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이철재의 밀담] "비핵화 협상때도 은밀히 제작"···베일 벗은 北전술무기 4종

중앙일보

입력

이철재의 밀담’ 외 더 많은 상품도 함께 구독해보세요.

도 함께 구독하시겠어요?

노동신문 등 북한의 관영매체는 29일 강원도 원산 인근에서 발사한 단거리탄도미사일 추정 발사체가 ‘초대형 방사포’라고 30일 밝혔다. 초대형 방사포는 지난해 5월 4일 이후 북한이 16번 시험 사격한 전술 무기 4종 중 하나다.

비핵화 협상 기간 중에도 개발 열 올려 #핵탄두 탑재 가능, 북한 전략군 운용할 듯 #성주 사드 기지, 평택 캠프 험프리스 노려

북한은 대구경 방사포(19-2, 19-3), 초대형 방사포(19-5) 등 방사포 2종류와 북한판 이스칸데르(19-1), 북한판 에이태큼스(ATACMㆍ19-4) 등 단거리탄도미사일(SRBM) 2종류를 각각 선보였다.

대체적으로 사거리가 300㎞ 이하의 탄도미사일을 전술탄도미사일(TBM)이라고 부른다. 16번의 전술 무기 사격에서 가장 멀리 날아간 경우가 450㎞였다. 휴전선 가까이데서 쏘면 한국의 대부분을 타격할 수 있는 거리다.

김황록 전 국방정보본부장은 “북한은 2018년 두 차례의 북ㆍ미 정상회담과 비핵화 협상기간에도 신형 전술무기체계를 계획대로 은밀하게 제작해온 셈”이라고 설명했다.

이들 4가지 단거리 발사체는 저마다 쓰임새가 다르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①북한판 이스칸데르(19-1)
러시아의 SRBM인 9K720 이스탄데르와 비슷하게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별명이다. 지난해 5월 4일, 5월 9일, 7월 25일, 7월 31일 등 4번 발사됐다. 북한에선 ‘전술유도무기’, ‘화력타격수단’, ‘신형 전술유도무기’, ‘신형 전술유도탄’이라고 불렀다.

40㎞ 이하 고도에서 최고 속도 마하 6.9로 날아 최대 450㎞ 떨어진 지점에 탄착했다. 이동형 미사일 발사대(TEL) 트럭에 2발을 싣고 다닌다. 상대방의 요격을 피하기 위해 하강 단계에서 다시 상승하는 풀업(pull-up) 기동 능력도 갖춘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지난해 5월 4일 동해 해상에서 열린 화력타격훈련에서 '북한판 이스칸데르'라 불리는 19-1 미사일 발사 모습. [연합뉴스]

지난해 5월 4일 동해 해상에서 열린 화력타격훈련에서 '북한판 이스칸데르'라 불리는 19-1 미사일 발사 모습. [연합뉴스]

19-1 미사일은 탄도미사일을 다루는 북한 전략군 소속으로 추정된다. 미국 외교ㆍ안보 전문매체 더 디플로맷의 선임 에디터인 앤킷 판다에 따르면 북한판 이스칸데르 사진을 밝게 처리한 결과 표면에 ‘ㅈ’로 시작하는 일련번호가 나타났다. ‘ㅈ’는 전략군 또는 ‘전략 로켓(미사일)’를 뜻한다는 게 군 당국의 설명이다.

관련기사

류성엽 21세기군사연구소 전문연구위원은 “전략군 소속이라면 이 미사일에 핵탄두를 달 수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제프리 루이스 미국 미들버리 국제학연구소 비확산연구센터 소장도 19-1 미사일이 500㎏ 무게의 핵탄두를 싣고 최대 450㎞까지 날아갈 수 있다고 분석했다.

②북한판 에이태큼스(19-4)
미국의 전술탄도미사일인 에이태큼스와 비슷하다고 해서 이렇게 불린다. 지난해 8월 10일, 8월 16일, 지난 21일 등 3번 발사됐다. 북한에선 ‘새 무기’, ‘전술유도무기’라 불렀다. 50㎞ 이하 고도에서 최대 410㎞를 날아갔다. 무한궤도형 또는 바퀴형 TEL에서 쏜다. 지난 21일 발사 땐 19-1 미사일처럼 풀업 기동을 한 것으로 포착됐다.

