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현대·기아차, 2분기 글로벌 완성차 업체 중 유일하게 ‘흑자’

중앙일보

입력

제네시스 최초의 SUV GV80. 사진 제네시스

제네시스 최초의 SUV GV80. 사진 제네시스

현대자동차의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52.3% 줄어든 5903억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주요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모두 큰 폭의 적자를 낸 가운데 시장 컨센서스(3000억원대)를 상회하며 선방했다.

현대차는 2분기 글로벌 도매 판매 70만3976대, 매출액 21조8590억원(금융∙기타 5조8025억원 포함), 영업이익 5963억원, 순이익 3773억원의 경영실적을 올렸다고 23일 밝혔다. 코로나19 본격 확산에 따른 주요 시장의 이동제한 조치, 공장가동 중단 등으로 영업이익이 반토막 났다. 판매량은 지난해 2분기와 비교해 36.3% 감소했다.

하지만 1분기와 마찬가지로 국내 시장이 실적을 떠받쳤다. G80∙GV80∙아반떼 등 신차 판매가 급증하며 국내에선 오히려 지난해 2분기 대비 12.7% 늘어난 22만5552대를 팔았다. 해외 시장에선 지난해 2분기 대비 47.8% 감소한 47만8424대를 판매했다. 소형차 중심의 신흥국 판매가 급락한 반면, 고가 준대형 위주의 국내 판매가 호조를 보이면서 선방한 것이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 2분기 영업이익 추정치

글로벌 완성차 업체 2분기 영업이익 추정치

국내 판매 호조가 해외 감소 폭 떠받쳐 

여기에 원화 가치가 지난해 2분기 달러당 1166원에서 올해 2분기 1221원으로 떨어지면서 우호적인 환율 환경이 조성된 것도 한몫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개별소비세 인하, 노후 차 교체 지원 등 국내 시장의 세제 혜택 효과, 그리고 제네시스 라인업을 중심으로 한 신차 판매 호조 등의 요인이 맞물리며 수익 감소를 소폭 줄일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하반기 자동차 수요 회복에 대한 기대감에도, 코로나19 재확산 및 경기침체 우려가 여전한 상황”이라며 “하반기에도 선제적인 유동성 관리를 지속해 나가는 한편, 주요 신차의 성공적인 출시 및 지역별 판매 정상화 방안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수익성 방어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이 같은 현대차의 2분기 실적은 도요타∙폴크스바겐∙GM 등 주요 글로벌 완성차 업체가 큰 폭의 적자를 기록한 것과 대비된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2분기 영업손실 추정치는 도요타가 1조2465억원, 폴크스바겐이 2조원대에 달할 것으로 집계됐다. 포드의 경우 2분기에만 6조원에 달하는 손실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의 상반기 누계 실적은 판매 160만7347대, 매출액 47조1784억원, 영업이익 1조4541억원이다.

2분기 국내 역대 최다 판매한 기아차, 영업익은 급감

같은 날 기아차는 2분기 영업이익이 1451억원으로 지난해 2분기 대비 72.8% 줄었다고 발표했다. 매출액은 11조3688억원으로 지난해 2분기보다 21.6% 줄었고, 순이익도 1263억원으로 75% 급감하긴 했지만, 현대차와 마찬가지로 시장 예상치보다는 실적이 좋았다.

기아차 관계자는 “하반기에는 국내 시장에 출시할 신형 카니발, 해외 시장 진출을 앞둔 K5와 쏘렌토 등 신차와 셀토스 등 고수익 차종 판매 확대, 북미 시장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텔루라이드 증산 등으로 수익성 확보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아차는 국내에서 K5 등 신차 효과와 개소세 인하 영향으로 판매가 지난해 2분기 대비 26.8% 늘면서 역대 최다 판매를 기록했다. 반면 해외 판매는 39.7% 줄었다. 북미 -40.3%, 유럽 -50.6%, 기타시장 -46.0%로 모두 마이너스였고, 중국은 5.3% 증가했다. 기아차는 지난해 기준 매출에서 북미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이 27%로 현대차(16%)보다 크게 높은 편이다. 기아차의 상반기 누계 실적은 판매 116만4735대, 매출액 25조9357억원, 영업이익 5896억원이다.

부품업체 “위기극복 자금 40%만 확보”

예상보다 선방했지만, 예년보단 확연히 나빠진 실적이어서 현대·기아차에 기대는 부품업체들의 사정은 좋지 않다. 자동차산업연합회와 중견기업연구원이 국내 완성차·부품업체 130곳을 설문 조사한 결과, 이들은 올해 매출이 25%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유동성 위기 극복을 위해 필요한 자금은 평균 74억원인데 현재 41% 정도만 확보했다고 답변했다.

박성우 기자 blast@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