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금동관·금귀걸이…호화 무덤 주인은 키 170㎝ ‘신라 여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문화재청은 경주 황남동 120-2호분 조사에서 6세기 전반에 제작된 장신구 일체가 확인됐다고 3일 밝혔다. 사진은 금동관과 금귀걸이, 금드리개, 구슬로 엮은 가슴걸이 등 유물 모습. [사진 문화재청]

문화재청은 경주 황남동 120-2호분 조사에서 6세기 전반에 제작된 장신구 일체가 확인됐다고 3일 밝혔다. 사진은 금동관과 금귀걸이, 금드리개, 구슬로 엮은 가슴걸이 등 유물 모습. [사진 문화재청]

키 170㎝ 정도의 그는 생전 왕족이나 최고위 귀족이었을 게다. 이승을 떠나는 마지막 차림까지 호화로웠다. 머리엔 금동관을 쓰고 양 귀엔 금귀걸이를 했다. 구슬을 엮어 만든 가슴걸이 아래로 은 허리띠, 은팔찌, 은반지까지 갖췄다. 양발엔 금동 신발을 신었다. 세월 속에 시신은 삭아 없어졌지만 황천길에 함께한 장신구들은 그대로 남아 1500여 년 만에 빛을 보았다.

경주 황남동 120-2호분 발굴 #1500년 전 최고위층 장신구 출토

지난 5월 신라 적석목곽묘 사상 13번째로 금동 신발이 나왔던 경주 황남동 120-2호분에서 금동관 등 6세기 전반에 제작된 장신구 일체가 출토됐다고 3일 문화재청이 밝혔다. 경주 지역의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墓·적석목곽묘)에서 관과 귀걸이, 반지, 신발 등이 일괄로 출토된 것은 1973년 황남대총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2018년부터 발굴조사를 벌여온 신라문화유산연구원의 김권일 선임연구원은 이날 유튜브 설명회에서 “지난 5월 이후 정밀 조사 결과 피장자의 양 귀 위치에서 (여성용) 굵은고리 귀걸이가 출토됐다”면서 “앞서 나왔던 청동 다리미, 방추차(가락바퀴) 등을 볼 때 피장자가 여성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장신구를 전공한 이한상 대전대 교수도 “남성의 고분에서 빠짐없이 출토된 큰 칼(대도)이 없는 반면, 허리춤에서 작은 장식칼 흔적들이 확인돼 무덤 주인공이 여성인 듯하다”고 설명했다.

문화재청에 따르면 이번에 출토된 장신구들은 머리부터 발끝까지 사람 형상대로 노출됐다. 피장자가 이들을 착장한 채 묻혔다는 얘기다. 앞서 지난 5월 금동 달개(瓔珞·장식의 일종) 일부가 먼저 노출됐던 머리 부분에선 금동관이 확인됐다. 최고위급 신분임을 시사한다. 금동관은 화려하다. 관테에는 역 하트 모양 장식용 구멍들이 뚫렸고, 관테와 세움장식 사이에는 ‘ㅜ, ㅗ’ 모양으로 뚫린 투조판이 있다.

은 허리띠의 양 끝부분에선 4점이 묶음을 이룬 은팔찌가 출토됐다. 오른팔 표면에선 1㎜ 내외의 노란색 구슬이 500점 넘게 나와 구슬 팔찌도 찼던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 은반지가 오른손에서 5점, 왼손에서 1점이 나왔다. 왼손 부분을 추가 조사하면 은반지가 더 출토될 수도 있다. 천마총의 피장자처럼 손가락마다 반지를 꼈을 수 있다는 얘기다.

앞서 출토됐던 금동 신발은 피장자가 신은 상태였던 걸로 추정된다. 이전까지 발굴 사례에서 금동 신발이 모두 피장자 옆에 놓여 있던 것과 다르다.

금동관의 중앙부에서 금동 신발 뒤꿈치까지의 길이는 약 176㎝. 피장자의 키를 170㎝ 내외로 추정하는 이유다. 신라왕경핵심유적복원·정비사업 추진단의 이현태 연구사는 “인골이 그대로 나오지 않는 한 확언할 수 없지만 현재까지 고고학적 판단으로는 장신의 여성일 가능성이 크다. 신라인의 평균 키를 알 순 없어도 이례적인 케이스로 추측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발굴은 2018년부터 이어지는 경주 황남동 120호분 조사 사업의 일환이다. 문화재청은 “과학적 분석으로 인골 흔적을 탐색하고, 신분·성별 등 피장자의 정보를 계속 조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혜란 기자 theothe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