북한이 지난해 8월 16일 쏘아올린 '북한판 에이태큼스' 발사체. [조선중앙TV 캡처=연합뉴스]

북한이 지난해 8월 16일 쏘아올린 '북한판 에이태큼스' 발사체. [조선중앙TV 캡처=연합뉴스]

북한 전문매체인 38노스는 19-4 미사일 역시 핵탄두를 달 수 있다고 평가했다. 류성엽 전문연구위원은 “19-1 미사일과 마찬가지로 전략군 소속으로 보인다”며 “19-1 미사일의 생산비가 비싸기 때문에 북한은 좀 더 싼 19-4 미사일을 개발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③대구경 방사포(19-2, 19-3)
지난해 7월 31일과 8월 2일 등 2번 발사됐다. 북한 관영 매체는 ‘신형 대구경 조종 방사포’라고 소개했다. 방사포에 유도 기능을 넣었기 때문에 ‘조종’을 이름에 넣은 것이다. 30㎞ 이하 고도에서 최대 250㎞를 날았다.

관련기사

그러나 군 당국은 각각 19-2와 19-3으로 분류하면서 ‘미상의 단거리탄도미사일’이란 설명을 달았다. 19-1을 쏘고선 새로운 무기인 것처럼 북한이 속였을 가능성을 제기한 것이다.

북한이 지난해 8월 2일(위)과 지난 29일(아래) 각각 쏘아올린 발사체 시험 장면. 북한은 지난해 8월 2일 발사체를 '대구경 조종 방사포'라고 표현한 반면 지난 29일 발사체를 '초대형 방사포'라고 발표했다. 하지만 두 개 발사체 모두 외형이 흡사하다.[노동신문 캡처=연합뉴스]

북한이 지난해 8월 2일(위)과 지난 29일(아래) 각각 쏘아올린 발사체 시험 장면. 북한은 지난해 8월 2일 발사체를 '대구경 조종 방사포'라고 표현한 반면 지난 29일 발사체를 '초대형 방사포'라고 발표했다. 하지만 두 개 발사체 모두 외형이 흡사하다.[노동신문 캡처=연합뉴스]

만일 북한의 주장대로 대구경 방사포가 실제 개발됐다면 전략군이 아닌 포병에게 돌아갈 것으로 예상된다.

사거리를 고려하면 충청권이 19-2, 19-3 방사포의 목표에 해당한다. 경기도 평택의 미군 기지인 캠프 험프리스, 스텔스 전투기인 F-35A가 있는 청주 기지, 3군 본부가 모여 있는 계룡대 등을 노렸다고 봐야 한다.

④초대형 방사포(19-5)
지난해 8월 24일, 9월 10일, 10월 31일, 11월 28일, 지난 2일, 9일, 29일 등 모두 6번 발사됐다. 북한은 ‘초대형 방사포’라고 불렀지만, 지난 2일과 9일 발사 땐 북한 관영매체가 ‘방사탄’이라고 보도했다. 최대 380㎞까지 날아간다. 고도는 지난해 97㎞→50~60㎞으로 낮추더니 올해 30㎞까지 내려갔다. 권용수 전 국방대 교수는 “레이더에 잘 걸리지 않도록 고도를 최대한 끌어내린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북한이 지난해 10월 31일 초대형 방사포 시험사격을 진행하는 모습. [조선중앙통신 캡처=연합뉴스]

북한이 지난해 10월 31일 초대형 방사포 시험사격을 진행하는 모습. [조선중앙통신 캡처=연합뉴스]

19-2, 19-3 방사포와 함께 북한군 포병의 주력 무기로 보인다. 19-2, 19-3보다는 고가치 목표물을 노릴 것으로 보인다. 주한미군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ㆍ사드) 체계 부대가 주둔한 성주까지 타격할 수 있다.

관련기사

30일 노동신문 보도에서 “국방과학원에서는 조선인민군 부대들에 인도되는 초대형 방사포의 전술 기술적 특성을 다시 한번 확증했다”고 표현한 점으로 미뤄 곧 실전배치를 앞뒀을 수 있다. 다만 북한 매체가 지난 29일 발사 장면이라고 공개한 사진을 보면 외형상 초대형 방사포가 아닌 대구경 조종 방사포에 가까워 보인다. 류성엽 전문위원은 “북한이 이들 2가지 무기 체계를 분석하는 데 혼선을 주는 등 의도적인 기만술을 벌이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철재ㆍ이근평 기자 seajay@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