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사탕수수를 씹고 있던 맨발의 소녀, 그 환한 눈빛

중앙일보

입력

[더,오래] 허호의 꿈을 찍는 사진관(6)

시골 장터를지나가다 우연히 만난 에티오피아 아이. 사탕수수를 간식으로 질겅질겅 씹고 있었다. [사진 허호]

시골 장터를지나가다 우연히 만난 에티오피아 아이. 사탕수수를 간식으로 질겅질겅 씹고 있었다. [사진 허호]

사랑한다고 말할 때, 그 사람의 진심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눈이죠. 눈을 보면, 진심을 알 수 있지요. 눈으로부터 사람의 감성적인 요소가 제일 많이 표현되고 가장 많은 정보가 얻어지니까요. 신체의 아주 작은 부분인데, 정말 신기하죠? 그래서 사진에서도 눈을 맞추는 게 정말 중요해요. 그만큼 인물 사진에서 눈이 중요하죠. 저 개인적으로 찍는 사람과 찍히는 사람이 온 감성으로 부딪쳐 대결하듯 찍는 사진을 ‘정공법’이라고 이름 붙였는데, 저는 이런 사진이 주는 힘이 얼마나 큰지 알고 있습니다.

에콰도르 고산지대를 갔는데 그곳 컴패션 어린이센터 어린이가 다 오타발로스 부족이었어요. 남미 원주민이었는데 그들의 언어인 케츄아어(Quechua語)를 사용하고 그들만의 복색과 문화도 물씬 느껴졌죠. 컴패션 교복을 똑같이 입었는데, 남자아이고, 여자아이고 다 긴 머리를 땋아서 성별 구분이 어려웠어요. 그 속에서 이 아이를 발견했죠. 눈빛부터 전체적으로 묘한 느낌이 있어서 그것이 무엇인지 끄집어내 사진에 담고 싶었죠.

정말 수십장 찍었어요. 아이도 처음에야 그냥 ‘모르는 외국인 아저씨가 왜 이렇게 많이 찍지?’ 그런 정도였을 거예요. 하지만 점차 저와 대결하는 구도가 만들어졌죠. 자신을 알리고자 하는 의도를 눈에 담고 온 감성으로 카메라와 부딪쳐 주었어요. 그것이 절정에 다다랐을 때 호흡이 탁 맞아떨어졌죠. 그렇게 나온 사진이에요. 나중에, 바지를 입은 것을 보고 나서야 남자아이인 것을 알았어요.

에콰도르 북부산간지대에서 만난 토착민 오타발로스(Otavalos) 컴패션 어린이.

에콰도르 북부산간지대에서 만난 토착민 오타발로스(Otavalos) 컴패션 어린이.

인물사진은 작자가 사진 찍을 당시의 감성을 담고 감상하는 이와 교감하기에 좀 더 나은 사진이라고 추천합니다. 당연히 정공법도 더 잘되고요. 하지만 여권사진이나 증명사진 찍을 때처럼 카메라 렌즈를 정확하게 본다고 다 정공법은 아닙니다. 사진에서 그 사람 자체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가깝습니다. 정공법은 작자와 찍히는 자 사이의 긴장 관계가 느껴지고 그것이 더 강하게 느껴질수록 좋습니다. 피사체가 자신의 모든 것을 표현해주고 발산해주는 거죠. 그게 사진에서 베이직이고, 또 제일 중요합니다.

에티오피아 시골에서 찍은 여자아이의 인물 사진도 그런 사진이죠. 먼저 아이가 신기해하면서 우리를 쳐다봤어요. 외국인들이 떼거리로 몰려가니 신기했겠죠. 한국 사람인 줄 알기나 했는지 모르겠네요. 그래서인지 저도 눈길이 갔어요. 낯설어하지 않고 정면으로 시선을 부딪쳐 오는 것도, 이국적인 정취가 물씬 나는 것도 흥미진진했죠. 특히나 맨발에 사탕수수를 간식으로 씹고 있는 모습이, 맨발에 배 내밀고 고구마 씹던 우리 어릴 때랑 다르지 않아, 정말 재미있었어요.

과테말라에서 찍은 한 컴패션 어린이의 아버지.

