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文, "4.3은 현대사의 큰 아픔"...제72주년 4·3추념식 참석

중앙일보

입력

제72주년 제주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이 추모사를 하고 있다. [사진 제주도]

제72주년 제주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이 추모사를 하고 있다. [사진 제주도]

제72주년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이 3일 오전 제주시 봉개동 4·3평화공원에서 거행됐다. 이날 추념식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 차원에서 역대 가장 적은 규모인 150여 명만 가운데 진행됐다.

문 대통령, 김정숙 여사와 2년만에 참석 #코로나 영향 참석자 150명으로 최소화 #지난 2일 생존 수형인 2명 재심 청구도 #

 행정안전부가 주최하고 제주도가 주관한 이번 추념식에는 4·3 생존 희생자와 유족, 도민, 여야 지도부, 각계 인사 등이 참석했다. 2018년부터 2년 연속 추념식 참석 인원은 1만5000여 명에 달했다. 대부분의 유가족은 이날 온라인과 동영상 등을 이용한 추모와 ‘사이버 참배’로 대신했다. 지난달 27일 5주기를 맞은 서해수호의날 기념식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역대 최소인 180여 명만 참석했다. 행사에는 당초 70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었다.

 위령 광장의 좌석은 각각 1m 간격으로 배치됐다. 공원 내 주요 시설 출입구에는 발열 검사를 위한 열 화상 카메라가 설치됐고, 곳곳에 체온계와 마스크, 손 소독제가 비치됐다.

 첫 순서로 제주 4·3특별법 개정 등의 염원을 담은 오프닝 영상이 상영됐다. 오전 10시가 되자 1분간 묵념 사이렌이 울렸다. 애국가는 제주 4·3 유적지의 모습이 담긴 영상 음악으로 대체됐다.

제72주년 제주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이 추모사를 하고 있다. [사진 제주도]

제72주년 제주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이 추모사를 하고 있다. [사진 제주도]

 문재인 대통령은 2018년 이후 2년 만에 이 행사에 왔다. 문 대통령은 15분간의 추모사를 통해 “4·3은 제주만의 슬픔이 아니라 대한민국 현대사의 큰 아픔”이라며 “시범 운영에 들어가는 ‘4·3트라우마센터’를 국립 트라우마센터로 승격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유가족 배·보상과 유해발굴·유전자 감식 노력도 계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제72주년 제주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과 원희룡 제주도지사가 추념식장으로 가걸어가고 있다. [사진 제주도]

제72주년 제주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과 원희룡 제주도지사가 추념식장으로 가걸어가고 있다. [사진 제주도]

 원희룡 제주도지사는 앞서 인사말을 통해 “2년 만에 다시 참석해 주신 문재인 대통령님 내외분, 감사드린다”고 인사하며 “제주 4·3의 완전한 해결의 시작은 국회의 4·3 특별법 개정안 통과”라고 말했다.

 제72주년 추념식 유족 사연은 김대호(제주 아라중 2) 군이 낭독했다. 김대호 군은 지난 1월 22일 4·3 평화재단이 연 ‘발굴 유해 신원 확인 보고회’ 당시 발굴된 고(故) 양지홍 희생자의 증손자다. 김 군은 할머니(양춘자)가 교사 출신 증조할아버지를 떠올리는 내용이 담긴 편지형식의 글을 작성했다. 교사였던 증조할아버지는 양춘자씨가 세 살 때 세상을 떠났다. 아버지 없이 고된 삶을 보내온 할머니의 심정과 미래세대로서 4·3에 대해 느끼는 감정을 읊자 일부 참석자들이 눈물을 쏟기도 했다. 이번 추념식에는 경찰 의장대가 최초로 참석, 헌화·분향 등 행사를 지원했다.

지난 2일 제주지방법원 앞에서 열린 제3차 제주 4·3 생존수형인 재심청구 기자회견에서 이재훈(90)옹이 발언하고 있다. 최충일 기자

지난 2일 제주지방법원 앞에서 열린 제3차 제주 4·3 생존수형인 재심청구 기자회견에서 이재훈(90)옹이 발언하고 있다. 최충일 기자

 한편 고태삼(91·제주시 구좌읍)·이재훈(90·제주시 조천읍)옹과 제주 4·3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한 도민연대는 지난 2일 제주지법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씨 등의 재심청구서를 법원에 접수했다. 이들은 내란죄 등으로 옥살이를 했다.

 이번 3차까지 재심을 청구한 4·3 생존 수형인은 총 28명이다. 이 중 4명이 별세했다. 1차(18명) 재심은 지난해 1월 공소기각 판결을 끌어내 배·보상 청구 소송에 들어갔다. 지난해 10월 청구한 2차(8명) 재심 재판은 아직 열리지 않고 있다.

제주=최충일 기자 choi.choongil@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