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600만에 위로 건넸다···'내 영혼 바람되어' 작곡한 그의 정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이화여대 경영대학장실 한 켠에 건반을 놓은 김효근 작곡가. 김호정 기자

이화여대 경영대학장실 한 켠에 건반을 놓은 김효근 작곡가. 김호정 기자

 뮤지컬 배우 박은태가 2년 전 부른 ‘내 영혼 바람되어’ 영상은 유튜브 조회수 620만을 넘겼다. 이 노래는 JTBC 팬텀싱어를 비롯해 각종 음악 프로그램의 단골이다. 세상을 떠난 사람이 남겨진 이에게 독백하는 형식으로 된 영시를 우리 말로 풀어 곡을 붙였다. 자신은 바람 속에 살아있다며 건네는 위로가 담담한 음악에 담긴다. 이 곡은 2008년 세상에 나온 후 많은 이의 상실과 슬픔을 달래왔다. 세월호 사건 때 바이올리니스트 정경화가 편곡해 연주한 후 세월호와 관련돼 자주 불렸다. 또 국군 유해 봉환식 같은 국가 행사에서도 연주됐다.

경영대학장 겸 히트 작곡가 김효근 인터뷰

작곡자는 김효근(60). 현재 이화여대 경영대학장이다. 전업 작곡가가 아니고 경영학자다. 서울대 경제학과와 경영대학원을 졸업한 후 미국 피츠버그에서 유학했고 1992년부터 이화여대 경영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경영정보시스템이 전공이다.

그는 히트작 ‘내 영혼 바람되어’를 포함해 2010년부터 작곡집 앨범 6장을 낸 작곡가다. "음악은 평생 취미"라고 하기엔 경력이 만만치 않다. ‘눈’ ‘첫사랑’ ‘우리가 서로 사랑한다는 말은’ 등도 인기 작품이다. 서울 예술의전당, 세종문화회관, 롯데콘서트홀 등에서 김효근의 작품은 한 해 30회 정도 무대에 오른다. 수수하고 음악적인 선율이 시어를 살려내는 노래들이고, 대중성을 고려했다는 점에서 스스로 ‘아트 팝’이라는 장르 이름을 붙였다. 올 12월엔 대전에서 첫 오페라 작품도 올린다.

음악 교육을 정식으로 받은 적은 없다. “열살 즈음에 기타를 배웠는데 화성학의 논리성이 정말 좋았다. 그때부터 전세계 명가곡, 영화음악, 팝송, 포크송을 피아노로 혼자 쳐보기 시작했다. 그 시간이 1만 시간은 넘었을 거다.” 중고등학교 때는 국립교향악단, 국립오페라단의 거의 모든 공연을 혼자 보러 다녔다. “그러다 학교 음악 시간에 드보르자크 ‘신세계로부터’ 교향곡을 듣게 됐다. 인간이 할 수 있는 음악적 쾌감이 이럴 수 있구나 하고 큰 충격을 받았다.”

학교와 교회 합창단의 반주자를 도맡았지만 작곡가가 될 생각은 하지 못했다. “공부를 꽤 잘 했기 때문에 집안 어른들이 ‘음악하고 싶으면 호적 파라’며 혼을 내셨다”고 했다. 대학에 가고 나면 마음껏 음악 공부를 한다는 조건으로 음악을 잠시 접었다. “10대 시절에 집안 형편이 어려웠다. 그때 음악은 내 세계를 얼마든 상상할 수 있도록 해줬다. 내 용기의 원천이었다.” 서울대 경제학과에 입학한 후 음악대학의 모든 이론 수업을 들었고 오선지를 사들여 생각나는 대로 적어내려갔다. 음대 학생을 대상으로 열렸던 제1회 MBC 창작 가곡제에서 대학교 3학년 때 우승했다. “작곡과 학생에게 악보 기보법을 배워야했을 정도로 초보였다”고 했다.

연주자들과 무대에 선 김효근 작곡가(앞줄 맨 왼쪽). [김효근 제공]

연주자들과 무대에 선 김효근 작곡가(앞줄 맨 왼쪽). [김효근 제공]

혼자 터득해 만든 김효근의 노래는 기존의 한국 가곡과 다르다. 노래 선율 자체는 지극히 대중적이고 악기 반주는 소박하다. 화성은 전통과 현대성을 넘나든다. “경영학 관점에서 봤을 때 한국 가곡은 위기였다. 한쪽에서는 지나치게 전문적이고 전위적인 어법으로, 다른 한쪽에서는 30년동안 똑같은 기법으로 작곡하고 있었다. 상품으로 치면 10년, 20년 내 소멸할 위기에 있었다. 1990년대 이후 다양한 음악을 받아들인 젊은 층이 가곡을 듣자마자 채널을 돌리지 않도록 해야했다.”

이처럼 음악에 경영학 마인드가 도입돼야 한다고 본다. “생산보다 마케팅과 판매가 더 중요하다”며 곡 하나를 작곡하고 나서 1년을 프로모션 기간으로 보고 대중의 수용을 지켜본다. 최근엔 클래식 연주자들이 자신을 알리고 팬을 확보할 수 있는 플랫폼 아트링커(artslinker.com)를 오픈했다. 이화여대 경영예술연구센터가 한국콘텐츠진흥원과 함께하는 프로젝트로, 예술가들이 소비자를 만나게 해주는 사이트다. “각종 통계로 봤을 때 연주자 한 명이 연주로 생계를 유지하려면 충실한 팬 2만명이 있어야 한다. 불특정 다수 대신 특정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자신을 브랜딩 해야한다.” 아트링커는 이 목적을 위해 만들어졌고 음악가마다 자신의 페이지를 만들 수 있다.

그는 “그동안 음악에서 내가 받은 게 많기 때문에, 경영학 관점을 도입해 음악계를 돕고 싶다”고 했다. 지금도 그는 음악에서 늘 위로를 받는다. “밤 11시부터 새벽 4시까지가 작곡의 핫타임이다. 이런 저런 음악을 울려보는 그 느낌이 너무나 좋다. 내 음악을 듣는 사람에게도 살맛나는 느낌을 주고 싶다.”

김호정 기자 wisehj@joongang.co.kr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