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김해 아파트값 1243만원 내려갈 때 서울은 1억 올랐다

중앙일보

입력

올해 주택시장은 상반기 주춤했다가 하반기 이후 급격히 오른 '상저하고' 움직임을 보였다. 서울 시내 전경 [중앙포토]

올해 주택시장은 상반기 주춤했다가 하반기 이후 급격히 오른 '상저하고' 움직임을 보였다. 서울 시내 전경 [중앙포토]

‘상저하고’. 올해 주택시장의 흐름이다. 지난해 9ㆍ13대책의 여파로 상반기 주춤했다가 7월 이후 서울 재건축 시장을 중심으로 오르기 시작했다.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8억1357억원으로 1년 사이 약 1억원이 올랐다. 집값이 뛰자 정부는 더 강력한 대책을 내놨다. 올해 주택시장의 7가지 이슈를 숫자로 정리해봤다.

[숫자로 본 2019년 부동산] #경기침체ㆍ규제 뚫고 오른 서울 집값 #11채 이상 보유한 '집 부자' 3만명 #'청약포기' 30대가 매매시장 큰손 #보다 센 대책 발표, 향후 집값은

1(억원)

서울 서초구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전용면적 59㎡가 지난 8월 23억9000만원에 팔렸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3.3㎡당 실거래가 1억원 시대가 열렸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올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8억1357만원(11월 말 기준)이다. 정부 규제에도 지난해 말(7억1774억원) 대비 9582만원 올랐다. 수도권과 일부 광역시를 제외한 지방의 아파트 가격은 제자리이거나 하락했다. 지역 산업 기반이 위축되고 주택시장이 침체한 경남의 사천ㆍ김해ㆍ진주시 아파트 평균 매매 가격은 1년 사이 1200만원 이상 하락했다. 김해의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지난해 말(1억7026만원) 대비 1243만원 내려간 1억5783만원이다.

6.97(%)

주택 가격 상승에 따른 올해 개별주택 공시가격 상승률이다. 지역별 상승률 1위는 13.95% 오른 서울이다. 전국 공동주택(아파트) 공시가격은 지난해와 비슷한 5.24% 올랐다. 특히 서울 아파트값 공시가격 상승률은 14.02%다. 지난해 큰 폭으로 오른 아파트값이 반영되면서 전국에서 가장 많이 올랐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2007년 이후 12년 만에 최대 상승률이다. 공시가격은 보유세, 상속세 등 각종 세금을 산정하는 기준이다. 정부가 내년부터 9억원 이상 고가 주택을 중심으로 시세 대비 공시가 반영률(공시가격 현실화율)을 높이면서 세 부담은 크게 늘 것으로 예상한다.

30(대)

서울 아파트 연령대별 매입 건수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서울 아파트 연령대별 매입 건수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올해 새롭게 떠오른 아파트 매매시장의 큰손이다. 한국감정원의 ‘매입자 연령대별 거래현황’에 따르면 올해 들어 11월까지 30대가 서울 아파트 1만6664가구를 사들였다. 서울 아파트 매입자 중 30대 비율이 28.9%로 가장 높다. 전통적으로 주택 구매가 활발했던 40대(1만6391가구)와 50대(1만1227가구)보다 더 적극 ‘집 마련’에 나섰다는 게 특징이다. 청약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당첨 가점이 60~70점으로 높아진 탓이다. 청약 가점이 낮은 30대는 청약을 포기하고 기존 아파트 매매로 눈을 돌리고 있다. 박원갑 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집값이 더 오르면 앞으로 집 살 기회를 놓칠 수 있다는 불안감이 (30대에게)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322(개)

4년7개월 만에 부활한 민간아파트 분양가상한제를 적용 받는 동 수다. 지난달 6일 강남 4개 구와 마포ㆍ용산ㆍ성동ㆍ영등포구 등 8개 구, 27개 동만 지정됐다가 이달 16일 322개 동으로 적용 범위가 대폭 넓혀졌다. 집값이 급등한 강남뿐 아니라 정비사업 이슈가 있는 노원ㆍ동대문ㆍ성북구 등 서울 전역으로 확대됐다. 풍선효과로 수요가 몰린 과천ㆍ광명ㆍ하남시의 총 13개동도 포함됐다. 이곳은 분양을 받아도 최소 5년 이상 전매가 제한되고 2~3년은 거주해야 한다. 도리어 규제가 청약 경쟁을 불 지피고 있다. 앞으로 주택 공급 감소에 따른 우려와 함께 시세차익에 따른 ‘로또 분양’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기 때문이다.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적용 지역 확대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적용 지역 확대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1216(대책)

정부가 지난 16일 국토교통부와 기획재정부, 국세청 등 관계기관 합동으로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을 발표했다. 대출 제한뿐 아니라 보유세(재산세+종합부동산세) 강화, 분양가상한제 확대 등 각종 규제를 한꺼번에 쏟아냈다. 이번 정부 들어 18번째 대책이다.
이중 대출 규제가 가장 강력하다. 지난 23일부터 9억원 넘는 주택은 9억 초과분의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이 40%에서 20%로 줄었다. 15억원 초과 아파트는 대출이 금지된다. 사실상 빚내서는 강남권 진입이 막힌 셈이다. 서울에서 15억원 넘는 초고가 아파트의 80%가 몰린 곳이 강남 3구(강남ㆍ서초ㆍ송파구)다.

30200(명)

국세청이 지난 27일 공개한 ‘2019년 국세통계연보’에 따르면 주택을 11채 이상 보유한 ‘집 부자’ 수다. 지난 2018년 종합부동산세 신고자 기준이다. 1년 전 2만8547명보다 1626명(5.7%) 증가했다. 2주택 이상 다주택자는 26만5874명으로 전년(24만4470명)보다 2만1404명(8.7%) 늘었다. 다주택자는 이번 부동산 대책으로 세 부담이 커졌다. 공시가격과 종합부동산 세율이 동시에 인상되면서 내년 보유세가 올해보다 50% 이상 오를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정부가 퇴로는 열어줬다. 현재 조정대상 지역 내 다주택자가 10년 이상 보유한 주택을 파는 경우 양도세 중과가 내년 6월 말까지 한시적으로 유예해준다.

분양가상한제로 앞으로 아파트 물량이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청약시장에 자금이 몰리고 있다. [중앙포토]

분양가상한제로 앞으로 아파트 물량이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청약시장에 자금이 몰리고 있다. [중앙포토]

44220(가구)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올해 서울 입주 물량이다. 내년 예상 물량은 4만1683가구로 올해와 비슷하다. 국토교통부는 내년 1분기에만 1만6969가구가 입주해 전년 동기(1만4000가구)대비 25.3% 늘 것이라고 지난 24일 밝혔다. 하지만 부동산 전문가들은 부족한 입주 물량이 해결되지 않으면 집값 잡는 건 쉽지 않다고 입을 모은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대학원 교수는 “당장은 아니지만, 분양가상한제 시행으로 2021년부터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은 올해 절반 수준인 2만 가구로 줄 것”이라며 “수요보다 공급이 부족하면 가격은 오를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염지현 기자 yjh@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