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신종 코로나 ‘혐중’ 정서 확산…시진핑, 총선 전 방한 물건너가나

중앙일보

입력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해 12월 23일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정상회담 전 악수하고 있다. [뉴스1]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해 12월 23일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정상회담 전 악수하고 있다. [뉴스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상반기 한국 방문 일정에 변수로 떠올랐다.

신종 코로나 확산에 총선 유불리 달라져

외교부 당국자는 4일 “시 주석의 상반기 방한을 중국 측에서 진지하게 검토하고 있고, 방한 시기와 형식은 계속 협의 중”이라며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말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 당시 시 주석에게 내년 상반기 중 가까운 시일 내에 방한해 달라고 요청했고, 시 주석은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이후 정부 차원에서 중국 측과 구체적인 일정을 협의·조율 중이다.

그동안 청와대와 여권 중심으로는 시 주석이 가급적 4·15 총선 전 방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컸다. 시 주석의 방한이 성사되면 2016년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 체계 배치로 촉발된 양국 갈등을 푸는 계기가 될 수 있는 만큼 방한 효과 극대화를 위해선 총선 전 방문이 현 정부에 유리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시 주석이 방한 계기로 한한령(限韓令·한류 규제) 해제 ‘선물’을 안길 경우 정부의 상반기 ‘경제 살리기’에도 보탬이 될 것으로 봤다.

이 때문에 정부가 이미 확정된 시 주석의 일본 방문(4월) 이전에 한국을 단독 방문해줄 것을 중국 측에 요청했다는 말도 흘러나왔다. 중국 양회(兩會·인민대표대회와 정치협상회의)가 3월 18일 마무리되는 만큼 그 이후 ‘3월 방한설’이 돌기도 했다.

하지만 예상치 못한 신종 코로나 확산으로 시 주석의 조기 방한이 사실상 어려워졌다는 관측에 힘이 실리고 있다. 4일 현재 중국에선 신종 코로나 확진자가 2만 명을 넘어섰고, 사망자는 425명으로 집계됐다.

국내에서 혐중(嫌中) 정서가 확산하는 것도 정부로선 시 주석 조기 방한을 추진하는데 부담이 된 상황이다. 정부가 2일 후베이성 방문 외국인에 대한 입국 금지 조치를 발표했지만, 여론은 싸늘하다. 입국 제한 지역을 확대해야 한다는 요구가 거세다. ‘중국인 입국 금지’ 청와대 국민청원은 이날 현재 67만 명 이상이 동의했다.

향후 신종 코로나 확산 세가 국내에서 잡히더라도, 중국 내부 상황은 여전히 심각할 수 있어 혐중 분위기가 한 두달 내 가라앉긴 힘들 전망이다. 시 주석 측에서도 비상시국 상황에서 한국 방문을 곧바로 결정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실제 싱하이밍(邢海明) 신임 주한중국대사는 이날 서울 명동 중국대사관에서 가진 간담회에서 시 주석 방한 관련 질문에 “양국은 긴밀한 소통을 유지하고 있다”며 구체적인 답변을 피했다.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왼쪽부터), 문재인 대통령,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중앙포토]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왼쪽부터), 문재인 대통령,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중앙포토]

이 때문에 정부 안팎에선 시 주석 방한 시기를 놓고 이르면 4월 초 일본 방문 계기로 한국을 오거나, 총선 이후가 될 것으로 예상이 나오고 있다.

일본은 신종 코로나 확산에도 이미 확정한 시 주석의 4월 방일을 예정대로 진행할 방침이다.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신종 코로나로 인한 영향이 있다는 건 듣지 못했다”며 “예정대로 방일 준비를 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흥규 아주대 중국정책연구소장은 “방일 일정을 결정한 일본과 달리 우리는 방한 일정이 유동적이었고, 신종 코로나 확산 국면에서 대규모 중국 대표단의 방한은 우리도 피해야 한다”며“신종 코로나가 중국에서도 어느 정도 잡혀야 방한 일정을 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 외교 소식통은 “정부가 아무리 늦어도 7월 도쿄올림픽 이전엔 시 주석 방한을 성사시킬 것으로 본다”며 “정부가 시 주석 방한을 대북 정책의 지렛대로 활용하려는 계산도 있다. 올림픽이라는 대형 이벤트 이전 상반기 중 방한을 통해 북핵 문제를 진전시키려 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12월 23일 중국을 방문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왼쪽)가 베이징(北京) 인민대회당에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과 정상회담을 하기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12월 23일 중국을 방문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왼쪽)가 베이징(北京) 인민대회당에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과 정상회담을 하기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편 외교부는 이날 중국 여행경보 조정 관련해 “중국 지역에 따라 확진자 수 증가 등 구체적 상황을 주시하면서 여행경보 조정 문제를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인철 대변인은 여행경보 상향에 대해 “제1 기준은 국민 안전”이라며 “중국에 100만명 이상의 재외국민이 있는데 그분들이 철수하는 게 국민 안전에 맞는다고 생각하면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중국에 대한 총 500만 달러 상당의 긴급 지원 중 현재 약 30만 달러 상당이 방호복 등의 형태로 지원됐다고 설명했다.

백민정·이유정기자 baek.minje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