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고리원전 1호기 해체 돌입···주민 “사용후핵연료 대책이 우선”

중앙일보

입력

2017년 6월 19일 오전 부산 기장군 고리원자력본부에서 열린 고리원전 1호기 영구정지 선포식에 참가한 문재인 대통령이 연설을 하고 있다. 송봉근 기자

2017년 6월 19일 오전 부산 기장군 고리원자력본부에서 열린 고리원전 1호기 영구정지 선포식에 참가한 문재인 대통령이 연설을 하고 있다. 송봉근 기자

2017년 6월 영구정지된 뒤 국내 최초로 해체가 추진되는 고리 원자력발전소 1호기(부산 기장군 장안읍)의 최종해체 계획서 초안을 놓고 주민 의견을 묻는 공람이 시작됐다. 10여년간 진행될 고리1호기의 해체 절차가 본격 시작된 것이다. 기장군은 그러나 “사용후핵연료 관리방안을 결정한 이후 해체를 추진하고, 주민을 완벽하게 보호할 해체계획 수립 후 해제해달라”고 촉구했다.

최종해체계획서 놓고 주민공람 진행 중 #한수원, 주민의견은 해체 계획서에 반영 #2023년 시작해 2032년 해체완료 계획

 고리1호기 해체사업자인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지난 1일부터 8월 29일까지 60일간 고리1호기 최종해체계획서 초안을 놓고 주민 의견을 묻는 공람에 들어갔다. 주민공람은 원자력안전법에 따라 부산(기장군, 해운대구, 금정구), 울산(울주군, 남구, 중구, 북구, 동구), 양산시 등 9개 기초자치단체 주민을 대상으로 한다.

 초안에는 해체계획 개요, 해체전략과 방법, 안전성 평가, 방사선 방호, 제염 해체 활동, 방사성폐기물 관리, 환경영향평가 등 종합적인 해체 계획이 담겨 있다. 이 가운데 노심에서 인출된 사용후핵연료는 붕괴열(방사성 물질이 α·β·γ선 등을 방출할 때 생기는 에너지)을 냉각하기 위해 사용후핵연료저장 수조(水槽)로 이송해 최소 5년 이상 안전하게 관리하는 것으로 돼 있다.

2017년 6월 18일 24시(19일 0시) 영구 정지된 고리원전 1호기. 고리1호기는 1977년 6월 19일 최초로 전기를 생산한 이후 지난 40년 동안 부산지역 전체가 약 8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을 생산했다.송봉근 기자

2017년 6월 18일 24시(19일 0시) 영구 정지된 고리원전 1호기. 고리1호기는 1977년 6월 19일 최초로 전기를 생산한 이후 지난 40년 동안 부산지역 전체가 약 8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을 생산했다.송봉근 기자

 한수원은 주민 요청이 있을 경우 별도의 공청회를 개최해 추가로 의견을 수렴하는 등 주민 의견을 반영해 최종 해체계획서를 마련해 오는 10월 말까지 원자력안전위원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이어 법령에 따라 영구정지일인 2017년 6월 18일부터 5년이 되는 2022년 6월 18일 이전에 최종해체계획서 등 인허가 문서를 첨부해 해체 인허가 신청서를 낼 계획이다.

 한수원은 주민공람 중인 해체계획서 초안에서 “해체계획 수립, 해체실행, 부지복원 등 해체의 전 과정에 걸쳐 인간과 사회, 환경에 미치는 위해 가능성을 예방하고 합리적이고 예측 가능한 범위에서 최대한의 안전수준을 확보하는 등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해체하겠다”고 밝혔다. 해체는 방사성오염 준위가 낮거나 비방사성 구역부터 시작해 원자로 건물 등 오염구역 내부, 마지막으로 원자로 내부구조물과 원자로압력용기 순서로 진행한다.

 기장군은 그러나 정부가 사용후핵연료에 관한 안전한 관리정책을 수립하고 해체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방사성물질로부터 주민을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는 해체계획을 수립하라고 1일 촉구했다. 또 해체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민의 정신적, 재산적 피해를 보상할 방안을 적극적으로 도출해 조속히 시행해달라고 요구했다.

2017년 11월 1일 오후 부산 기장군 고리원자력발전소 1호기 앞에서 열린 2017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에서 119소방대원들이 화재를 진입하고 있다. 송봉근 기자

2017년 11월 1일 오후 부산 기장군 고리원자력발전소 1호기 앞에서 열린 2017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에서 119소방대원들이 화재를 진입하고 있다. 송봉근 기자

 오규석 기장군수는 “정부가 사용후핵연료 관리정책을 결정하지 못하고 방치하는 동안에 고리원전에는 사용후핵연료가 저장돼 있었으며, 1호기 해체가 진행되는 10여 년 동안에도 고리원전에 저장될 것이 자명하다”며 “하루빨리 사용후핵연료에 대한 중장기 관리방안을 수립하라”고 말했다.

 기장군은 이른 시일 내에 청와대, 국무총리실, 한국수력원자력 등을 방문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의견문을 전달할 예정이다.

 고리 1호기는 1978년 4월 29일 상업운전을 시작해 2017년 6월 18일 영구정지됐다. 부지면적 5만㎡에 있는 격납 건물(강재 격납 용기, 원자로차폐건물), 터빈 건물, 보조 건물 등이 해체된다. 한수원은 인허가 절차를 거쳐 2023년 해체작업을 시작해 10년 뒤인 2032년 해체 완료할 계획이다. 해체 완료되면 부지복원공사 등을 거쳐 해체 완료검사를 받는다.  2018년 말 기준 해체비용은 8129억원이 들 것으로 추산됐다.

부산=황선윤 기자 suyohw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