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美정부, 봉쇄조치 1주일만 빨랐어도 3만6000명 목숨 살렸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미국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봉쇄 조치를 일주일만 빨리 내렸어도 3만6000여명의 목숨을 구할 수 있었다는 추산이 나왔다.

20일(현지시간) CNN·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콜롬비아 대학 연구팀은 ‘코로나19 통제 시점 모델링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미국에서 3월1일부터 여행·이동 제한, 자택 격리 등 봉쇄조치를 취했다면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 수가 현재보다 84% 줄었을 것”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로 사망한 한 미군의 장례식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코로나19로 사망한 한 미군의 장례식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봉쇄, 일주일만 빨랐어도…"  

미국 정부가 이동제한을 공식 권고한 시점은 3월 16일이다. 이에 따라 뉴욕주는 3월 22일 자택 대피령을 내리고 접촉을 통제하기 시작했다.

연구팀은 이동제한 조치가 내려진 3월 16일 이후 사람 간 접촉으로 인한 바이러스 전파 속도가 얼마나 감소했는지 측정했다. 이후 이동제한 시점을 1,2 주 전인 3월 1일과 2월 23일로 바꿔 각각 측정모델에 넣어 5월 3일까지의 사망자 수를 측정했다.

뉴욕 브롱크스의 한 주차장에 설치된 코로나19 테스트 검사실. [AFP=연합뉴스]

뉴욕 브롱크스의 한 주차장에 설치된 코로나19 테스트 검사실. [AFP=연합뉴스]

그 결과 실제 5월 3일까지 미국 내 사망자 수는 6만5307명이었던 데 반해 조치를 앞당겼을 경우 사망자 수가 각각 2만9410명, 1만1253명에 그쳤을 것으로 분석됐다. 봉쇄 조치를 일주일만 빨리 취했어도 약 3만6000명의 목숨을 살릴 수 있었다는 계산이다.

봉쇄를 앞당겼을 때 사망자가 줄어드는 효과는 특히 피해가 컸던 뉴욕시와 로스앤젤레스에서 두드러졌다. 실제 5월 3일 집계된 뉴욕과 로스앤젤레스 사망자 수는 각각 1만7581명, 1223명이었다. 하지만 3월 1일 이동제한에 들어갔다면 사망자 수는 각각 2823명, 451명으로 급감했을 것으로 추산됐다.

“코로나19 감시 체계 없으면 통제 불능될 것”

연구를 이끈 제프리 섀먼 박사는 이날 CNN과의 인터뷰에서 “코로나19가 사람 간 접촉으로 확산할 가능성이 크며, 통제 조치의 효과가 크다는 것을 보여준 결과”라고 말했다.

섀먼 박사에 따르면 코로나 바이러스는 개인에서 집단으로 이동하며 확산에 가속도가 붙었다. 일정 기간 2배로 증가한 뒤 각 집단에서 집단으로 확산하면서 기하급수적으로 늘었다는 것이다.

미 버지니아주의 한 공장이 코로나19로 폐쇄조치로 영업을 종료한다고 알렸다. [AFP=연합뉴스]

미 버지니아주의 한 공장이 코로나19로 폐쇄조치로 영업을 종료한다고 알렸다. [AFP=연합뉴스]

그는 “1~2주만 빨리 봉쇄조치를 내렸어도 최악의 상황을 막을 수 있었다”면서 “결과적으로 코로나19 확산력을 조기에 인식하지 못하고, 통제 시점을 놓친 것이 엄청난 결과를 불러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봉쇄조치를 완화하기 전 확진자·접촉자 추적과 검사로 이어지는 바이러스 감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으로도 바이러스를 조기에 발견하지 못하면 통제 불능에 빠져 더 많은 희생자를 낳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미국 50개 주는 봉쇄조치를 완화하고 경제 재개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미국은 이날까지 코로나19 확진자 159만1199명, 사망자 9만4994명을 기록하며 모두 세계 1위를 기록했다.

관련기사

이민정 기자 lee.minjung2@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