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코로나 장기화하면 76만 가구 1년 내 가진 돈 바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2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발생하는 실업과 자영업자 매출 감소로 파산 위기에 내몰릴 가계가 늘어날 수 있다는 한국은행의 경고가 나왔다. 1년도 못 버티고 파산하는 가계가 최대 76만 가구에 이를 수 있고, 기업의 절반이 번 돈으로 이자조차 감당하지 못하는 상황에 처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국은행 상반기 금융안정보고서 #가계·기업 빚, 첫 ‘GDP의 2배’ 넘어 #적자가구들이 진 빚 111조원 규모 #기업, 자금 쌓으려 대출 늘렸지만 #절반은 벌어서 이자도 못 낼 판

한국은행은 24일 이런 내용의 ‘2020년 상반기 금융안정보고서’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가계와 기업이 진 빚이 역대 처음으로 국내총생산(GDP)의 두 배를 넘어섰다. 지난 3월 말 기준 명목 GDP 대비 민간(가계·기업) 신용(대출·채권 등) 비율은 201.1%로 지난해 4분기와 비교해 4.1%포인트 상승했다.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00년 이후 분기별 최대 증가 폭이다.

가계신용잔액 증가 추이

가계신용잔액 증가 추이

이는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신용공급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민좌홍 한은 금융안정국장은 “가계의 대출이 증가했고, 기업의 자금확보 등으로 민간신용이 큰 폭 확대됐다”고 말했다. 대규모 자금 공급이 당장의 위기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된 건 분명하다. 다만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 늘어난 대출이 금융시스템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작지 않다.

실제로 이날 보고서엔 경기 충격에 따라 가계부문의 부실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목소리가 담겼다. 임금근로자의 실직 및 자영업 매출 부진이 상당 기간 지속할 경우 버틸 수 있는 가계의 체력이 어느 정도인지 분석한 결과다. 이 분석은 가계금융·복지조사의 전체 가구(1992만 가구) 중 금융부채 보유 가구(1145만 가구)를 대상으로 했다. 이중 벌이보다 씀씀이가 큰 경우를 ‘적자 가구’로 보고, 이들이 저축이나 펀드·보험 등 금융자산과 기타소득(재산·이전소득 등)으로 적자를 메운다고 가정했다. 누적 적자액이 금융자산 등 재원을 초과해 유동성 부족(추가로 대출을 받지 않으면 쓸 돈이 없는 상황)에 처하기까지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 지(감내기간) 측정했다.

테스트 결과 임금근로 가구 중 감내기간이 1년 미만인 적자 가구가 45만8000가구인 것으로 추정됐다. 금융부채를 보유한 전체 임금근로 가구 중 5.8%에 해당한다. 자영업 가구 가운데서는 30만1000가구가 매출 충격으로 1년을 못 버티지 못할 것으로 분석됐다. 쉽게 말해 가계가 저축이나 펀드·보험 등 금융자산과 재산을 다 털어도 1년이 안 돼 유동성 부족에 처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이들 적자가구의 금융부채는 임금근로 가구의 경우 52조5000억원, 자영업 가구가 59조1000억원 등 111조6000억원에 달한다

한은은 또 코로나 충격이 내수는 2분기, 해외는 3분기까지 지속하는 기본 시나리오(S1)와 충격이 연중 내내 지속하는 심각 시나리오(S2)로 구분해 기업의 재무건전성을 분석했다. 이자보상배율이 1배 미만, 즉 돈을 벌어 이자도 못 갚는 상태에 이르는 기업 비중은 2019년 32.9%에서 S1일 때 47.7%, S2 50.5%로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의 경우 이자보상배율이 2019년 4.3배로 중소기업(2.3배)보다 월등히 높았지만 코로나19 충격 이후에는 중소기업(S1 1.2배, S2 0.9배)과 비슷한 수준(S1 1.7배, S2 1.1배)으로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 국장은 “금융시스템은 정부 정책으로 대체로 안정된 흐름이지만, 불확실성이 상당 기간지속할것으로 예상하는 만큼 발생 가능한 위험을 점검하고 있다”고 말했다.

장원석 기자 jang.wonse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