동산이 요동치는 와중에 법무부 장관의 아들이 군 복무 중 특혜 시비에 휘말리고, 국민 한 명이 북한군에 사살됐다. 최근 라임·옵티머스 사태엔 여권 유력 인사들의 이름이 오르내리기 시작했다. 예년 같았으면 집권 4년 차 여권은 민심 이반을 걱정하고, 야당은 그 반사이익을 누리며 정국 주도권을 쥘 만한 형국이다. 그러나 현실은 반대에 가깝다. 문재인 대통령과 여당을 에워싼 지지층은 견고한데, 제1야당인 국민의힘을 향한 민심이 오히려 싸늘하다. 한때 우상향을 그리던 당 지지율은 30% 박스권에 갇혀있다. 내년 4월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가 힘들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온다.

간판스타·정책 없고 쇄신 퇴색 #민심 못 얻어 지지율 30%대 갇혀 #김종인 “유일호 내정 철회, 내 판단” #보선 선대위 구성 싼 갈등설 부인

“정권을 빼앗긴 다음에 2018년 지방선거와 2020년 총선까지 내리 패배했는데, 국민은 ‘정권을 빼앗겼으면 바뀌어야 하는데 왜 아직도 안 바뀌냐’라고 한다.”

국민의힘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 지상욱 원장이 13일 한 말이다. 한 마디로 바뀐 게 없다는 거다. 총선에서 대패한 국민의힘은 패장인 황교안 당시 대표가 퇴장하고 쇄신을 부르짖었다. 당 이름이 미래통합당에서 국민의힘으로 바뀌고, 당 상징색도 바꿨다. 하지만 시중 여론은 변화를 느끼지 못한다. 여론조사업체 에스티아이 이준호 대표는 “김종인 비대위원장이 광주에 가서 무릎을 꿇고 경제 3법을 화두로 내건 것 외에 국민의힘이 달라진 모습을 보여준 게 없다”며 “네거티브 방식으론 지지율 상승에 한계가 분명하다는 점이 조국 사태 때 분명해졌음에도 과거의 행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총선 패배 후 국민의힘 지지율이 정점을 찍은 건 8월 중순이다. 수해 현장을 먼저 찾는 등 민생 행보에 주력했을 때다. 정기국회가 개원하고 ‘야당의 시간’이라는 국정감사가 시작됐지만, 야당의 존재감은 오히려 엷어졌다. 한 중진 의원은 “김 위원장 부임 초기 당 이미지를 쇄신한 건 맞지만, 개인기에 의존해온 당 운영이 한계에 다다랐다”며 “메시지를 통제하면서 역동성이 사라졌고, 결국엔 여당의 헛발질을 기다리는 것 외에는 콘텐트가 없어졌다”고 지적했다.

노동관계법 개정 등 김 위원장은 정책 이슈 선점을 꾀하지만, 반향은 크지 않다. 보다 근본적으론 과거 이회창·이명박·박근혜 등과 같은 확실한 차기대선 주자가 없다는게 당의 아킬레스건이다. 집권 초에 비해 반문재인 정서는 많이 짙어졌지만 이를 야당 지지율로 연결시킬 수 있는 확실한 간판이 안 보인다. 익명을 원한 당직자는 “김 위원장이 ‘확실한 차기’로 인정받았다면 당 운영 양상이 지금과는 확 다를 것”이라며 “급한 불 끄려 초빙된 그로선 한계가 명확하다”고 했다.

변화를 견인할 초·재선의 활동이 미미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2008년 18대 국회 때 권영진·김성태·김세연·김영우·박민식 등 개혁 성향의 초선들이 모여 당의 스펙트럼을 넓혔던 ‘민본21’ 같은 움직임은 실종됐다.

김 위원장은 12일 당 비공개회의에서 “이런 식이면 비대위원장 못한다” “이대로는 대선에서 진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김 위원장이 보궐선거 선거대책위원장으로 내정했던 유일호 전 부총리 카드를 거둬들인 걸 두고 당내 갈등설도 증폭했다. 김 위원장은 그러나 13일 본지 통화에서 “내정 철회는 내 최종 판단이었다”고 했고, 전날 회의 발언에 대해선 “계속 긴장감을 잃지 말고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그런 것들을 놓치게 될 경우 대선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당부를 한 것”이라고 했다.

권호·손국희 기자 gnom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