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文 대통령 주목한 '1인 가구'… 2047년 10가구 중 4가구 '최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문재인 대통령(오른쪽 둘째)이 지난 13일 청와대에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 두번째)으로부터 2020년 경제정책방향에 대해 보고받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1인 가구를 위한 정책종합패키지를 만들라"고 지시했다. [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오른쪽 둘째)이 지난 13일 청와대에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 두번째)으로부터 2020년 경제정책방향에 대해 보고받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1인 가구를 위한 정책종합패키지를 만들라"고 지시했다. [청와대]

2047년 초등학교 교과서엔 부모ㆍ자녀가 어울리는 가족 모습 대신 ‘1인 가구’가 자연스럽게 등장할 수도 있다. 10가구 중 4가구꼴로 1인 가구일 전망이라서다. 문재인 대통령이 관련 대책 마련을 주문한 이유이기도 하다.

통계청은 16일 이런 내용을 포함한 ‘시도별 장래가구 특별추계(2017~2047년)’ 결과를 발표했다. 추계는 장래 가구 규모ㆍ유형ㆍ구조를 전망하는 통계다. 5년 주기로 작성한다. 2022년 발표할 예정이었지만 인구 추계 개편에 따라 올해 나왔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추계에 따르면 총가구 수는 2017년(1957만 가구)부터 줄곧 늘다 2040년(2265만 가구) ‘정점’을 찍는다. 이후 감소하기 시작해 2047년엔 2230만 가구로 쪼그라들 전망이다. 1인 가구가 늘면서 가구 수는 부침을 겪지만, 평균 가구원 수는 2017년 2.48명에서 2047년 2.03명으로 계속 줄어든다.

주목할 만한 부분이 1인 가구의 증가세다. 1인 가구는 비혼(非婚) 가구와 배우자 사망 등으로 인한 경우를 포함한다. 2017년엔 부부+자녀 가구(31.4%)나 부부 가구(15.8%), 부(모)+자녀(10.2%) 등을 포함한 ‘친족 가구’가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69.9%를 차지했다. 1인 가구 비중은 28.5%였다. 그런데 2047년엔 친족 가구 비중이 61%로 줄고 1인 가구 비중이 37.3%로 늘어난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2047년엔 모든 시ㆍ도에서 1인 가구가 가장 주된 가구를 차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시ㆍ도별로는 2047년 강원(41.9%)ㆍ충북(41.8%)ㆍ대전(41.7%)ㆍ충남(40.6%)ㆍ전북(40.5%)ㆍ경북(40.2%) 등 7개 시도의 1인 가구 비중이 40%를 넘길 전망이다. 강원(1.86명)ㆍ전남(1.9명)ㆍ경북(1.91명)ㆍ부산(1.94명)ㆍ대전(1.99명) 등 9개 시ㆍ도의 평균 가구원 수는 2명 밑으로 떨어진다. 가구원 수가 가장 많은 시도는 세종(2.28명)으로 전망됐다. 서울은 2.03명이다.

결혼하더라도 아이를 낳지 않는 ‘부부 가구’ 비중이 꾸준히 늘어나는 것도 특징이다. 전체 가구 중 부부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7년 15.8%에서 2047년 21.5%로 증가할 전망이다. 부부+자녀 가구 비중은 2047년 세종(22%)을 제외한 모든 시ㆍ도에서 20% 미만으로 떨어진다.

가장(家長)이 여성인 ‘여성 시대’도 본격적으로 펼쳐진다. 2017년 30.4%였던 여성 가구주 비중이 2047년엔 39.2%로 증가한다. 10가구 중 4가구꼴로 여성이 가장이란 얘기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3일 “1인 가구의 급속한 증가로 주거정책ㆍ사회복지정책 등 기존 4인 가구 기준이었던 정책 변화가 필요한 게 아닌가”라며 “1인 가구를 위한 정책 종합패키지를 만들라”고 지시했다. 이날 청와대에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으로부터 ‘2020년 경제정책 방향’의 주요 내용에 대한 정례보고를 받은 자리에서다.

세종=김기환 기자 khk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