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미래 혁신도시 울산] “울산형 뉴딜 사업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비할 것”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2면

지난 14일 울산시청 집무실에서 송철호 울산시장이 풍력발전기 모형을 가리키며 ‘부유식 해상풍력발전단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울산시]

지난 14일 울산시청 집무실에서 송철호 울산시장이 풍력발전기 모형을 가리키며 ‘부유식 해상풍력발전단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울산시]

“국내 첫 수소규제 자유특구와 세계 최대의 부유식 해상풍력발전단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울산 경제의 버팀목이 될 것입니다.”

송철호 울산시장 인터뷰 #세계 최대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 #1000여㎢ 크기, 2030년까지 건설 #원전 6기에 맞먹는 발전용량 생산 #낙동강 물 문제 한국판 뉴딜 포함을

지난 14일 오후 울산시청 집무실에서 만난 송철호(72) 울산시장은 “앞으로 울산시는 방역 행정과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하기 위한 ‘울산형 뉴딜 사업’을 투트랙으로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울산형 뉴딜은 코로나 사태 장기화로 인한 침체된 경제를 살리기 위한 사업으로, 3가지 분야(휴먼·스마트·그린), 15개 과제가 추진된다.

울산시는 이중 새로운 에너지로 울산의 성장을 견인하는 ‘그린 뉴딜’에 집중하고 있다. 그린 뉴딜에는 부유식 해상풍력 사업과 수소규제자유특구 지정 후 본격적으로 진행 중인 수소차·수소 선박 등 수소 관련 사업 등이 포함돼 있다. 울산형 뉴딜은 지난 7월 발표된 정부의 한국판 뉴딜보다도 선제적으로 추진됐다는 게 송 시장의 설명이다.

송 시장은 집무실 내 풍력발전기 모형을 가리키며 “울산형 뉴딜 사업의 대표적인 사업이 ‘부유식 해상풍력발전단지’ 건설”이라고 했다. 오는 2030년까지 울산 앞바다에 원전 6기에 맞먹는 발전용량 6GW를 생산하는 풍력발전단지를 세우는 사업이다.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단지’는 바다 위에 떠 있는 풍력발전단지를 말한다.

발전단지는 세계 최대 규모인 1000여㎢ 크기로 들어선다. 울산 앞바다에 울산 땅 넓이(1062㎢)와 맞먹는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소가 생기는 것이다. 송 시장은 “지름 200m의 거대한 풍력발전기 터빈이 울산 앞바다에서 친환경 전기를 생산하는 것”이라며 “정부의 한국판 뉴딜에도 포함된 사업으로 기술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국내 어느 도시도 시도하지 못한 사업”이라고 말했다. 다음은 송 시장과의 일문일답.

-입지 조건이 적합한가.

울산 앞바다에는 일 년 내내 평균 초속 8m 이상의 강한 바람이 분다. 수심 200m 이내에 대륙붕도 잘 조성돼 있다. 넓고 단단한 지형인 대륙붕이 있으면 바다 위에 떠 있는 발전기를 지반과 연결하기에도 유리하다. 울산 앞바다가 최적의 입지 조건을 갖췄다고 판단한 이유다. 또 울산에는 신고리원전·울산화력 등 발전소와 연결된 송·배전망 인프라가 이미 구축돼 있다. 미포산단 등 대규모 전력소비처도 있다. 난관이 많았지만, 2018년부터 울산시가 정부와 국산화 기술개발을 시도하면서 물꼬가 트였다. 현대중공업, 두산중공업 등 기업이 가세했고 청사진이 완성돼 갔다.

-기대 효과는.

21만명의 대규모 일자리가 창출될 전망이다. 또 친환경 전기를 생산을 통해 연간 이산화탄소(CO2) 698만2000t을 저감하게 된다. 더불어 울산 조선해양 플랜트 산업의 새 활로를 개척할 것으로 자신한다.

-코로나19 방역 대책은.

울산은 올 상반기만 해도 ‘코로나 청정지대’로 불렸다. 울산시는 전국 최초로 차량 방역 정류장을 설치해 택시와 어린이집 차량 등에 방역을 했고, 매주 수요일 ‘방역의 날’을 운영해 상인들은 자체 소독을 하는 등 선제적인 코로나19 대응책을 펼쳐왔다. 지난 3월 중순부터 100일 동안 지역사회 감염자가 단 한 명도 없었던 이유다. 하지만 지난 8월 광화문 집회 이후 지역사회 감염자가 나왔다. 이제는 방역과 지역 경제 활성화 문제를 동시에 해결해야 한다.

-숙원사업인 낙동강 물 문제는.

전국 수계 중 낙동강 유역만 불안전한 수질과 부족한 수량에 시달리고 있다. 대구·경북·울산·경남·부산 5개 지역 간의 갈등으로 20여 년 동안 논의만 반복해왔다. 다행히 지난해 4월부터 환경부에서 ‘낙동강 유역 통합 물관리 방안 연구 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또 지난 8월 영남권 5개 시·도지사가 낙동강 유역 물 문제를 협력하며 해결하기로 합의했다. 여기에 더해 울산에선 낙동강 물관리 사업을 ‘한국판 뉴딜’로 추진해야 한다고 정부에 강력히 요청하고 있다. 한국판 뉴딜에 포함될 경우 예산확보 등 후속 절차가 쉬워진다. 물 문제를 해결하면 매년 홍수 때마다 잠기는 반구대암각화(국보 제285호)의 세계 유산 등재를 위한 발판도 마련된다.

-울산에도 도시철도가 생긴다는데.

울산은 전국 광역시 중 유일하게 도시철도가 없었다. 지난 3년간 노력을 기울인 ‘울산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이 지난 1일 국토부 최종 승인을 받으면서 울산에도 도시철도가 구축될 전망이다.  앞으로 4개 노선 48.25㎞에 총 1조3316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수소 트램이 운영되나.

울산도시철도에 수소전기트램 적용이 가능한지 검토하는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수소 트램은 프랑스 파리 등 해외에서 볼 수 있는 일반적인 트램과는 다르다. 대부분 트램은 도로 위에 깔린 레일 위를 주행하는 전차지만, 수소 트램은 수소연료전지로 운행하기 때문에 전력선이 필요 없다. 15분을 충전하면 최고속도 70㎞/h로 150㎞ 주행이 가능하다. 수소 트램은 수소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공기 정화 작용도 한다. 지난해 현대로템이 수소 트램 개발에 착수했고, 내년 시험차량 제작이 완료될 예정이다. 검증 과정을 거쳐 오는 2023년 최종 적용 여부가 결정된다.

백경서 기자 baek.kyungse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