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가을산 지나치기 힘든 유혹…'이것' 먹는 순간 목숨 위험하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야생 버섯의 계절, 가을이 성큼 다가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을 피해 야외로 나가거나 추석 연휴를 맞아 산과 들로 나갈 때 독버섯을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식용 야생버섯과 독버섯의 생김새는 구별하기 쉽지 않다. 매년 가을이면 독버섯 중독사고가 발생한다.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16년까지 5년간 독버섯 중독으로 75명의 환자가 발생, 7명이 사망했다.

식용버섯과 독버섯. [국립수목원]

식용버섯과 독버섯. [국립수목원]

산림청 국립수목원에 따르면 버섯은 봄부터 가을까지 전국 어디에서나 자란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버섯은 2000여 종으로 추정된다. 이 가운데 238종이 독버섯이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야생에서 채취 가능한 식용버섯은 20∼30여 종에 불과하다. 특히 눈에 많이 띄는 식용버섯과 비슷하게 생긴 개나리광대버섯, 화경버섯, 붉은사슴뿔버섯 등 독버섯을 식용버섯으로 착각해 채취해 먹고 발생하는 독버섯 중독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식용버섯과 독버섯. [국립수목원]

식용버섯과 독버섯. [국립수목원]

독버섯 조금만 먹어도 위험    

독버섯 중독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버섯은 독우산광대버섯·흰알광대버섯·개나리광대버섯 등이다. 독버섯은 조금만 먹어도 생명을 잃을 수 있는 맹독성 버섯과 복통이나 설사, 구토와 같은 증상을 일으키는 준독성 버섯이 있다. 독버섯은 가열하거나 기름에 넣고 볶아도 독소가 없어지지 않기 때문에 절대 먹지 말아야 한다. 잘못 섭취했을 때는 구토·설사·발열·호흡곤란 등 증상이 나타난다. 관련 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응급의료기관을 방문해 치료받아야 한다.

식용버섯과 독버섯. [국립수목원]

식용버섯과 독버섯. [국립수목원]

독버섯을 섣불리 채취하거나, 생으로 먹어선 안 되는 게 핵심이다. 전문지식 없이는 독버섯과 식용버섯을 정확하게 구별하기 어렵다. 민간에 전해 내려오는 잘못된 독버섯 구별법을 믿으면 안 된다. 또 독버섯은 종류마다 독성분이 다르기 때문에 버섯을 먹고 두통·구토나 뱃속이 메스꺼움을 느끼면 경험적 치료나 민간요법은 삼가고 즉시 응급의료기관으로 가 치료받아야 한다. 병원을 방문할 때는 먹었던 버섯을 들고 가야 한다. 환자가 의식은 있고 경련이 일어나지 않았다면 구급차가 오기 전까지 물을 마셔 토하게 해야 한다.

식용버섯과 독버섯. [국립수목원]

식용버섯과 독버섯. [국립수목원]

“야생 버섯 먹지 말아야”    

식용버섯과 독버섯은 갓의 모양과 색깔이 유사한 것이 많고 같은 종이라도 주변 환경에 따라 갓 색이 달라질 수 있다. 일반인이 독버섯과 식용버섯을 정확하게 구별할 방법은 사실상 없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전문가들은 “안전을 위한다면 야생 버섯은 절대 채취하지도 말고, 먹지도 말라”고 당부했다.

산림청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www.nature.go.kr)에서 ‘국가표준버섯목록’을 검색할 수 있다. 각 종의 식독여부(식용 420종, 약용 77종, 독버섯 238종, 식독불명 1342종)와 관련 이미지 자료를 볼 수 있다. 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김창선 박사는 “국내에 기존에는 식용으로 알려진 버섯 종들을 포함해 많은 버섯이 신종이나 미기록종으로 새롭게 보고되고 있다. 이미 식용으로 알고 있던 버섯이라도 섭취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전익진 기자 ijje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