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처음 본 영화 007의 흥분 살렸다” 놀런의 SF첩보액션 ‘테넷’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2면

크리스토퍼 놀런 감독의 테넷(사진)은 코로나19 이후 국내 처음 개봉하는 할리우드 신작 블록버스터다. [사진 워너브러더스 코리아]

크리스토퍼 놀런 감독의 테넷(사진)은 코로나19 이후 국내 처음 개봉하는 할리우드 신작 블록버스터다. [사진 워너브러더스 코리아]

“‘인터스텔라’에 대한 한국인들의 호응에 감동했어요. 무척 개인적이고 내 심장에 가까운 영화여서 더 기뻤죠. 이번 영화 ‘테넷’도 한국 관객이 세계 최초로 보는 이들에 포함됐다는 게 기뻐요.”

새 블록버스터 개봉 놀런 전화인터뷰 #20년 전 ‘메멘토’ 속 장면이 출발점 #총알 거꾸로 가듯 시간 역주행 기법 #CG 줄이고 대부분 액션 실제 촬영 #시사회 본 관객 “어려운데 재미있다”

26일 개봉하는 첩보액션 영화 ‘테넷’으로 돌아온 영국 감독 크리스토퍼 놀런(50)의 말이다. 코로나19 속 미국에서 영화 막바지 작업 중이던 그를 전화로 인터뷰했다.

기존 시리즈를 새로 단장한 ‘배트맨’ 3부작부터 시공 초월 액션을 선보인 ‘인셉션’, 전쟁 영화 ‘덩케르크’ 등 한국 관객의 ‘놀런 사랑’은 각별했다. 우주 탐사를 그린 SF ‘인터스텔라’는 한국에서 1000만 관객을 모으며 북미·중국 다음가는 흥행을 거뒀다.

각본·제작을 겸한 그가 “지금껏 가장 야심찬 영화”라 말한 ‘테넷’은 지난 21·22일 사전 유료 시사회부터 전국 593개관에서 이틀 만에 8만4000명이 관람했다.

주로 “어렵다”는 반응이지만 “다시 보고 싶다”며 해석에 의지를 불태우는 관객도 적지 않다. 세상을 파괴하려는 악당 사토르(케네스 브래너)가 미래에서 보낸 공격에 맞서, 작전의 주도자인 주인공(존 데이비드 워싱턴)이 과거·현재·미래를 오가며 첩보를 펼치는 다소 복잡한 이야기여서다. 멸망을 막을 유일한 단서 ‘테넷’(tenet, 주의·교리)의 정체가 아리송할뿐더러 시간을 되돌리는 방법인 ‘인버전’의 개념도 생소하다. 기존 시간여행 작품들처럼 짠, 마법처럼 시공을 오가는 게 아니라 물리학 이론을 활용, 사물의 엔트로피를 거꾸로 반전시켜 시간을 거스른단 설명이다. 노벨물리학상 수상 학자 킵 손이 ‘인터스텔라’에 이어 대본 검토에 참여했다.

'테넷' 촬영 현장에서 크리스토퍼 놀런 감독과 주연 배우 존 데이비드 워싱턴(왼쪽부터). [사진 워너브러더스 코리아]

'테넷' 촬영 현장에서 크리스토퍼 놀런 감독과 주연 배우 존 데이비드 워싱턴(왼쪽부터). [사진 워너브러더스 코리아]

미래에서 과거로 거슬러온 무기는 작동 방식도 정반대다. 총을 쏘는 게 아니라 이미 발사된 총알이 방아쇠를 당기면 총구로 빨려들며 타깃을 관통하는 신개념 총격 액션이 펼쳐진다. 총알 역행 장면은 놀런 감독의 출세작인 ‘메멘토’에도 나온 적이 있다. 단기기억손실증에 걸린 주인공이 살인 현장을 되짚는 첫 장면에서다. ‘테넷’의 아이디어가 태동한 게 바로 ‘메멘토’가 나온 20년 전이었다.

