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청년 머릿속 1순위 '취업'…휴학·인턴도 잘 살수록 많이 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삼포세대'와 '오포세대' 등으로 일컬어지며 '헬조선'을 외치는 젊은이들에게 가장 간절하고 중요한 건 일자리였다. 집과 결혼은 그다음 순위였다. 구직과 내 집 마련은 쉽지 않았지만 그래도 서울에 살기를 원했다.

 18일 발표한 서울시 청년 실태조사 결과를 통해 엿본 청년들의 마음은 이랬다. 서울시는 만 19세부터 39세 청년 1만명을 상대로 조사를 진행했다. 이번 조사에는 경기도와 인천에 살면서 서울로 출퇴근하거나 서울에 있는 학교에 다니고 있는 청년 1000명도 참여했다.

[사진 중앙포토]

[사진 중앙포토]

 삶의 우선순위에는 일자리가 놓였다.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을 묻는 말에 청년들은 '원하는 일자리(28.3%)를 갖는 것'을 제일 먼저 꼽았다. '원하는 주거에서 사는 것(28.2%)'이 그 뒤를 이었다. 직장과 집이 삶의 우선순위 최상단에 자리 잡고 있는 셈이다.

 팍팍한 현실, 고단한 일상에 '사랑'은 사치로 여겨졌다. '연애와 결혼(16.2%)', 그리고 '아이를 낳고 키우는 것(9.8%)'을 선택한 응답자들은 많지 않았다.

청년의 오늘은 일, 일

 학업과 취업이란 과제를 품고 사는 청년들이 꼽은 '취업'의 성공 요인은 뭘까. 첫손에 꼽힌 것은 이른바 '학벌'인 '학력 또는 명성 있는 대학 졸업(33.5%)'이었다. 업무 관련 자격증(23.4%)이나 인턴·아르바이트 등 직무 경험(13.9%)은 그 뒤를 이었다.

 서울 청년들은 취업 준비를 위해서 휴학을 하고(30.7%), 기업이나 공공기관에서 인턴을 해본 것(30%)으로 나타났다. 공시 시험 준비를 해본 사람은 19.9%에 달했다.

 취업 준비와 관련해 눈에 띄는 것은 본인의 경제적 지위 인식이었다. 경제적으로 '상층'에 속한다고 답한 서울 청년은 휴학(37.5%)과 인턴(39.2%), 공시 준비(27%)를 해봤다는 응답자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반면 본인이 경제적으로 '하층'에 있다고 답한 청년들의 경우 휴학(27.1%) 경험을 비롯해 인턴십(25.5%)과 공시 준비(17.5%)에서 모두 상층에 속하는 청년층보다 10% 포인트 이상 낮았다.

 어렵게 취업에 성공해도 일자리에 크게 만족하지는 않았다. 서울 청년의 67.2%가 이직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61.3%의 응답자가 이직의 이유로 '더 나은 보수(복지)'를 꼽았다. 서울 청년들의 첫 월급은 169만 7000원이었다. 청년들의 현재 급여는 271만 6000원으로 조사됐다.

취업 박람회에 몰린 청년들 [사진 중앙포토]

취업 박람회에 몰린 청년들 [사진 중앙포토]

어쩌다 캥거루, 그래도 서울

부모의 경제 계층이 높다(상층)고 답한 청년과 낮다(하층)고 답한 청년의 급여는 44만원 차이가 났다. 부모와 함께 살고 있다고 답한 청년 중 절반 이상이 아파트(56.7%)에 살고 있었다. 자가(46.3%)인 경우가 전세(31.1%)보다 높았고 월세(20.5%)도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

부모와 함께 살지 않는 경우 집을 소유한 경우는 29.9%에 불과했다. 부모님과 함께 살지 않는 청년세대들의 주거비 부담은 3.57점(5점 만점·보통 3점) 다소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내 집 마련'에 대한 자신감은 2.64점으로 낮은 편으로 분석됐다. 특히 25~29세 여성 청년들의 자신감이 2.46점으로 가장 낮았다.

청년들은 그래도 서울에 살기를 바랐다. 계속 살겠다는 답은 69.9%에 달했다. 경기와 인천에서 서울로 출퇴근하거나 통학하는 청년들의 서울 이주 의향(42.8%)도 높게 나타났다.

어려운 결혼

서울 청년들에게 결혼은 어려운 일이다. 결혼(3.68점)과 출산(3.58점)에 관해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성세대는 청년세대보다 결혼(2.79점)과 출산(2.74점)에 대해 상대적으로 부담이 낮았다. 앞으로 출산 의향이 있느냐는 항목에 대해서는 청년의 39.7%만이 그렇다고 답했다. 대체로 남성이 여성보다 출산 의향이 높았지만 35~39세(34.6%)의 남성의 응답이 가장 낮은 것도 눈에 띄었다.

기댈 수 있는 친구?

서울 청년은 어려움에 부닥칠 때 기댈 수 있는 사람으로 부모(52.4%)를 가장 먼저 꼽았다. 기댈 수 있는 친구는 3.3명, '기댈 수 있는 사람이 없다'고 말한 응답자도 11%에 달했다.

한편 서울시는 이번 조사를 계기로 청년의 시정 참여를 확대하고 시정 전반에 세대 간 형평성 개념을 도입하기 위해 '세대균형 지표 개발'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김현예 기자 hyk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