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日영화 주연 심은경 "배우 안 맞나…'번아웃' 겪은 20대초 떠올리며 찍었죠"

중앙일보

입력

배우 심은경(오른쪽)이 일본 톱스타 카호와 주연한 영화 '블루 아워'가 오는 22일 개봉한다. [사진 오드]

배우 심은경(오른쪽)이 일본 톱스타 카호와 주연한 영화 '블루 아워'가 오는 22일 개봉한다. [사진 오드]

“상 받고 달라진 점요? 저도 느껴보고 싶었는데 코로나 때문에 밖에 못 나가서 체감을…(웃음). 제가 둔감한 건지 몰라도 수상 이후로도 큰 변화가 있으리라고 생각진 않아요. 정말 기쁘지만 상에 좌우되지 않고 작품 크기, 역할 상관없이 좋은 작품을 해나가고 싶어요.”

일본영화 데뷔작 ‘신문기자’(2019)로 올 3월 외국인 배우 최초로 일본 아카데미 최우수 여우주연상을 차지한 배우 심은경(26)의 말이다. 2017년 일본 매니지먼트사와 전속 계약을 맺고 일본 활동을 시작한지 올해로 3년이 됐다. 일본 도쿄에 있는 그를 지난 12일 화상통화로 만났다. 그는 “올 2월 초 tvN 드라마 ‘머니게임’ 촬영을 끝내고 시상식·인터뷰 일정상 일본에 왔는데 한국 한번 나가야지 할 때 코로나가 심해졌다”면서 “가족들을 못 만나 아쉽지만 열심히 살고 있다”며 씩씩하게 웃었다.

22일 개봉 일본영화 '블루 아워' 주연 #극 중 '번아웃' 경험 20대 초 겪어 공감 #일본 무대 도전 3년차…'신문기자'로 데뷔 #일본 아카데미 최우수 여우주연상 수상

엉뚱유쾌 심은경 "디즈니 캐릭터 같았죠"

지난 1월 서울 강남구 임피리얼팰리스호텔에서 열린 tvN 드라마 '머니게임' 제작발표회에 참석한 심은경. [연합뉴스]

지난 1월 서울 강남구 임피리얼팰리스호텔에서 열린 tvN 드라마 '머니게임' 제작발표회에 참석한 심은경. [연합뉴스]

아베 신조 총리가 연루된 사학 스캔들을 파헤친 영화 ‘신문기자’(2019)에서 정권 비판적인 기자 역을 맡아 일본배우는 하기 힘든 연기를 해냈다고 평가받은 그다. 오는 22일 개봉하는 영화 ‘블루 아워’에서도 독특한 캐릭터를 선보인다.

유명 CF 감독 출신인 하코타 유코 감독의 자전적 데뷔작인 ‘블루 아워’에서 심은경은 일도, 결혼도 지쳐버린 CF 감독 스나다의 백수 친구 기요우라를 연기했다. 스나다 역인 일본 톱스타 카호와 한몸같은 ‘케미’를 보여주며 두 사람은 지난 3월 다카사키영화제에서 최우수 여우주연상을 공동수상했다.

'블루 아워'에서 기요우라(심은경, 맨 왼쪽)는 도깨비소굴 같은 스나다네 시골에서 고봉밥도 척척 먹고 막춤까지 선보인다. 그는 ’우리 옆에 살고 있을 법한 인물을 연기한다는 게 굉장한 디테일, 어려움이 많다. 제 스스로 그런 벽을 깨고 싶었다“면서 ’너무 과장하지 않아야 할 텐데 약간 겁도 났지만 하코타 감독님이 자신감을 갖도록 적극 밀어주셨다“고 했다.  [사진 오드]

'블루 아워'에서 기요우라(심은경, 맨 왼쪽)는 도깨비소굴 같은 스나다네 시골에서 고봉밥도 척척 먹고 막춤까지 선보인다. 그는 ’우리 옆에 살고 있을 법한 인물을 연기한다는 게 굉장한 디테일, 어려움이 많다. 제 스스로 그런 벽을 깨고 싶었다“면서 ’너무 과장하지 않아야 할 텐데 약간 겁도 났지만 하코타 감독님이 자신감을 갖도록 적극 밀어주셨다“고 했다. [사진 오드]

심은경은 기요우라 역에 대해 “디즈니 캐릭터 같았다”고 했다. “항상 연기해보고 싶었죠. ‘알라딘’의 지니, ‘겨울왕국’ 올라프 같은 존재요. 항상 주인공 옆에서 위로를 주고 뭔가 각성하는 매개체가 되잖아요. 그런 점이 기요우라의 가장 큰 매력이었어요.”

"애드리브 마구 날려…날 것의 연기"

심은경 특유의 따뜻한 코미디가 묻어나지만, 빙의 흉내가 실감나던 전작 ‘써니’의 고등학생 나미, ‘수상한 그녀’에서 20살로 회춘한 칠순 할매 말순과는 결이 다르다. 컴컴한 방에서 컴퓨터로 요상한 이미지를 조작하며 괴이하게 웃는 첫 등장부터 범상치 않다. 삐딱하게 담배를 물고 비틀대며 걷고 고래고래 노래를 부르는 모습도 심은경이 한국 작품에선 잘 보여주지 않았던 장면이다.

“감독님이 대본에 없는 아이디어, 애드리브를 카오상 모르게 막 날려주면 좋겠다, 거기서 만들어진 날 것의 연기를 보고 싶다고 했어요. 저도 실로 오랜만에 제 안에서 필터를 거르지 않고 정말 자유롭게 연기했죠.”

