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비즈 칼럼] 수소경제 수출강국을 꿈꾸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수소 경제로 세계가 바쁘다. 새해 벽두에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소비자 가전 전시회(CES)에선 수소 드론, 수소 에너지 기반 도시 등이 주목을 받았다. CES 기간 중 만난 미국 수소 전문기업은 한국의 수소 경제 로드맵에 큰 관심을 보였다. 지난주 프랑스 파리에선 수소 기업들의 클럽인 ‘수소위원회’가 열렸다. 이 회의에선 맥킨지 컨설팅과 함께 10년 내 ‘반값 수소 경제’가 달성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수소 기업 대표들을 베르사유궁전 만찬에 초청해 투자 유치에 성심을 다했다는 후문이다.

15년 전 세계는 수소 에너지의 상용화 도전에 열광했다. 하지만 낮은 효율과 높은 가격 탓에 열기는 금방 사라졌다. 하지만 오늘날 수소 경제 열풍은 상황이 다르다. 과거와 비교하면 수소산업 전반에서 효율은 2배가 늘었고 가격은 3분의 1 수준이 됐다. 선진국들은 온실가스 감축의 효과적인 방안으로 수소를 채택하고 나섰다. 기술력과 경제성, 정책 목표까지 삼박자가 맞아 떨어진 것이다.

우리도 지난해 1월 수소 경제 로드맵을 수립했다. 그 후 1년, 수소차 판매와 연료전지 발전 규모, 신규 수소충전소 구축에서 모두 세계 1위로 3관왕을 달성했다. 첫 단추는 잘 끼웠고 속도도 붙고 있다. 다만 국내외 전문가들은 ‘안전하고 경쟁력 있는 수소산업 생태계’를 빨리 갖춰야 세계 수소 경제의 주도권을 잡을 수 있다고 말한다.

우선 지난해 발생한 사고의 뼈아픈 교훈을 되새겨 안전한 수소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야 한다. 수소 안전관리 종합대책에 따라 수소 전 주기에 걸쳐 정밀 진단과 관리를 시행한다. 세계 최초로 ‘수소법’도 제정됐다. 인프라 확충과 기술 국산화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마중물’ 격인 정부 예산은 지난해 대비 2000억원이 늘어 올해 5700억원을 지원한다. 특히 수소 분야 핵심 소재·부품·장비의 국산화를 통해 4만5000여 연관 기업들로 이뤄진 수소 생태계의 기술 경쟁력을 한층 높인다.

수소 경제의 비용 하락을 위해선 국산화만으로는 부족하다. 규모의 경제가 필요하다. 내수시장 규모가 작은 우리 특성상 수출도 함께 추진해야 한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의 성공 법칙이 그랬다. 놀랍게도 수소 산업 역시 이미 그 법칙을 따르고 있다. 수소차는 지난해까지 19개국에 1700대를 수출했다. 올해부터 2025년까지 10t 수소 트럭 1600대를 스위스로 수출한다. 수소 드론·연료전지도 수출이 가시화되면서 또 다른 수출 효자상품 등장에 기대가 크다.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가 수소 경제 수출 강국이 되는 것을 꿈꿔본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