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그래픽텔링] 국민 80% ”다시 태어나도 한국인“···대일 적개심, 北보다 높아

중앙일보

입력

2020년 한국인은 누군가.
이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동아시아연구원(EAI·원장 손열)과 성균관대 동아시아공존협력연구센터(EACC·센터장 이숙종) 그리고 중앙일보가 ‘2020년 한국인의 정체성’ 연구를 했다. 2005년부터 5년 주기로 조사했으니 올해로 네 번째다.

①‘대한민국 국민이고 싶다.’

대한민국을 얼마나 자랑스럽게 생각하나.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대한민국을 얼마나 자랑스럽게 생각하나.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한국인 10명 중 8명(80.2%)이 ‘나는 어떤 다른 나라 사람이기보다도 대한민국 국민이고 싶다’고 답했다. 이전엔 70.4%(2005년), 72.8%(2010년), 74.9%(2015년)였다. ‘대한민국을 자랑스럽다’고 느끼는 분야도 늘었다. 민주주의 성숙도도 그중 하나로, 2005년엔 42.2%만 긍정 답변했지만 올 조사에선 74.3%로 늘었다. 이에 비해 경제적 성취도에 대한 평가는 횡보했다. 2008년 금융 위기를 성공적으로 극복한 후인 2010년 64%가 그렇다고 답했으나 현재 68.3%다.

②다민족 다문화 국가보단 단일민족 단일문화 국가

단일민족 단일문화국가 vs 다민족 다문화국가.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단일민족 단일문화국가 vs 다민족 다문화국가.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개방성으로 이어지진 않았다. ‘다민족 다문화 국가가 되어야 한다’는 응답자는 2010년 60.6%이었다가 올 조사에서 44.4%로 나왔다. ‘다문화가 국가경쟁력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47.8→50.4→51.8%)이지만 ‘외국인을 받아들이는 데 한계가 있다’(48.9→56.9→57.1%)고 느꼈다. 탈북자, 결혼이민자, 국제결혼 가정의 자녀 등 소수자에 대해 느끼는 거리감도 늘었다.

③주변국에 대한 적대감 늘었다

주변국에 대한 적대감.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주변국에 대한 적대감.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미·중·일에 대해 적대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다는 이가 증가했다. 중국의 경우 40.1%로 2015년(16.1%)보다 24%포인트 증가했다. 일본도 58.8%에서 71.9%로 13.1%포인트 늘었다. 결과적으론 북한(65.7%)보다 나빠졌다. 사드(중국)·수출규제(일본) 등 일련의 갈등 때문으로 보인다. 미국에 대한 적대감도 증가해 2015년 4.8%에서 이번 조사에선 10.2%로 늘었다.

④한·미 동맹 강화는 필요하다

바람직한 한·미관계.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바람직한 한·미관계.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바람직한 한·미 관계’에 대해, 한·미 동맹 강화라고 응답한 비율이 30.3%(2005년)→37.9%(2010년)→43.0%(2015년)→44.6%(2020년)로 늘었다. 중국의 부상에 따라 한·미 동맹을 균형자로 보는 인식이 커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다만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에선 독자외교 추진(33%)과 한·미 동맹 강화(35.5%)가 비슷하게 나온 데 비해 미래통합당 지지층에선 그 비율이 각각 15.9%와 61.2%였다.

⑤한국전 발발, 중국 책임론 증가 

한국전 발발 책임.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한국전 발발 책임.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중국에 대한 비판적 인식은 '한국전 발발 책임이 누구에게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한 답변에서도 드러났다. 남북과 미·중·일·소(소련·현 러시아) 정부 중 두 나라를 선택할 수 있도록 했는데 2005년 조사에선 중국 정부라고 답한 비율이 8.5%였는데 이번 조사에선 33.4%로 늘었다. 북한(77.1%)·소련(42.1%)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다.

고정애정치에디터 ockham@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