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군사도발 경고한 北, 전방 GP 인공기와 '김정은 깃발' 내렸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북한군이 남북합의에 따라 철수한 비무장 지대에 병력을 다시 배치하고, 남측에 삐라를 살포하는 등의 군사 행동을 예고했다.

전문가, "준전시상태, 도발준비 단계" 의미 #합참도 특이 동향 업지만 "예의주시중" #인민군 총참모부, 군사적 방안 공개 #남측 상대로 한 삐라 살포도 언급 #개성공단, JSA, GP 등 재배치 가능성

14일 오후 경기도 파주시 접경지역에서 바라본 북한군 경계초소(GP)에 인공기와 최고사령관기가 걸려있지 않다(오른쪽 사진). 왼쪽 사진은 지난 9일 같은 초소에 깃발이 걸려있는 사진. 이는 북한이 도발을 준비하는 징후라는 해석이 나온다. [뉴스1]

14일 오후 경기도 파주시 접경지역에서 바라본 북한군 경계초소(GP)에 인공기와 최고사령관기가 걸려있지 않다(오른쪽 사진). 왼쪽 사진은 지난 9일 같은 초소에 깃발이 걸려있는 사진. 이는 북한이 도발을 준비하는 징후라는 해석이 나온다. [뉴스1]

북한 인민군 총참모부는 16일 조선중앙통신ㆍ노동신문 등 관영 매체에서 ‘공개보도’를 통해 “우리 군대는 최근 각일각 북남(남북)관계가 악화일로로 줄달음치고 있는 사태를 예리하게 주시하며 당과 정부가 취하는 그 어떤 대외적 조치도 군사적으로 튼튼히 담보할 수 있도록 만단(만반)의 태세를 갖추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13일 담화에서 “다음번 (남측을 향한) 대적(對敵) 행동의 행사권은 우리 군대 총참모부에 넘겨주려고 한다”고 밝힌 데 대해 총참모부가 구체적 행동 방안을 내놓은 것이다.

북한군 총참모부는 “북남(남북)합의에 따라 비무장화된 지대들에 군대가 다시 진출하여 전선을 요새화하며 대남 군사적 경계를 더욱 강화하기 위한 조치”를 언급했다. 또 “우리 인민들의 대규모적인 대적 삐라 살포 투쟁을 적극 협조하겠다"고 강조했다.

남북합의로 비무장화한 지대는 ▶개성공단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비무장지대(DMZ) 안에서 시범 철수한 경계초소(GP)가 꼽힌다.

비무장지대(DMZ) 안 북한군 경계초소(GPㆍ오른쪽 아래) 뒤로 보이는 개성공단. [중앙포토]

비무장지대(DMZ) 안 북한군 경계초소(GPㆍ오른쪽 아래) 뒤로 보이는 개성공단. [중앙포토]

우선 개성공단을 철거한 뒤 철수했던 2개 사단과 1개 포병여단을 원위치할 가능성이 있다. 개성공단의 경우 2003년 12월 조성 공사를 시작하자 북한군은 6사단과 64사단, 62포병여단을 송악산 이북과 개풍군 일대로 옮겼다. 개성공단이 들어서고 경의선이 연결되면서 개성공단 지역에서 군사 작전을 벌이기가 쉽지 않아졌기 때문이다.

당시 북한 군부는 서부 전선의 전략적 요충지인 개성에 공단을 만드는 데 대해 반발했다. 2002년 4월 임동원 당시 대통령 특사가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만나 경의선의 조속한 연결을 요청하자,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군부가 말을 듣지 않는다”고 농담조로 말하기도 했다. 2009년 6월 개성공단 실무회담에서 북측 대표단은 “개성공업지구는 지리적 위치로 보나, 임대 기한으로 보나, 안보상 가치로 보나 그런 노른자위 같은 땅”이라고 말했다.

남북은 9ㆍ19 군사합의에 따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내 모든 화기와 탄약을 철수했다. 판문점 북측에서 비무장 조치 후 근무 중인 북한군 모습. 철모와 권총(왼쪽 원 안)을 찼던 과거 모습(왼쪽 사진)과 달리 권총은 없고 ‘판문점 민사경찰 27’이라는 완장(오른쪽 원 안)을 차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남북은 9ㆍ19 군사합의에 따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내 모든 화기와 탄약을 철수했다. 판문점 북측에서 비무장 조치 후 근무 중인 북한군 모습. 철모와 권총(왼쪽 원 안)을 찼던 과거 모습(왼쪽 사진)과 달리 권총은 없고 ‘판문점 민사경찰 27’이라는 완장(오른쪽 원 안)을 차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JSA 비무장화와 DMZ의 GP 철수는 ‘9ㆍ19 군사합의’(판문점 선언 이행을 위한 군사 분야 합의서)에 따라 이뤄졌다. 남북한은 JSA 내 모든 화기와 탄약을 뒤로 물렸고, 각각 11개의 GP를 폭파하거나 철수했다.

정대진 아주대 통일 연구소 교수는 “개성공단에 군대를 재배치하는 것은 시간이 걸리고, JSA는 현재 관광객이 접근할 수 없어 선전 효과가 떨어진다”며 “현 정부가 남북관계 개선의 상징으로 내세운 GP를 북한이 일부 복구하는 움직임을 보일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북한군의 군사 행동이 당장 임박한 게 아니라는 관측도 있다. 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통일전략센터장은 “공개보도를 읽어보면 ‘의견을 접수했다’라거나 ‘군사적 행동계획들을 작성한다’든지 ‘당 중앙군사위원회의 승인을 받는다’는 표현이 나온다”며 “도발은 전략적 기습인데, 이를 예고했다는 것은 북한이 한 템포를 늦추겠다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합참, “북한군 특이 동향 없어”=북한에서 연일 군사적 긴장을 높이고 있지만, 아직 뚜렷한 도발 징후는 없다는 게 합동참모본부의 설명이다. 군 관계자는 “북한 지역에서 군사와 관련한 특이 동향을 포착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DMZ 내 북한군 GP에서 인공기와 최고사령관기가 내려간 데 대해선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군 출신 탈북자인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센터 소장은 “북한이 국가를 상징하는 인공기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나타내는 최고사령관기를 내건 지 2년 정도 됐다”며 “두 깃발을 내렸다는 것은 준전시 상태, 도발 준비 단계, 비상 체제 가동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안찬일 소장은 북한군 GP에서 고사총이 목격된 사실에 대해선 “평소 고사총에 씌워놓은 방수포를 벗기고, 아군에게 보이도록 했다는 것은 상부 명령에 따라 무력시위를 벌이고 있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이철재ㆍ이근평 기자 seajay@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