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해킹 우려” 세계 각국 ‘줌’ 금지령, 교육부선 온라인 수업에 권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교육부가 처음 온라인 수업에 권장했던 화상회의 플랫폼 줌(Zoom)에 대해 세계 각국이 ‘금지령’을 내리고 있다. 해킹 우려에다 데이터가 중국 정부 손에 넘어갈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차이나 리스크’가 부각됐기 때문이다.

데이터 중국 서버 경유도 논란

7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대만 정부는 공공기관의 줌 사용을 전면 금지했다. 대신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MS) 등의 플랫폼 사용을 권고했다. 독일 외교부는 이날 직원들에게 줌을 개인용 장비로만 사용할 것을 권고했다.

앞서 미국도 뉴욕시를 비롯해 네바다주와 로스앤젤레스(LA) 일부 학교에서 보안 문제를 이유로 줌 사용을 금지했다. 영국 국방부도 줌 사용을 금지했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는 민감 정보를 다룰 땐 줌을 사용하지 않기로 했다.

줌은 재택근무에서 온라인 회의와 수업을 진행하는 경우가 늘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특수’를 누리고 있다. 기존 1000만 명 정도였던 줌 이용자 수는 3월 한 달간 평균 하루 2억 명을 넘겼다.

그러나 화상회의 도중 제3자가 들어와 나치 상징 문양이나 인종차별 메시지를 보내고, 음란물 사진이나 영상을 투척하는 등 보안 문제가 불거졌다. 각 회의의 고유 접속 번호만 알아내면 누구나 회의에 참여할 수 있을 만큼 보안 조치가 없기 때문이다. 미국 연방수사국(FBI)까지 줌의 보안 문제에 대해 경고한 가운데 ‘줌 폭탄(Zoom bombing)’이라는 신조어까지 생겼다.

설상가상으로 캐나다 보안업체 시티즌랩이 줌의 데이터가 중국 서버를 경유한다는 사실을 밝혀내면서 ‘차이나 리스크’까지 겹쳤다. 줌의 창업자는 중국 이민자 출신 IT 엔지니어 에릭 위안이다.

임종인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사이버국방학과 교수는 “줌은 간판만 실리콘밸리일 뿐 서버·개발자가 모두 중국에 있는 사실상 중국 기업”이라며 “아무리 해커로부터 보안 시스템을 갖췄다고 한들 중국 정부가 정보 공개를 요구할 경우 어쩔 수 없다”고 설명했다.

배정원·김정민 기자 bae.jungw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