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강갑생의 바퀴와 날개] 번호만 봐도 종류와 노선이 한 눈에…열차번호의 속뜻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2면

강갑생의 바퀴와 날개’ 외 더 많은 상품도 함께 구독해보세요.

도 함께 구독하시겠어요?

매일 운행하는 기차에는 각 운영사에서 나름의 열차번호를 붙인다. 이 번호에는 기차 종류와 노선 같은 정보가 담겨 있다. 사진은 KTX 운행 모습. [사진 코레일]

매일 운행하는 기차에는 각 운영사에서 나름의 열차번호를 붙인다. 이 번호에는 기차 종류와 노선 같은 정보가 담겨 있다. 사진은 KTX 운행 모습. [사진 코레일]

‘KTX 101’

고속열차는 세자리 번호 부여 #ITX-새마을, 무궁화는 네자리 #끝자리 홀수 하행, 짝수 상행 #KTX 101, 경부선 제1호 열차

이 영문과 숫자의 조합에서 KTX는 말 그대로 고속열차를 의미합니다. 뒤의 숫자는 매일 운행하는 기차마다 붙는 ‘열차번호’ 인데요. 철도운영사가 부여하는 열차번호에는 여러 정보가 담겨 있습니다.

코레일에선 우선 열차의 종류에 따라서 열차번호를 달리합니다. 고속열차와 일반열차는 물론 화물열차, 전철 모두 열차번호가 다 붙는데요. 우선 고속과 일반열차 위주로 확인해보면 고속열차는 세 자리 숫자를 사용하며 101~899번까지를 씁니다. 일반열차 중에서 가장 고급인 ITX-새마을은 1001~1199번이 부여됩니다. 무궁화호(누리로)는 1201~1999번까지를 사용합니다. 서울과 춘천을 주로 오가는 ITX-청춘에는 2001~2499번까지가 배정되어 있다네요. 통근 열차는 2701~2799번까지가 사용 가능합니다.

O-train(오 트레인)이나 V-train(브이 트레인) 같은 관광 열차에는 4800번대의 번호가 붙는데요. 참고로 화물열차는 컨테이너를 운반하는지, 일반화물 또는 위험물을 옮기는지에 따라서 3000번대에서 번호가 달리 부여됩니다.

이렇게 열차 종류에 따라서 열차번호가 크게 나뉘면 이후엔 노선에 따른 세부 구분이 이뤄집니다. KTX를 예로 들면 서울~부산을 오가는 경부선 고속열차는 101~174번을 사용하는데요. 경부선에서 주말에만 추가로 운행되는 KTX에는 201~222번이 별도로 부여된다고 합니다.

또 경부선이지만 고속선로가 아닌 예전의 경부선 철도를 경유해서 부산까지 가는 KTX에도 다른 번호가 붙는데요. 영등포와 수원을 거쳐서 가는 경부선 KTX에는 231~238번이 부여됩니다. 밀양과 구포 경유 KTX는 251~262번을 사용합니다. 이 노선에서 주말에만 추가되는 열차에는 271~276번이 붙습니다.

 노선별 KTX 열차번호. 그래픽=김은교 kim.eungyo@joongang.co.kr

노선별 KTX 열차번호. 그래픽=김은교 kim.eungyo@joongang.co.kr

대전과 동대구가 출발역이거나 종착역인 경우에는 281~286번이 쓰입니다. 일단 이렇게만 보면 경부선 KTX는 고속선로로만 다니는 열차는 100번대, 기존 경부선 철도를 거쳐서 가는 경우는 200번대의 번호가 붙는다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울에서 마산, 진주로 가는 경전선은 401~424번까지 사용하는데요. 역시 주말 편성 열차는 441~446번으로 조금 차이를 둡니다. 호남선은 500번대의 번호를 씁니다. 목포행은 501~532번을 사용하고, 광주송정역행은 541~548번이 부여됩니다. 여수엑스포로 가는 전라선은 700번대 번호를 쓰고, 2017년 말 개통한 강릉선 KTX는 800번대를 사용 중입니다.

2016년 말 개통해 수서역에서 부산과 목포를 오가는 수서고속열차인 SRT도 KTX와 마찬가지로 세 자리 숫자를 사용하는데요. KTX가 사용하지 않는 번호 대를 활용해 경부선(수서~부산)은 301~380번까지 쓰는데요. 호남선은 종착역에 따라 수서~광주송정은 601~622번을, 수서~목포는 651~668번을 붙입니다. 평일에 1회씩 동탄에서 수서까지 운행하는 출근열차는 690번입니다.

그리고 서울을 기준으로 지방으로 가는 열차(하행)는 홀수 번호를, 반대로 서울로 올라오는 열차(상행)는 짝수 번호를 사용합니다. 이런 규칙을 적용하면 ‘KTX 101’의 의미도 파악이 쉬운데요. KTX라는 표기가 없더라도 우선 열차번호가 세 자리 숫자이기 때문에 고속열차라는 걸 알 수 있는데요. 그리고 100번대 숫자이기 때문에 서울~부산 사이를 고속선로로만 간다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 끝자리가 홀수이기 때문에 서울에서 출발해 부산으로 가는 하행 열차라는 점도 파악 가능합니다. 게다가 KTX 101 열차에는 또 다른 의미가 한 가지 더 있습니다. 국내에서 운행하는 여객열차 가운데 ‘제1 열차’로 간주한다는 점입니다. 매일 가장 먼저 서울에서 부산으로 가는 열차이기 때문입니다.

KTX가 개통하기 전에는 서울에서 부산으로 가는 새마을호 첫차가 제1 열차의 지위를 누렸다고 하는데요. 코레일의 배은선 송탄역장이 출간한 ‘기차가 온다’(도서출판 지성사)에 따르면 광복 이전에는 대륙으로 향하는 가장 상징적인 열차가 제1 열차의 영광을 누렸다고 합니다.

ITX-새마을과 무궁화호 역시 노선에 따라서 번호를 달리 구분합니다. 예를 들어 ITX-새마을은 경부선에선 1001~1030번을 사용하고 목포행은 1101~1104번, 광주행은 1111~1118번을 씁니다. 무궁화호도 경부선은 1201~1250번을, 호남선은 1400번대를 부여받는다고 합니다.

코레일 수송운영처의 이석규 과장은 “열차번호의 의미를 알고 있으면 복잡한 역에서 자신이 타야 할 기차를 혼동하는 일이 훨씬 줄어들 것”이라고 말합니다. 실제로 열차가 늦어지는 경우 원래 출발시각에 다른 기차가 해당 플랫폼에 들어오는 일이 종종 생기는데요. 이때 열차번호만 제대로 확인해도 엉뚱한 열차를 타는 일은 없을 듯합니다.

무엇보다 열차번호에 담긴 의미와 정보를 잘 담아두고, 나름대로 해석도 해보면 기차 여행의 또 다른 재미가 생기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강갑생 교통전문기자 kkskk@joongang.co.kr

강갑생의 바퀴와 날개.

강갑생의 바퀴와 날개.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