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남북 돌파구 찾는 한국 vs 미국에 맞설 우군 찾는 중국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700호 08면

중국 외교수장 양제츠 방한

21일 부산 김해국제공항으로 입국한 양제츠 중국 외교 담당 정치국 위원(가운데)이 차량을 통해 공항을 빠져나오고 있다. 양 위원은 22일 서훈 국가안보실장과 회담할 예정이다. 송봉근 기자

21일 부산 김해국제공항으로 입국한 양제츠 중국 외교 담당 정치국 위원(가운데)이 차량을 통해 공항을 빠져나오고 있다. 양 위원은 22일 서훈 국가안보실장과 회담할 예정이다. 송봉근 기자

중국 외교정책을 총괄하는 양제츠 중국 중앙정치국 외교 담당 정치국 위원이 21일 오후 부산에 도착해 1박 2일간의 방한 일정을 시작했다. 양 위원의 한국 방문은 2018년 이후 2년 만이다.

선물 바라는 한국 #중국에 북한 설득 등 역할 요청 #한한령 해제, 경제 숨통 기대 #청구서 내밀 중국 #화웨이·남중국해·홍콩 문제 등 #‘중국 지지해 달라’ 메시지 전할 듯

양 위원은 이날 부산 김해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했다. 서훈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의 초청으로 방한한 양 위원은 22일 서 실장을 만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고위급 교류, 한반도 정세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 시기와 일정 조율도 주요 의제 중 하나다.

이와 관련,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시 주석 방한 문제가 회담의 주요 의제 중 하나가 될 것”이라며 “양국은 코로나19 사태가 안정돼 여건이 갖춰지는 대로 시 주석의 방한이 적절한 시기에 성사될 수 있도록 협의해 왔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양 위원의 방한이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사태 이후 냉각됐던 양국 관계의 완전한 해빙을 알리는 신호탄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한령(限韓令) 해제와 경제 협력 강화와 함께 교착 상태에 빠져 있는 남북관계의 돌파구를 마련하는 데 있어서 중국의 역할에 대한 기대감도 흘러나온다.

서 실장과 양 위원은 22일 오전 회담에 이어 오찬 협의를 이어나갈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 서 실장은 남북관계와 관련해 중국의 적극적인 역할을 요청할 가능성이 크다. 앞서 이인영 통일부 장관은 싱하이밍(邢海明) 주한 중국대사와 만난 자리에서 남북관계에서 중국의 ‘건설적 협력’을 요청했고 이에 중국 측은 “옆에서 밀고 끌며 돕겠다”고 화답한 바 있다.

하지만 한편에서는 양 위원이 ‘선물’과 함께 들고 올 ‘청구서’ 또한 만만찮을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이번 회담에서 한국이 대북관계의 돌파구를 찾는다면, 중국은 미국의 ‘반중 전선’을 돌파할 동력을 확보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이란 전망에서다.

미국이 한국에 G7(주요 7개국) 회의 초청 의사를 밝히고 경제협력네트워크(EPN) 등 ‘반중 블록’ 참여를 압박하는 상황에서 이에 응하지 말라는 중국의 강력한 메시지를 양 위원이 전달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실제로 양 위원은 한국 방문에 앞서 지난 20일 리셴룽(李顯龍) 싱가포르 총리와 회담하는 등 적극적으로 ‘우군’ 확보에 나선 상태다.

21일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에 따르면 양 위원은 리 총리를 만난 자리에서 “현재 국제 정세에는 불안정하고 불확실한 요소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며 “중국은 싱가포르와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각국과 손잡고 불안정한 국제 정세를 잠재우고 국제사회의 정의와 평화를 수호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최근 남중국해 문제로 관계가 소원해진 아세안에 우호적인 제스처를 취하는 동시에 ‘국제사회 정의’를 내세우며 미국 견제에 나선 것이다.

11월 대선을 앞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최근 화웨이와 남중국해, 홍콩 문제 등에서 중국을 향한 전방위적 압박에 나선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은 한국 정부에 최소한 중립을 지키거나 중국을 지지해 달라는 요구를 할 것으로 보인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도 이날 양 위원의 한국 방문에는 중국의 ‘내 편 만들기’ 의도가 짙게 담겨 있다고 분석했다. 청샤오허 중국 인민대 국제관계학 교수는 SCMP에 “시 주석의 방한이 유력한 이유 중 하나는 문 대통령이 코로나19 중국 책임론과 홍콩 보안법 등 중국 정부가 민감하게 여기는 문제들에 대해 침묵을 지켰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다만 외교가에서는 양 위원이 22일 서 실장과의 회담에서는 한국에 공개적인 입장을 요구하기보다는 시 주석 방한과 관련된 의제를 구체화하는 데 집중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런 가운데서도 시 주석 방한 일정이 확정되는 시점에서는 미·중 사이의 ‘줄타기 외교’가 또 한 번 시험대에 오르게 될 공산이 크다고 내다봤다.

박원곤 한동대 국제지역학과 교수는 “싱가포르에서 양 위원이 이야기한 걸 보면 공개적으로는 발언 수위를 조절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다만 시 주석이 방한할 경우 조금 더 강한 메시지를 가지고 올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백희연 기자 baek.heeyo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