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더오래]비오는 날 빠져드는 무아지경…산막이란 그런 곳

중앙일보

입력

[더,오래] 권대욱의 산막일기(60)

유튜브로 하루를 연다. 그간 갈무리해두었던 이야기들을 영상으로 만들고 올리고 알리는 일이다. 모두가 옳고 바른 소리, 이 세상 갖은 좋고 옳은 말을 내 입으로 말하다 보면 나 스스로 그러하지 못함이 부끄러워 “너나 잘하세요”라 말하는 사람들의 소리가 더욱 크게 들리는 듯해 많이 외롭기도 하다.

지행합일(知行合一), 언행일치(言行一致)가 군자의 첫째 덕목임을 알지만, 그렇지 못한 내가 그럼에도 이 일을 계속함은 ‘내가 그렇다가 아니요, 나도 그러고 싶다, 함께 우리 그 길로 갑시다, 이 세상에 진실로 행하는 자만이 말할 수 있다면 그 누가 말할 수 있으리오’라는 믿음 때문이다.

만들다 보면 자연 읽고 말하고 생각하고 음악을 찾게 된다. 공부가 되고 결심도 하게 된다. 가르치고 배우며 함께 커나간다는 교학상장(敎學相長). 그 이상을 실현한다 생각하면 하루 두세 개의 영상, 서너 시간의 수고가 무슨 대수겠나? 무엇보다 나 스스로 행복하고 즐거우니 다른 이유야 아무래도 좋겠다 싶다. 누가 돈 주고 하란 들 이렇게 하겠나? 내가 좋아서 하는 일이니 내가 오히려 아주 고맙다.

연못물의 흐름을 보고 개울물 높이를 짐작하듯, 사람의 글로 그 마음의 깊이를 짐작한다. 이 정도면 건너기 지장 없겠구나, 이 정도면 마음 나누어도 괜찮겠구나. 손으로 찍어 맛을 봐야 된장인 줄 아는 건 아니다. 색깔도 있고 냄새도 있다.

나는 어떤 냄새, 어떤 색일까? 비 내리는 산막은 고즈넉하다. 비 오는 세상에 비 맞지 않는 안온함. 산막은 내게 늘 그런 곳이다. 톨스토이가 레빈을 통해 느끼는 무아의 몰입과 행복을 느낄 수 있는 그런 곳이다. 풀 베기를 하고 잔디를 깎아보자. 거기에 온 마음과 몸을 던져보자. 시공도 정지되고 몰입이 있고 자신을 잊는다. 레빈이 말했던 풀을 베는 것이 아니라 낫이 스스로 풀을 베는 느낌을 느낄 수 있다.

이런 느낌을 기록하고 나와 너로 소통하는 것, 그리고 죽음의 존재를 늘 잊지 않는 것. 이것이 톨스토이를 관통하는 사상의 주류였다면 그와 나는 150여 년의 시공을 뛰어넘는 친구이다. 그의 글이 없다면 내가 어찌 그와 내가 친구임을 알겠는가? 글이 없다면 어찌 사람들이 내 마음의 지향과 이상을 알겠는가? 글은 이처럼 위대하다.

산막은 일종의 공동체다. 주말엔 함께 모여 밥도 먹고 공동작업도 한다. 어제는 닭을 잡고 공동 방제를 실시했다. 함께 한지 어언 20년이다. 혼자는 힘든 일들이 이웃을 만나 금새 해결된다.

산막은 일종의 공동체다. 주말엔 함께 모여 밥도 먹고 공동작업도 한다. 어제는 닭을 잡고 공동 방제를 실시했다. 함께 한지 어언 20년이다. 혼자는 힘든 일들이 이웃을 만나 금새 해결된다.

어제 남은 죽 한 사발로 아침을 때웠더니 12시도 되기 전에 허기가 져 부랴부랴 밥 안치고 얼린 목살 꺼내 구워 먹었다. 약죽이고 뭣이고 죽은 죽인가 보다. 오후 내내 단잠을 잤다. 연이틀 손님에 운동에 술에 곤했던가 보다. 수면 총량 불변의 주창자인지라 밤잠 걱정도 못 하겠다. 그래 잠은 잠 올 때 자면 되지. 내일 서울 일을 생각한다. 촘촘하다. 그러나 서두르지 않는다. 회사 일도 궁금하고, 맡은 일도 해야 하고, 세 개 회사 일보는 게 간단치는 않지만 즐거움으로 임한다. 언제나 즐거움으로 임하고자 노력한다.

어제 내가 아끼는 인품 좋고 인물 좋고 유능하기까지 한 CEO에게 말했다.

“미구에 닥칩니다. 미리미리 준비하셔 오래오래 그 경륜과 지혜를 나누십시오. 욕심만 좀 버리시면 됩니다. 그 오랜 세월 쌓아온 그 수많은 상황과 경우와 내공을 사장하면 안 됩니다. 반드시 남겨주고 가십시오.”

그렇다. 오늘의 내가 나의 힘만으로 존재한다 믿는 것은 지독한 오만이다. 사회와 타인과 시스템의 덕이 컸다. 받았으니 나누는 것은 당연하지 않은가? 저녁은 밥에 물 말고 보리굴비 남은 거 한 젓가락에 감자 세 톨이다.

에효, 개는 사료만 먹여야 한다는데, 사료 안 먹고 비쩍 마른 게 도저히 못 보겠어 황기 인삼 넣은 닭죽도 먹이고 전복죽도 먹이고 이것저것 먹였더니 기운이 펄펄 마구 휘젓고 다닌다. 풀 죽어 있는 것보단 낫다 싶은데 그나저나 앞으로 어째야 하나.

얼굴 확실히 많이 탔다. 그런데 피부도 좋아지고 머리숱도 많아졌다. 내 말이 아니라 곡우의 말이다. 좋아졌다는 이야기다. 얼굴은 얼의 굴이라니, 역으로 말한다면 그간의 삶이 스트레스였다는 이야기도 된다. 다시 한번 깨닫는다. 모든 업은 어쩔 수 없는 스트레스였음을. 아무리 세상을 떠난 마음으로 세상의 일을 하고 세상에 메인 마음으로 세상 밖의 일을 하더라도 그것은 어쩔 수 없는 굴레였음을…. 그러니 어쩌겠나? 구성원은 견딜 수 있을 만큼 줄이고 조직은 그렇게 줄여주도록 노력할밖에.

(주)휴넷 회장·청춘합장단 단장 theore_creator@joongang.co.kr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