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5월 신규 실업자 사상 최대인데…"구직 의지 살아났다"는 정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달 구직 기간이 3개월 미만인 신규 실업자가 5월 기준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환위기, 글로벌 금융위기 때 나타났던 신규 실업자 급증 현상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 휘청인 최근 고용시장에도 나타난 것이다.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시민이 일자리정보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고용시장 충격으로 5월 신규 실업자 수가 5월 기준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뉴스1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시민이 일자리정보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고용시장 충격으로 5월 신규 실업자 수가 5월 기준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뉴스1

신규 실업 증가는 경제 위기 '상징' 

14일 통계청의 구직기간별 실업자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구직 기간이 3개월 미만인 실업자는 73만5000명으로 나타났다. 관련 통계가 집계된 1999년 6월 이후 5월 기준 사상 최고치다. 전년 대비로는 10만7000명 늘었다. 이 역시 5월 기준으로 가장 큰 증가 폭이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신규 실업자는 주로 경제 위기 때 많이 늘었다. 외환위기 여파가 있던 1999년 6∼8월에 구직기간 3개월 미만 실업자는 70만∼80만명대를 기록했다. 또 2007년 40만명대 수준을 기록했던 신규 실업자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2009년에 60만명대로 늘어나기도 했다. 그래서 신규 실업자 증가는 경제 위기의 상징적 장면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만큼 코로나 19가 고용시장에 몰고 온 파장이 거세다는 의미도 된다.

정부는 코로나 19  여파로 멈췄던 구직 활동이 일부 재개된 데 따른 효과도 작용한 것으로 해석한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지난 10일 “5월 실업률 상승은 일자리를 구하려는 의지와 여건이 되살아나고 있다는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어 긍정적 측면도 동시에 있다”고 설명했다.

이런 해석이 현실과 크게 동떨어져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구직활동이 늘어나 실업자가 늘었다면 비경제활동인구는 줄어야 한다. 실직 상태인 사람이 구직 활동을 하면 실업자로, 그렇지 않으면 비경제활동인구로 간주한다.

그런데 지난달 비경제활동인구는 1년 전보다 55만5000명 늘었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쉬었음’인구도 32만3000명 증가했다. 일할 능력이 있음에도 육아, 가사 등 별다른 이유 없이 구직활동을 안 하는 인구가 이만큼 증가했다는 의미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비경제활동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실업자가 늘었다고 구직 활동이 증가했다고 해석하는 건 비상식적”이라며 “일부 지표의 단면만 보고 긍정적인 해석을 낼 게 아니라 당장 일자리가 사라진 취약계층에 대한 대책과 함께 고용시장 개선에 힘을 쏟아야 할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14일 오전 서울 성북구의 한 중학교에 마련된 한국철도 상반기 신입사원 채용 필기시험 고사장에서 응시생들이 입실하고 있다. 뉴스1

14일 오전 서울 성북구의 한 중학교에 마련된 한국철도 상반기 신입사원 채용 필기시험 고사장에서 응시생들이 입실하고 있다. 뉴스1

임시·일용직 일자리 65만개 날아가  

코로나 19로 가장 큰 타격을 받고 있는 임시직‧일용직의 일자리는 지속해서 줄고 있다. 고용 계약 기간이 1개월 이상 1년 미만인 경우인 임시직 취업자는 지난달 445만3000명으로 집계됐다. 1년 전보다 50만1000명 줄었다. 90년 1월 통계 개편 이래 최대였던 4월(-58만7000명)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감소 폭이다. 고용 계약 기간이 1개월 미만인 일용직 취업자도 지난달 132만8000명으로 1년 전보다 15만2000명 감소했다. 지난달 상용직 근로자가 전년 대비 39만3000명 늘어난 것과 대비된다.

이런 점은 정부도 우려하고 있다. 김용범 차관은 “저소득층 비중이 높은 임시·일용직 중심의 취업자 감소세가 지속하고 있고, 소득·재산이 넉넉지 못한 분들이 실직의 어려움을 겪는 기간이 길어지고 있다”며 “정부 역할이 시급하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저소득층을 위한 직접일자리 공급 등 고용안정 대책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세종=하남현 기자 ha.namh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