영화 '특별시민' '염력', 드라마 '머니게임' 등 최근 한국에서 다소 진지한 분위기의 작품을 해온 심은경은 이번 영화 '블루 아워'(사진)에선 엉뚱한 애드리브를 마구마구 던졌다. [사진 오드]

영화 '특별시민' '염력', 드라마 '머니게임' 등 최근 한국에서 다소 진지한 분위기의 작품을 해온 심은경은 이번 영화 '블루 아워'(사진)에선 엉뚱한 애드리브를 마구마구 던졌다. [사진 오드]

심은경과 '서울역' '부산행'을 함께한 연상호 감독은 이 영화 속 심은경을 두고 "무슨 사고라도 칠 것 같은 불안함과 동시에 곁에 있어 따뜻한, 기묘한 든든함을 연기했다"는 감상평을 남겼다. [사진 오드]

심은경과 '서울역' '부산행'을 함께한 연상호 감독은 이 영화 속 심은경을 두고 "무슨 사고라도 칠 것 같은 불안함과 동시에 곁에 있어 따뜻한, 기묘한 든든함을 연기했다"는 감상평을 남겼다. [사진 오드]

‘써니’를 제외하곤 남자 배우들과 작업이 많았던 터. 심은경은 “카호상이 세 살 위인데 동년배 여성 배우와 같이 촬영할 수 있다는 게 신선했다”며 “영화 속 우정처럼 서로한테 느낀 동질감이 있었다. 마지막 촬영 때 되게 슬펐다”고 돌이켰다.

20대 초에 번아웃…계속할 수 있을까

어느덧 배우 18년차인 심은경은 “스나다처럼 ‘번아웃’ 돼서 뭘하고 있는지 모르겠는 때가 있었다”며 이번 영화에 공감했던 이유를 설명했다. 2003년 드라마 ‘대장금’ 단역으로 데뷔, ‘결혼하고 싶은 여자’ ‘장길산’, 영화 ‘헨젤과 그레텔’ 등의 아역을 거친 그는 “20대 초반 번아웃이 왔다. 계속 연기할 수 있을까, 나하고 맞는 직업일까 고민했다”고 고백했다.

“스무 살이 돼서 성인 연기자로 발돋움했는데 아직 내 자신이 확립되지 않은 부분이 있었어요. 당시 ‘수상한 그녀’(866만 관객)라는 작품으로 큰 영광, 많은 관심을 받게돼 기쁘고 행복했지만 혼란스러웠죠. 아직 배우로서 자아랄지, 너무 아무것도 없는 상태여서 ‘내가 뭐 하고 있는 거지’ 싶었어요.”

그는 “이전엔 많은 경험을 쌓고 다른 걸 계속 보여줘야한다는 강박이 있었다”면서 “시간이 지나며 버텨냈다. 이제 20대 후반으로 접어드는데 그때보단 조금 더 딛고 일어설 수 있는 힘이 생겼다”고 말했다. 작품 선택 기준도 달라졌다. “내가 이 캐릭터를 만들어나갈 여유가 있는지, 무엇보다 연기하고 싶은지, 영화가 가진 메시지에 동의하는지가 가장 중요해졌다”는 것이다.

일본서 신인배우 도전장 낸 이유는…

지난 3월 일본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영화 '신문기자'로 외국인 배우 최초 최우수 여우주연상을 수상한 심은경. 이날 "전혀 생각지 못했다"는 그의 눈물의 소감은 현지에서도 큰 화제가 됐다. [일본 아카데미시상식 트위터 캡처·연합뉴스]

지난 3월 일본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영화 '신문기자'로 외국인 배우 최초 최우수 여우주연상을 수상한 심은경. 이날 "전혀 생각지 못했다"는 그의 눈물의 소감은 현지에서도 큰 화제가 됐다. [일본 아카데미시상식 트위터 캡처·연합뉴스]

일본에서 다시 신인부터 도전장을 낸 건 “한국뿐 아니라 여러 나라에서 작품을 해보고 싶다는 생각”에서다. “부모님 권유로 갔던 고등학교 미국 유학도 당시엔 사춘기랑 현지 적응의 혼란이 겹치면서 의미를 찾지 못했는데 결국 연기에 다 밑거름이 되더군요. 뭐든 좋은 것들을 내 것으로 받아들이고 싶어요.”

코로나19로 요즘은 하루 15분 산책 외엔 집에서 한국어 책을 읽거나 일본어 한자‧경어 등을 화상 전화로 공부하며 일상을 보낸다. “일본어로 장보는 건 문제 없지만 매스컴 취재에 응할 때는 조금 부족한 초급 실력”이란 그는 “대본 받았을 때 번역 없이 읽는 단계까지 욕심난다”고 했다.

'블루 아워'에서 실제론 3살 위인 상대역 카호(왼쪽)와 심은경은 촬영 현장에서도 극 중 친구처럼 가깝게 지냈다고. [사진 오드]

'블루 아워'에서 실제론 3살 위인 상대역 카호(왼쪽)와 심은경은 촬영 현장에서도 극 중 친구처럼 가깝게 지냈다고. [사진 오드]

일본 대중들은 심은경을 어떤 배우로 받아들이고 있을까. “잘 의식하지 않는 편이에요. 일본이건 한국이건 주어진 역할에 최선을 다하는 것뿐이죠. 정성스럽게 만든 캐릭터와 영화를 관객들이 좋은 추억으로 간직한다면 배우로서 그만한 보람이 없거든요. 그렇게 연기해나가고 싶어요.”

관련기사

나원정 기자 na.wonje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