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검찰총장이 지난 3일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에서 열린 신임검사 신고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8/30/034c462a-fbde-429b-9104-95a0fc113872.jpg)
윤석열 검찰총장이 지난 3일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에서 열린 신임검사 신고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검찰총장(60·사법연수원 23기)이 검찰 중간간부 인사에서 삼성 경영권 승계 의혹 수사팀을 유지해달라고 법무부에 요청했던 것으로 30일 확인됐다. 하지만 법무부가 27일 단행한 인사 발표에 따르면 수사팀장인 이복현(48·32기) 서울중앙지검 경제범죄형사부장은 대전지검으로 이동한다. 윤 총장 의견은 묵살된 것이다.
윤 총장은 삼성 의혹 사건 재판을 전담할 가능성이 큰 중앙지검 특별공판2팀 신설도 반대했다고 전해졌다. 이 역시 윤 총장의 의견은 반영되지 않았다. 수사팀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맡았던 김영철(47·33기) 의정부지검 형사부장이 팀장 발령을 받았다.
특검서 삼성 수사했던 윤석열…수사팀 유지 요청 의미는
윤 총장은 2016년 12월 '국정농단' 박영수 특별검사팀의 수사팀장으로 지명됐다. 윤 총장은 대기업 수사 분야인 4팀장을 맡아 2017년 1월 이재용(52) 삼성전자 부회장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달 16일 삼성전기 부산사업장에 위치한 전장용 적층세라믹캐피시터(MLCC) 생산 공장을 방문, 제품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 삼성전자]](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8/30/c433f2b2-876e-4deb-9994-14aad22960ac.jpg)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달 16일 삼성전기 부산사업장에 위치한 전장용 적층세라믹캐피시터(MLCC) 생산 공장을 방문, 제품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 삼성전자]
그런 윤 총장이 사법처리가 임박한 삼성 의혹 수사팀을 그대로 남겨달라고 요청한 것은 어떤 의미일까. 윤 총장 측근들의 이야기를 종합해보면 "검찰수사심의위위원회가 압도적으로 이 부회장의 불기소 권고를 한 것을 고려해 수사팀이 더 신중하게 마무리할 시간을 줘야 한다"는 의중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사정에 정통한 한 검찰 인사는 "윤 총장은 이 부회장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도 재가한 만큼 큰 틀에서 기소는 불가피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면서도 "다만 수사심의위 권고를 존중해야 하므로 충분히 전문가 의견을 경청하는 등 국민들을 설득할 수 있을 때 결론을 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수사팀은 수사심의위 권고 이후 두 달여간 경제 전문가들을 불러 의견을 청취했다. 수사팀은 경제 전문가들에게 삼성 경영권 승계 내용이 담긴 '프로젝트G' 문건을 보여주며 장시간 의견을 들었다고 한다.
대검의 한 간부는 "기소 여부뿐만 아니라 이 부회장에 대한 양형을 결정하는 것도 중요하기 때문에 윤 총장은 수사팀의 유지를 원했다"고 말했다.
"인사 이동 전 삼성 기소 의중 담겼다…특별공판2팀 신설도 반대"
![이복현 부장검사 [중앙포토]](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8/30/e55436c9-3061-4669-bb48-230bf561281a.jpg)
이복현 부장검사 [중앙포토]
윤 총장은 중앙지검 특별공판2팀의 신설에도 반대 의견을 전달했다고 한다. 이 부회장 사법처리가 결론나기 전인데 관련 특별공판팀이 꾸려지는 것은 인사권자인 청와대·법무부가 '인사 이동 전 기소하라'는 명령을 담은 것으로 봤기 때문으로 전해졌다. 사건을 담당 중인 현 부서와 별도로 공판팀을 신설하는 것은 직접 수사분야를 축소하는 현 정부 기조와도 배치된다는 의견도 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중간간부 인사에서 김영철 의정부지검 형사부장은 신설되는 서울중앙지검 특별공판2팀의 팀장으로 발령됐다. 김 부장은 이복현 부장과 함께 삼성 의혹 수사를 진행한 인물이다. 그는 이 부회장 영장실질심사와 수사심의위 논의에도 직접 참석했다.
검찰 내부에서는 김 부장 인사를 두고 이 부회장을 재판에 넘겨 공판 실무를 맡기려는 의도가 숨어 있다고 해석한다. 검찰의 한 소식통은 "공판특별2팀 신설은 청와대와 추미애 법무부 장관 등 이 정부가 '이 부회장을 기소하라'는 의중을 드러낸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이 부회장에 대한 기소가 결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담당자들에게 "이 부회장 관련 공판을 전담하라"는 시그널이 담긴 내용의 인사를 단행한 만큼 부임 전 기소는 이뤄질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
특히 후속 평검사 인사에서 삼성 의혹 수사팀의 일선 검사들 역시 대거 특별공판2팀으로 보낼 가능성이 제기된다. 검찰의 한 고위 간부는 "수사팀 대부분을 중앙지검 공판팀으로 보낼 가능성이 높다"며 "공소유지를 위한 인력이 많이 필요한 사건인 데다 워낙 전문적 분야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성윤, 삼성 권고 따르면 채널A 권고도 따라야…기소 결단 채근"
![이성윤 서울중앙지방검찰청장이 1월 13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에서 열린 ‘제61대 서울중앙지검 검사장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마치고 단상을 내려오고 있다. [뉴스1]](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8/30/ff9c8991-82b8-4627-bcac-4e55a77656b4.jpg)
이성윤 서울중앙지방검찰청장이 1월 13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에서 열린 ‘제61대 서울중앙지검 검사장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마치고 단상을 내려오고 있다. [뉴스1]
이번 삼성 의혹 사건에서 중앙지검 책임자인 이성윤 지검장은 뒤로 빠져있다. 이 지검장은 이미 수사팀이 이 부회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할 때부터 수사팀과 함께 기소 의견을 견지했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채널A 기자 강요미수 의혹 사건을 계기로 윤 총장과의 대면보고가 중단됐다.
때문에 이 지검장은 이번 사건과 관련해 매주 이 부장을 통해서 윤 총장에게 기소 결단을 압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검찰 간부는 “이 지검장이 직접 나서지 않는 대신 거의 매주 이 부장을 총장실에 들여보내 이 부장과 윤 총장에게 기소 결정을 채근했다고 하더라"고 전했다.
이와 관련, 이 지검장이 수사심의위의 결정을 따르지 않기 위해 기소에 의지를 보인다는 얘기도 나온다. 한 검찰 간부는 "이 지검장이 수사심의위 권고를 따르면 채널A 수사심의위가 한동훈 검사장에 대한 수사 중단을 권고한 것 역시 따라야 하는 점도 고려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 검사장의 수사를 이어가려면 심의위의 결정을 따르지 않아야 하는데 이재용 부회장 건을 따를 경우 그만큼 부담이 커진단 얘기다.
이 부회장 사법처리 임박…인사 부임 9월 3일 전 예상
이 부회장에 대한 사법처리는 다음 주 초 최종 결론이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수사팀장인 이 부장이 다음 달 3일 대전지검에 부임하기 전이다. 검찰 내부에서 이 부회장에 대한 기소 관측이 우세한 가운데 기존 수사팀의 주장대로 자본시장법과 외부감사법 위반 혐의 모두를 적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사팀은 이미 이달 중순께 윤 총장에게 '이 부회장 기소' 의견을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게 되면 검찰은 수사심의위의 불기소 권고를 처음으로 불복했다는 비판을 감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강광우·박사라 기자 kang.kwangwoo@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