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폼페이오 연일 "북미 회담 가능성 없다"…일각선 "10월 방콕 가능성"

중앙일보

입력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16일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비핵화의 중대 진전을 이룰 수 있는 증거를 보지 못했다"며 "대선 전 정상회담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로이터=연합뉴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16일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비핵화의 중대 진전을 이룰 수 있는 증거를 보지 못했다"며 "대선 전 정상회담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로이터=연합뉴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16일(현지시간) "미 대선 전 북·미 정상회담이 열릴 것으로 기대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북한의 비핵화를 향한 중요한 진전을 이룰 수 있다는 증거를 아직 보지 못했다"라고 하면서 거듭 3차 정상회담 가능성에 회의적 반응을 보인 셈이다. 다만 "북한과 다양한 형식의 대화를 하고 있다"며 실무협상 재개를 위한 물밑 접촉은 진행 중임을 내비치기도 했다.

"비핵화 향한 중대 진전 증거 못 봐, #내가 틀리길 바라지만 기대는 안 해" #카자니스 "트럼프 대선 돌파구 원해, #'영변+알파' 맞춤형 제재 완화 검토" #국무부 "유연한 접근 용의,협상 복귀" #'재선 불확실성'에 북한 나설지 불투명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이날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평양이 대화 재개에 관심을 표명했느냐는 질문에 "북한과 대화는 공개적으로 자주 언급하진 않지만 많은 레벨에서 다양한 형식으로 이뤄지고 있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내가 말한 건 성취할 무언가가 있지 않은 한 북한과 정상회담을 하지 않을 것이고, 김정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이 한자리에 모이도록 하지 않을 것이란 점"이라고 강조했다.

15일 의회전문지 더 힐과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진정한 진전이 있을 때만 정상회담을 하기를 원한다"라고 했던 발언을 되풀이한 셈이다.

그는 이어 "만약 우리가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고, 북한의 비핵화라는 세계적 목표를 향해 중대한 진전(significant step)을 이룰 수 있는 지점에 도달한다면 정상들이 다시 만날 방법을 찾을 것"이라면서도 "대선까지 불과 몇달밖에 안 남았고 두 정상이 만날 수 있는 지점에 도달할 것이란 증거는 아직 보지 못했다"라고 했다. "내가 틀리고 그럴 기회를 얻기를 희망하지만, 그럴 것이라고 기대하진 않는다"고 덧붙였다.

폼페이오 장관은 필라델피아 국립헌법센터 연설에선 "북한과 베네수엘라·이란·러시아·중국 등의 권위주의 정권들은 매일 중대한 인권침해를 자행하고 있다"며 날을 세우기도 했다.

앞서 스티븐 비건 국무부 부장관 겸 대북특별대표가 지난 8일 “김정은 위원장이 협상 권한이 있는 카운터파트(협상 상대)를 임명하는 순간 우리가 준비돼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라고 실무협상 재개를 촉구한 데 대해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은 엇갈린 메시지를 냈다.

관련기사

김 부부장은 10일 담화에서 "수뇌회담은 미국이나 원하는 것이지 우리에겐 무익하다","일부 제재 해제와 영변의 영구적 폐기를 다시 흥정하려는 어리석은 꿈을 품지 말라"며 미국이 적대시 정책을 철회해야 협상을 재개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였다. 동시에 "미국 독립절 기념행사 DVD를 개인적으로 꼭 얻으려 한다는 데 김 위원장 허락을 받았다"며 북·미 접촉 의향도 내비쳤다.

이와 관련 해리 카자니스 미 국가이익연구소(CNI) 한국 국장은 '미국 보수주의자' 잡지 기고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전 북한과 합의라는 돌파구를 원한다"며 "한 개 이상의 핵심 핵시설을 해체하고 핵·미사일 시험 모라토리엄을 공식 선언하는 대신 '맞춤형(customized)' 제재 완화를 제공하는 새로운 제안을 트럼프 행정부가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그는 "만약 합의가 이뤄진다면 올가을 평양에서 비행기로 갈 수 있는 아시아 한 나라 수도에서 3차 정상회담 서명할 수 있을 것"이라며 "내 짐작은 태국 방콕"이라고 하기도 했다.

지난해 2월 하노이 정상회담 당시에도 시도했던 '영변 플러스알파', 즉 핵물질 생산 중단을 포함한 핵·미사일 동결 대가로 북한이 원하는 일부 제재를 풀어줄 수 있다는 것이다.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회고록에서 하노이 회담 당시 상황을 전하며 "트럼프 대통령이 영변의 대가로 일정 비율만 제재를 해제하면 어떻겠냐고 했지만 김 위원장이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했다.

이런 구상 자체가 새로운 건 아니다. 지난해 10월 스웨덴 실무협상 때도 영변 폐기와 우라늄 농축 중단 대가로 석탄·섬유 수출을 이행 조건부('스냅백')로 허용하는 방안이 공개됐지만, 북한 협상대표였던 김명길 외무성 순회대사는 "우리가 요구한 계산법을 하나도 들고 오지 않았다"라며 결렬을 선언했다.

이와 관련 외교 소식통은 "북한을 대화로 이끌기 위해 한미 간에 여러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 국무부 관계자는 중앙일보에 "대북 제재 완화에 유연한 접근을 할 용의가 있다"며 협상 복귀를 거듭 촉구했다. 그는 "미국은 북한 주민들이 밝은 미래를 실현할 수 있도록 북한과 의미 있는 협상을 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며 "우리는 싱가포르 정상회담의 모든 약속에 관한 균형 잡힌 합의에 도달하기 위해 유연한 접근을 할 의사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대화의 창이 열려있는 동안 도발은 자제하고 대화에 나서야 한다"라고 거듭 촉구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영변 폐기마저 거둬들인 북한이 '플러스알파' 협상에 나설지는 불투명하다는 분석이 많다.

워싱턴=정효식 특파원, 서울=이유정 기자 jjpol@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