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국 게임, 완성도는 높지만 캐릭터 다양성 부족은 한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5면

존 폴리도라

존 폴리도라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와우·WoW)와 오버워치, 리그 오브 레전드(롤·LoL). 이 게임 3종의 월간 순이용자(MAU)는 1억 명이 넘는다. 캐릭터 디자이너 존 폴리도라(42·사진)는 이 게임에 등장하는 캐릭터와 무기를 창조한 인물이다. 그는 지난해 9월 바른손이앤에이의 게임 자회사(스텝파이브)에 아트 디렉터로 합류했다. 지난 22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에서 폴리도라를 만났다.

게임 아트 디렉터 존 폴리도라 #“이제껏 본 적 없는 세계 만든다”

왜 한국에 오기로 했나.
“아는 사람의 소개로 스텝파이브가 제작 중인 실시간 전략게임(RTS)의 초기 버전을 해봤다. 이 팀에 합류한다면 재미있고 독창적인 게임을 주도적으로 만들 기회가 될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게임에서 아트 디렉터의 역할이 뭔가.
“모든 시각 이미지(아트)를 게임의 목적에 맞게 구성하고 감독하는 사람이다. 주요 캐릭터를 디자인하고 움직이게 하고 효과를 넣는 전 과정에서 미적인 요소를 책임진다.”
게임 속 캐릭터를 창조하는 방법은.
“일단 캐릭터에 대한 정보를 모두 적는다. 어떤 성격이고 과거는 어땠는지, 어떤 패션을 선호하는지 등 지나칠 정도로 자세하게 적는다. 그리고 싶은 마음이 들 때까지 정리가 되면 그리기 시작한다.”
‘오버워치’에 등장하는 남녀 캐릭터의 모습. [사진 블리자드]

‘오버워치’에 등장하는 남녀 캐릭터의 모습. [사진 블리자드]

보편적으로 통하는 콘텐트는 어떤 건가.
“전 세계 사람들이 함께 즐기는 게임을 만들 땐 피해야 할 금기(터부)가 있다. 예컨대 오버워치에선 여성 캐릭터가 너무 선정적이지 않게 하는 데 신경 썼다. 종교적인 인물을 암시하는 것도 피했다. 누군가에게 거부감을 살 수 있어서다.”
한국에서 게임을 만들면서 느낀 점은.
“한국 게임은 놀라울 정도로 완성도가 높다. 그런데 좀 더 자세히 미적인 면에서 들여다보면 다양성이 부족한 게 아쉽다. 어디서 본 듯한 비슷비슷한 느낌이 있다.”
한국 대중문화는 어떤가.
“영화 ‘기생충’은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한다. 공고하게 존재하는 사회 계급의 문제를 대담하게 다뤘다. 부자와 가난한 자 양쪽에 감정이입이 될 만한 요소가 고루 녹아있었다.”
한국에서 계속 일할 건가.
“현재 진행 중인 게임 프로젝트가 끝나는 내년 상반기까지는 한국에 있을 것 같다. 지금의 삶이 좋다. 다만 아쉬운 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바쁜 제작 일정 때문에 한국 음식을 아직 다양하게 먹어보지 못했다는 점이다.” 

박민제 기자 letme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