20년 전 어떤 아이디어가 처음 떠올랐나.
“몇 가지 생각난 이미지 중 가장 중요한 열쇠가 벽에 박혀있던 총알이 빠져나와 총구로 다시 빨려 들어가는 것이었다. ‘메멘토’에선 캐릭터의 시점을 표현하는 일종의 은유였지만 6~7년 전쯤 그로부터 발전한 거대한 첩보물 시나리오를 시도하게 됐고 여기에 SF가 결합하게 됐다.”
기존의 시간여행이 아닌 ‘인버전’이란 개념에 매료된 이유는.
“시간여행 영화의 세계에 신선함을 불어넣고 싶었다. 시간을 조작하되, 매우 구체적이고 이해할 수 있는 방식, 많은 제한 속에서 해내고 싶었다. 그래야 관객들이 이야기에 동승할 수 있을 테니까. 비록 그 결과물이 복잡할지라도 더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표현하려 했다.”

영화에서 시간을 거스르는 장치는 두 개의 출입구가 있는 회전문 형태로 표현된다. 미래에서 현재로 다가오는 방향은 푸른색, 현재에서 미래로 멀어지는 방향은 붉은색 빛이 감돈다. 이는 놀런 감독이 기존 우주의 빛 개념을 적용한 것. 우주에서 별이 우리를 향해 다가올 때 빛의 파장이 더 짧은 푸른색 스펙트럼으로, 반대로 멀어질 땐 파장이 길어지면서 붉은색 스펙트럼으로 치우쳐 관측되는 걸 각각 청색 편이와  적색 편이라고 한다.

‘인셉션’이 무의식을 조작해 시공간을 초월한단 점에서 ‘테넷’을 그 속편으로 보는 관점도 있다.
“연관성은 없지만, 문학적인 영적인 속편이랄 순 있겠다. 하지만 ‘테넷’은 스파이 영화고 ‘인셉션’은 하이스트 영화(범죄자들이 모여 무언가를 훔치는 장르)다. 둘 다 SF 요소를 차용한 액션으로 각 장르를 더 신선하고 신나게 재평가하고, 재접근하도록 만든다는 점은 같다.”
왜 ‘테넷’에선 첩보 장르를 택했나.
“영화관에서 처음 본 영화가 ‘007 나를 사랑한 스파이’(1977)였다. 그 규모와 화려함, 느꼈던 흥분이 기억난다. ‘테넷’은 오늘날 대형 스크린에서 보는 느낌은 어떤 건지 알려주려는 시도다. 스파이물 세계의  매력을 전하려면 약간의 신선함을 끼얹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야 관객도 신선한 눈으로 볼 수 있을 테니까.”

영화엔 초대형 액션도 많다. 역사상 최대 규모 야외 세트장도 지었다고 한다. 실물을 동원한 보잉 747 비행기와 격납고 폭발 장면도 압권이다. 프로듀서 엠마 토마스가 “‘테넷’은 10년 전이라면 만들 수 없었을 영화”라고 했을 정도다. 컴퓨터그래픽(CG) 활용 특수효과 장면을 놀런 감독 영화 중 가장 적은 300개 미만으로 하고 대부분 실제 촬영했다. “관객도 그려 넣은 것과 실제 촬영한 것의 차이를 알 것”이라면서다.

‘인터스텔라’ ‘덩케르크’ 등 최근작에선 가족 사랑과 휴머니즘을 통한 희망을 강조하는 경향이 보인다.
“영화감독으로서 색다른 것을 시도하고 본능적 방식으로 작업하려 노력하지만, 인생 경험을 더 하게 되면서 실제 나를 감동하게 하는 것에 열려있게 된다. 나는 네 아이를 둔 ‘패밀리맨’이고 얼마 전엔 맏이가 대학에 입학해 작별인사를 하고 집을 떠난 게 무척 마음에 남았다. 더 오래 영화를 찍을수록 캐릭터들에 대한 감정적인 연결고리가 영화 제작에 더 많은 동기부여가 된다. 영화의 기술, 메커니즘보다 더 말이다.” 

나원정 기자 na.wonje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