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단독] 8년 전에도 "정대협서 한푼도 못받아" 윤미향에 항의

중앙일보

입력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당선인. [연합뉴스]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당선인. [연합뉴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가 지난 7일 대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의기억연대의) 성금ㆍ기금이 할머니들에게 쓰인 적이 없다”고 주장한 가운데 2012년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에도 같은 문제가 제기됐던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사실을 밝힌 건 다름 아닌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당선인(전 정의기억연대 이사장)이었다.

2012년에도 "정대협 돈 받은 적 없다" 피해자 전화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당선인이 지난 2012년 12월 28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정대협이 모금한 돈을 받은 적 없다"는 전화를 받았다고 올린 내용이다. [페이스북 캡쳐]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당선인이 지난 2012년 12월 28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정대협이 모금한 돈을 받은 적 없다"는 전화를 받았다고 올린 내용이다. [페이스북 캡쳐]

윤 당선인은 8년 전인 2012년 12월 28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정대협이 모금한 돈을 받은 적 없다’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전화를 받았다”고 했다. 그는 “전화 통화 끝에 과거 장부 꾸러미를 뒤져보니 참으로 정대협이 한 일이 어마어마하다”면서 “그런데도 늘 칭찬이 아닌 욕을 먹고 명예 훼손당하는 일을 겪고 있으니 생색이라도 내야겠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고 했다.

윤 당선인은 해당 게시글에서 정대협이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에게 지출한 기부금을 나열했다. 그는 1992년 정대협이 ‘정신대 할머니 생활기금 모금 국민운동본부’를 결성한 이후 ▶1년 만에 전국 위안부 피해자 1인당 250만원 전달 ▶96년 일본의 민간모금 위로금인 ‘아시아여성평화국민기금’ 대신 ‘시민연대’ 결성해 국외 위안부 피해자 155명에 1차로 351만 7500만원 전달  ▶98년 2차로 정대협에서 추가 모금해 410만 8000원 지급 등을 이어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수시로 성금을 전달하거나 물품을 전달했는데 십수 년이 지나도 늘 이렇게 ‘한 푼도 안 받았다’ 하시는 할머니들이 나타나 영수증조차 처리하지 못하고 모두 보관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윤 당선인은 “누렇게 변질된 영수증들…. 그 더미와 어제 오늘 살았더니 머리가 깨질 듯 아프다. 내 에너지를 어떻게 재충전하면 좋겠냐”고 덧붙였다.

전직 실무자 “절대 갑 피해자, 정대협은 을”…윤미향 “정말 그런 듯”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당선인이 지난 2012년 12월 28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정대협이 모금한 돈을 받은 적 없다"는 전화를 받았다고 올린 내용이다. [페이스북 캡쳐]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당선인이 지난 2012년 12월 28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정대협이 모금한 돈을 받은 적 없다"는 전화를 받았다고 올린 내용이다. [페이스북 캡쳐]

그는 같은 날 올린 다른 글에서도 “90년대 영수증 더미를 뒤집고 있는데 10년 전쯤 정대협 실무자를 그만둔 직원이 사무실을 찾았다”면서 “전직 실무자가 ‘절대 갑의 위치인 피해자들과 을의 위치인 정대협 관계를 어떻게 좀 바꿀 수 없냐. 볼 것 못 볼 것 다 보면서 너무 오래 끝까지 남아 있었다’고 안타깝게 외쳤다. 정말 그런 것 같다“고 했다.

8년 후에도 “기부금 문제 없다” 입장 고수

윤 당선인은 8년 전에 이어 또다시 기부금 사용처 논란이 일자 비슷한 해명을 내놨다. 다만 1995년 ‘아시아여성기금’ 문제를 두고는 지원 액수가 크게 차이가 났다. 8년 전 페이스북에 해명한대로 피해자 155명에게 1·2차 금액이 각각 지원됐다고 했을 경우 총 11억 8195만원이 지급된 것으로 계산된다. 하지만 이번 해명에선 시민모금 외에도 정부지원 금액을 합산해 위안부 피해자 156명에게 각 4412만 5000원을 지급했다고 밝혔다. 총금액을 계산하면 68억 8350만원으로 이전과 다르게 크게 늘었다.

윤 당선인은 또 이번 해명에서 국외 증언 활동과 수요시위, 위안부 할머니 관련 소송 등에 기부금을 지출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2017년 국민모금으로 위안부 피해 할머니 개인당 1억원을 전달한 점을 제외하면 2018~2019년 정의연이 받은 기부금 중 피해 지원금으로 쓴 돈은 10% 미만이라 정의연의 핵심사업인 피해자 지원에 소홀했다는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이우림 기자 yi.wool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