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강찬수의 에코사이언스

양양과 고성이 한국 최고 미세먼지 청정지역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7면

강찬수
강찬수 기자 중앙일보 환경전문기자
강찬수 환경전문기자

강찬수 환경전문기자

전국에서 미세먼지가 없고 공기가 가장 맑은 곳은 강원도 양양과 경남 고성이었다. 또 미세먼지 오염이 가장 심한 곳은 경기도 부천과 충남 당진, 충북 증평인 것으로 확인됐다.

연간 환경기준 15㎍/㎥ 첫 달성 #서고동저·북고남저형 분포 뚜렷 #경기남부·충남엔 오염 ‘핫스팟’ #“지역맞춤형 대책 마련해 해결”

중앙일보가 6일 한국환경공단으로부터 지난해 전국 대기오염 자동측정망 283곳의 초미세먼지(PM 2.5) 측정 자료를 입수해 분석한 결과다. 전체적으로 서쪽과 북쪽 지방에서 오염도가 높고 동쪽과 남쪽 지역에서 오염도가 낮은 서고동저(西高東低)와 북고남저(北高南低) 형태의 분포를 보였다.

전국 145개 시·군별 오염도를 비교한 결과, 양양과 경남 고성은 지난해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가 ㎥당 15㎍(마이크로그램, 1㎍=100만분의 1g)으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이들 두 곳은 2018년 정부가 초미세먼지 환경기준을 강화한 이후 사실상 처음으로 연간 기준(15㎍/㎥ 이하)도 달성했다. 경북 울릉·울진·봉화, 전남 신안·고흥도 지난해 15㎍ 이하로 측정됐으나, 12개월 중 측정치가 1개월 이상 빠져 기준 달성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이에 비해 부천·당진·증평은 연평균치가 32㎍, 경기 여주와 충남 아산은 31㎍, 경기 시흥과 전북 익산은 30㎍으로 환경기준치의 두 배 수준을 보였다. 경기도 평택·화성, 충북 단양·옥천·진천, 전북 전주도 29㎍을 기록해 오염이 심한 편이었다.

서울 등 대도시는 중간 정도의 오염도를 나타냈다. 서울이 25㎍, 부산 21㎍, 대구·대전 22㎍, 인천·광주 23㎍, 울산 20㎍ 등이었다. 경기도는 26㎍, 충북이 28㎍으로 높았지만, 남쪽의 전남은 19㎍, 경남·제주는 18㎍으로 낮았다.

지난해 전국 초미세먼지 평균 오염도는 23㎍을 기록, 2015년과 2016년 26㎍, 2017년 25㎍, 2018년 23㎍ 등을 기록했던 것과 비교하면 점차 개선되는 추세를 보였다.

충남 보령시 주교면 보령화력발전소 굴뚝에서 뿌연 연기가 쉴 새 없이 뿜어져 나오고 있다. 신진호 기자,

충남 보령시 주교면 보령화력발전소 굴뚝에서 뿌연 연기가 쉴 새 없이 뿜어져 나오고 있다. 신진호 기자,

한편, 283개 측정지점별 오염도는 부천 내동 측정소가 38㎍으로 가장 높았다. 216개 도시대기 측정망 중 하나인 이곳 측정소는 부천 오정구 신흥주민지원센터 인근 도로변에 있다. 차도에서 불과 4~5m 떨어진 곳에 컨테이너 형태로 설치돼 있어 지상 3~4m 높이의 오염도를 측정하고 있었다. 바로 옆 도로에는 시내버스와 트럭 등 자동차 통행도 잦았다. 내동 측정소에서 불과 1.5㎞ 떨어진 곳에 있는 부천 소사구 송내대로 계남공원의 도로변 측정소도 지난해 평균 오염도 36㎍을 기록, 전국 42개 도로변 대기측정소 중에서 오염이 가장 심했다.

초미세먼지 오염이 가장 적은 지역

초미세먼지 오염이 가장 적은 지역

부천시청 박태식 미세먼지 대책담당관은 “내동 측정소는 경인고속도로 부천 인터체인지 인근에 있고, 인근에 공장도 많아 오염이 심한 편”이라며 “계남공원 도로변측정소 역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를 이용하려는 부천 신도시 차량 때문에 정체가 심하고 오염 배출도 많다”고 말했다. 박 담당관은 “부천시는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는 스마트 미세먼지 시범단지 조성 사업 대상 지역으로 지정돼 다양한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충남과 경기 남부 지역에는 서울시 면적(605㎢)의 두 배가 넘는 ‘미세먼지 오염 벨트’가 존재했다. 바로 경기도 화성·평택·안성과 충남 당진·아산·천안을 잇는 지역으로, 초미세먼지 연평균이 28㎍ 이상이다.

지난해 초미세먼지 오염도가 가장 높았던 부천시 내동 도시 대기오염 측정망. 작은 컨테이너 박스가 측정시설이다. 강찬수 기자

지난해 초미세먼지 오염도가 가장 높았던 부천시 내동 도시 대기오염 측정망. 작은 컨테이너 박스가 측정시설이다. 강찬수 기자

서울시립대 동종인 환경공학부 교수는 “서해안을 따라 미세먼지 오염이 심한 편인데, 특히 충남과 경기 남부는 화력발전소와 공업단지 등 자체 오염에다 중국 영향까지 있어 미세먼지 핫스팟(hot spot)이라고 봐야 한다”며 “동해안은 태백산맥 등 지형적인 영향으로 미세먼지 오염이 차단되고 동해에서 불어온 바람으로 오염이 희석되는 측면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명수 충남도청 미세먼지 대책과장은 “충남은 발전소·산업체 등과 자발적인 미세먼지 감축 협약을 확대하는 등 대책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말까지 100개 사업장과 자발적 협약을 맺는 게 목표다.

지난 3일 ‘대기 관리권역의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이 시행되면서 충남지역은 앞으로 대기관리권역에 들어가 특별관리를 받게 된다. 대기관리권역으로 지정되면 권역 내 중대형 사업장은 연도별 오염물질 배출량 허용량 내에서만 배출해야 하는 ‘배출량 총량 관리제’ 적용을 받게 된다. 총량관리 사업장에는 굴뚝 자동 측정기기(TMS)도 설치해야 한다. 경기 남부를 포함한 수도권 지역은 2005년부터 이 제도가 시행되고 있고, 이번에 중부권(충청·전북), 남부권(광주·전남), 동남권(경상)으로 확대됐다.

환경부 유승광 대기환경정책과장은 “국가 미세먼지 정보센터를 통해 지역별 오염 원인 등에 대한 상세한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오염대책의 비용-효과를 따져 우선순위를 결정해 지역 맞춤형 미세먼지 저감 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우선 충남도를 시범지역으로 지정해 지역 맞춤형 대책을 시작한 뒤 대상 지역을 확대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환경부는 지난해 12월부터 지난달까지 미세먼지 계절관리제를 시행한 결과, 전국 초미세먼지가 약 27% 줄었다고 밝혔다.

강찬수 환경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