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시론

요란한 기본소득 논의, 복지 사각지대 해소 어렵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양재진 연세대 행정학과 교수

양재진 연세대 행정학과 교수

기본소득이 화두다. 이재명 경기지사의 전유물인 줄 알았는데, 보수 야당의 김종인 비대위원장도 기본소득이 사각지대를 없애고 빵 사 먹을 자유를 줄 좋은 제도라고 한다. 이 지사는 기본소득이 수요부족 시대에 꼭 필요한 경제정책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과연 그럴까.

소비 증대도 양극화 해결도 한계 #사회보장 강화하는 방향으로 가야

첫째, 기본소득이 복지 사각지대를 없애 줄까. 모든 국민이 기본소득을 받으면, 사각지대 문제는 해소된다. 그러나 기본소득 방식은 급여가 낮을 수밖에 없다. 사각지대 해소에 실효성이 없다. 이 지사의 평소 제안대로 15조원으로 기본소득제도를 도입하면, 1인당 겨우 월 2만4000원을 받는다.

2년 치 공공부조 예산인 30조원으로 기본소득을 도입해도 5만원이 안 된다. 그러나 현재 기초생활보장제도의 1인 가구 수급자는 생계급여로 최대 월 52만원, 주거급여로 26만원을 받는다. 실업자도 최대 198만원을 받는다.

복지국가의 사회보장은 상부상조와 사회적 연대를 바탕으로 한다. 건강보험처럼 아프면 누구나 치료받을 수 있게 해 준다. 하지만 기본소득처럼 아프기도 전에 병원 가라고 돈 주고 약주고 그러지 않는다. 대신 아픈 사람에게 치료비를 후하게 지급한다.

기본소득 방식으로는 상상하기 힘들고, 가성비가 훨씬 좋은 사회보장을 국민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각지대 문제는 기본소득방식이 아닌 사회보장 방식으로 접근성을 개선해 푸는 수밖에 없다.

둘째, 전 국민 기본소득이 양극화 해소에 도움이 될까. 재분배는 조세와 급여지출 양쪽에서 발생한다. 기본소득으로 누구나 동일 금액을 받으면 소득재분배나 양극화 해소가 어렵다. 고소득자에게 세금을 많이 거둬 나눠줘야 그나마 재분배 효과가 생긴다.

반면에 기존의 복지급여는 저소득층과 실업 등으로 소득이 급격히 줄어든 사람에게 지급된다. 기본소득과 달리 지출 쪽에서도 재분배가 크게 발생한다. 소득재분배 효과를 크게 얻으려면 전 국민 기본소득보다는 복지급여를 인상해야 한다.

셋째, 기본소득이 경제정책일까. 소비증대 측면에선 그렇다. 그러나 최선의 정책은 아니다. 지급된 기본소득의 상당 부분이 저축으로 퇴장되기 때문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소득 1분위(하위 20%)는 소득 100만원당 지출은 105만원으로 늘 적자다. 쓸 돈이 부족한 저소득층은 추가소득이 들어오는 대로 모두 소비한다.

반면 2, 3, 4, 5분위(상위 20%)는 각각 소득의 80%, 75%, 70%, 59%만을 소비한다. 전 국민 기본소득보다는 저소득층이나 실업자 등 소득이 급감한 자에게 복지급여를 주는 것이 총소비를 늘리는데 더 효과적이다.

일각에서는 인공지능(AI)과 로봇 때문에 일자리가 사라지니 기본소득을 지급해 생계를 보장하고, 소비 여력을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일자리는 로봇이 아닌 기업경쟁력이 좌우한다.

스마트 공장을 선도하는 독일의 실업률은 3.4%(2018년 기준), 그렇지 못한 그리스는 19.3%다. GM 공장이 문을 닫은 군산과 미국의 러스트 벨트에는 일자리와 인구가 감소하지만, 판교와 실리콘 밸리에는 일자리와 인구가 늘고 있다.

일자리 감소를 전제로 기본소득을 주기보다는 노동시장의 수요에 부응하는 직업 역량을 갖추도록 평생학습체제를 강화하고, 촘촘한 복지안전망을 통해 진짜 어려울 때 확실하게 보호받을 수 있게 해야 한다.

기본소득 제도는 좋은데 재정 소요가 너무 많아 당장은 하기 어려운 제도로 비친다. 똑같이 받으니 공평해 보이긴 한다. 그러나 기본소득은 상부상조가 없고 소득보장제도로서 가성비가 너무 떨어진다. 재분배 효과나 소비 증대 효과도 기존 복지급여만 못 하다. 미래 사회에 대한 대비책으로도 부족하다. 기본소득에서 사회보장 강화로 정치권의 관심이 옮겨지길 기대한다.

양재진 연세대 행정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