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경기북부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저지선' 포천도 비상

중앙일보

입력

야생 멧돼지. 환경부

야생 멧돼지. 환경부

경기 북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 저지의 마지막 보루인 포천에 비상에 걸렸다. 최근 야생 멧돼지의 ASF 확진이 잇따르면서다.

민통선을 중심으로 한 경기·강원 접경지 7개 시·군에선 올해 들어 야생 멧돼지의 ASF 발병이 이어졌다. 하지만 경기 북부 최대 양돈 지역인 포천은 예외였다. 163개 농가에서 돼지 29만여 마리를 사육 중이지만 다양한 방역 대책을 통해 꿋꿋이 버텨왔다.

하지만 최근엔 빗장이 뚫렸다. 포천 관인면 지역에서만 지난달 19일부터 이달 11일까지 3건이 잇따라 발생했다. 지역 야생 멧돼지의 ASF 발병은 양돈농장 돼지로까지 번질 가능성이 높아 포천 지역에 비상이 걸렸다.

지난해 11월 7일 경기도 연천군 임진강변에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 방지와 야생 멧돼지 이동을 막기 위해 철조망이 설치됐다. 연합뉴스

지난해 11월 7일 경기도 연천군 임진강변에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 방지와 야생 멧돼지 이동을 막기 위해 철조망이 설치됐다. 연합뉴스

포천시는 지난 3월 중순부터 이달 중순까지 연천군과 경계지역에 야생 멧돼지 남하를 차단하기 위해 2차 울타리를 설치했다. 또 광역 울타리를 설치한 일부 지역을 총기포획 유보지역으로 지정하자 포획틀·포획트랩 같은 도구를 이용해 멧돼지 포획에 나섰다. 특히 시 소유 포획틀뿐만 아니라 농민이 관리하는 포획틀까지 최대한 활용하고 있다.

“제한적 총기포획지역 풀어달라”  

포천시는 멧돼지 포획은 포획틀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보고 “이른 시일 내 5개 면, 35개 리 지역을 제한적 총기포획지역으로 풀어줄 것”을 최근 한강유역환경청에 건의했다. 박윤국 포천시장은 “포천시는 지난해 9월부터 민·관·군이 함께 방역활동을 하는 등 ASF 확산 방지를 위해 노력 중인데 지난달부터 포천 지역 야생 멧돼지에서 ASF 3건 발생했다”며 “야생 멧돼지의 이동을 철저히 저지해 민간으로 퍼지지 않도록 방역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박윤국 포천시장(왼쪽)과 최종원 한강유역환경청장(오른쪽 두번째)이 지난 14일 시장실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의 효과적 대응을 위한 협력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포천시

박윤국 포천시장(왼쪽)과 최종원 한강유역환경청장(오른쪽 두번째)이 지난 14일 시장실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의 효과적 대응을 위한 협력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포천시

돼지농장으로 ASF 확산 막기 '총력'      

경기지역에서는 지난해 10월 9일까지 파주·연천·김포 등 3개 시·군 돼지농장에서 9건의 ASF가 발생했다. 이 기간 인천 강화의 돼지농장에서도 5건, 전국 기준으로는 경기·인천 접경지역 돼지농장에서 총 14건이 생겼다. 이에 따라 경기도는 ASF 확산 방지를 위해 파주와 연천 모든 농가의 돼지를 포함한 경기지역 207개 농가의 돼지 총 32만502마리를 예방적 차원에서 살처분해 없애는 극약처방을 취했다.

환경부

환경부

또 야생 멧돼지의 발병이 이어지고 있는 민통선을 중심으로 한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한 도내 전역에서 야생 멧돼지 포획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지난해 ASF 첫 발병 후 경기도 내 31개 시·군은 포획단을 운영해 지난 19일까지 1만2875 마리의 야생 멧돼지를 포획하거나 폐사체를 수거했다. 이런 노력 덕분에 다행히 지난해 10월 이후 현재까지 경기도는 물론 전국의 돼지농장에서는 더는 ASF가 발생하지 않고 있다.

ASF는 지난해 9월 16일 경기도 파주시 돼지농장에서 국내 최초로 발병했다. ASF는 돼지에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제1종 가축전염병이다. 급성의 경우 치사율이 100%에 이른다. 아직 백신이 개발되지 않아 대부분 국가가 살처분 정책을 시행 중이다.

전익진 기자 ijje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