과테말라에서 찍은 한 컴패션 어린이의 아버지.

컴패션 현지의 가정방문을 가면 어린이만 만나는 게 아닙니다. 가족들을 만나죠. 자신들의 아이를 직접 후원하는 후원자들의 방문이 아니라도, 그들은 후원자가 온 것 자체를 엄청나게 특별하게 여기고 엄마들은 자주 울죠. 이 가정에서는 아이 아빠가 우리를 맞아주었어요. 아빠가 맞아주는 경우가 그리 많지는 않은데, 그나마 마음을 표현하려고 집에 있는 것만 봐도, 아빠의 부정이 꽤 깊다는 게 느껴지죠.

한국에서나 어디에서나 부모의 삶이라는 게 고단하잖아요. 그런데 이런 분들은 말해 뭐하겠어요. 오죽하면 자식을 컴패션에 넣었겠느냐고요. 일자리가 없는 경우가 허다하고 있다 해도 일용직. 새벽에 나가서 한밤중에 들어오는데 그 힘든 중노동을 하면서도 제대로 먹지 못할 거예요.

자식을 위해 먼 곳에서 귀한 손님이 왔다고, 아이 아빠가 잠깐의 짬을 내서 집에 달려오긴 했는데 우리를 맞을 때, 마냥 기쁘고 감사한 건 아니었을 거예요. 약간의 어정쩡함이 있었어요. 겸연쩍은 것 같은. 같은 아빠로서, 한 가정의 가장으로서, 아주 조금 더 많이 살아본 사람으로서… 충분히 이해하고 아프고 공감할 수 있는…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마음이 전해졌어요. ‘아이구, 참! 사는 거 쉽지 않아요, 잘하고 계세요.’ 이런 말이 툭 튀어나올 것 같은, 그런 심정이었어요. 사진에 담았죠. 바로 그 눈빛을요.

필리핀 남서부 팔라완 섬에 위치한 컴패션 태아∙영아생존센터. 그곳에서 돌봄 받고 있는 임산부들과 점심을 함께했다.

필리핀 남서부 팔라완 섬에 위치한 컴패션 태아∙영아생존센터. 그곳에서 돌봄 받고 있는 임산부들과 점심을 함께했다.

사물을 소재로 해서 정공법으로 찍을 수 있어요. 뭔가 대결하는 듯한 느낌이 들지 않나요. 이 한 접시와 책상을 샅샅이 훑어 모든 정보를 다 담아내겠다고 하고, 사물이지만 자신의 정수를 드러내 보여주겠다는 뭐 그런 감성이요. 이 한 접시의 음식을 만들고 먹는 사람들의 덕분이기도 합니다. 컴패션에서 만난 임신부와 아기 엄마들은 대부분 남편이 떠나거나 무기력한 십대였어요. 아기들을 어떻게 키워야 하는지도 모른 채 컴패션에 들어온 거죠. 직업훈련도 받고 읽고 쓰기도 배우지만, 사실, 아기 돌보는 법을 배우며 처음으로 자신도 돌봄 받는 경험을 해봤을 거예요. 두렵고 떨리지만 아기처럼 누군가에게 의지해서 막 걸음마를 시작한 듯한 엄마들의 마음이 음식에 담기게 됐습니다.

사진은 굉장히 효율적인 남김-기록의 수단이죠. 그리고 인간은 자기를 남기고 싶다는 기본적인 욕구가 굉장하고요. 그런 목적이라면 정공법이 가장 맞죠. 보는 사람도 온전히 볼 수 있게 해주니까요. 작고 여리고, 누군가의 도움이 없으면 당장 생계가 어려워지고 생명에까지 위협을 받는 어린이들이지만, 사진을 보세요. 온몸으로 자신을 표현해내는 또 한 생명이잖아요. 이 아이를 발견하고, 알아봐 주고, 자신의 개성을 온몸으로 표현할 때 그 순간 그 자리에 제가 있는 거, 한 생명이 이 세상에 살아있음을 남기는 증인이 될 수 있다는 것에 참 감사한 마음이 듭니다.

사진작가 theore_creator@joongang.co.kr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