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2020 경제전망]내년 경제는 오리무중·고군분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오리무중(五里霧中)과 고군분투(孤軍奮鬪).

이근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등 국내 경제 석학 43명은 최근 내년 한국 경제를 둘러싼 핵심 키워드로 이 두 단어를 제시했다. 지난해 이들은 올해를 전망하며 ‘내우외환’(內憂外患)을 키워드로 제시했는데, 그나마 이보다는 한국경제에 대한 우려의 정도가 덜하다.

이근 교수는 “내년 한국경제는 올해보다는 나아지겠지만, 내우외환의 여파가 이어질 예상”이라며 “세계 경제의 오리무중 속에서 경제성장률 전망치와 수출 증가율의 감소, 각종 투자의 정체 및 감소, 성장 없이 일부 고용지표만 개선되는 ‘성장 없는 고용’ 을 맞닥뜨리며 고군분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미국과 중국 간 경제협상 타결, 이에 따른 수출 회복, 5G 혁신에 따른 반도체 업계 회복 등의 전제가 받쳐준다면 한국 경제는 내년 상반기까지 침체를 겪은 후 하반기부터 조금씩 회복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국내 주요 국책연구기관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국제기구의 시각도 비슷하다. 이들은 한국경제가 내년 2.2~2.3%의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2% 성장률 달성이 어려운 올해보다는 낫지만, 완연한 회복이라고 판단하기는 힘든 수치다. 구체적으로 한국은행·한국개발연구원(KDI)·산업연구원·OECD는 2.3% 금융연구원·IMF는 2.2% 등이다.

우선 한국의 성장동력인 수출은 올해 전년 대비 ‘마이너스’ 행진에서 벗어나 ‘플러스’로 전환할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연구원은 내년 수출이 올해 대비 2.5% 증가할 것으로 봤다. 올해 내내 부진했기 때문에 생기는 기저효과에 세계 경제 둔화세가 진정되고 반도체 시장도 개선된다는 게 근거다. 다만 수입 증가율이 3.3%로 더 늘다 보니 무역수지의 경우 흑자 규모가 387억 달러로 올해보다 줄 것으로 예상된다. 무역 규모 역시 수출이 역대 최고를 기록했던 2018년 수준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측됐다.

주요 기관의 내년도 경제 지표 전망. 그래픽=신재민 기자

주요 기관의 내년도 경제 지표 전망. 그래픽=신재민 기자

"내년 2.3% 성장"…솔솔 나오는 '경기 바닥론'

민간소비와 설비투자도 미약하지만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시장이자율 하락에 따른 이자 부담 완화, 정부의 확장적 재정정책에 힘입어서다. KDI는 내년 설비투자가 반도체 수요회복과 기저효과에 따라 올해 -7%에서 내년 8% 증가세로 전환할 것으로 전망했다. 건설투자는 내년에도 3.1% 줄어들 것으로 보이지만, 정부가 생활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을 확대 편성한 덕에 올해(-4.1%)보다는 감소 폭이 줄 것으로 예상했다. 민간소비는 올해(1.9%)보다 소폭 높은 2.1%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KDI는 대내적으로는 기대인플레이션의 하락으로 실질금리가 상승할 경우 내수가 확 좋아지긴 힘들기 때문에 경기 회복이 지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OECD는 “물가 상승률이 목표치인 2%를 하회하고 있고 경제 활동이 활력을 잃으면서 내년에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투자는 점차 안정화될 것으로 보이며, 공공부문 일자리 확대 등을 통해 고용증가세가 유지될 전망”이라고 진단했다.

부정 일변도였던 예전과 달리 최근 주요 지표에서 긍정·부정 신호가 동시에 나타나면서 경기 바닥론도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김성태 KDI 경제전망실장은 "최근 동행지수 순환변동치가 횡보하고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등 심리지표가 반등했다"면서 "대외 부문이 갑작스럽게 나빠지지 않으면 우리 경제가 지금 저점 근방에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민간서는 내년 1%대 성장률…민관 '동상이몽' 

변수는 대외 불확실성이다. 세계 경제는 내년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우리의 최대 교역국인 미국(OECD 전망. 올해 2.3%→내년 2%)과 중국(6.2%→5.7%)은 성장세가 동반 둔화할 전망이다. 전체 수출의 40% 가까이를 차지하는 미·중 양국이 부진하면 우리 경제의 회복도 제한적인 수준에 머물 가능성이 크다. 우리나라 수출의 20% 정도를 차지하는 반도체 경기 역시  회복세를 점치는 기관이 많지만, 이들이 예상하는 반등 시점은 갈수록 조금씩 늦춰지고 있다. 여기에 미·중 무역갈등, 브렉시트 등의 리스크도 여전하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연구기관장·투자은행 전문가 간담회에서 “대내외 여건 불확실성과 잠재적 리스크 요인을 감안하면 내년 경제 회복의 정도를 가늠하기란 쉽지 않다”고 말한 배경이기도 하다.

내년 성장률 놓고 민관 동상이몽. 그래픽=신재민 기자

내년 성장률 놓고 민관 동상이몽. 그래픽=신재민 기자

이런 점에서 내년 한국 경제를 비관적으로 보는 민간기관도 적지 않다. LG경제연구원은 내년에도 세계교역 둔화 추세가 이어지고 반도체 경기가 살아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면서 내년 성장률로 올해 전망보다 낮은 1.8%로 제시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경제여건이 허약해지고, 성장 동력을 찾기 힘들다면서 1.9%로 내다봤다. 뱅크오브아메리카-메릴린치(BoA-ML)와 모건스탠리 같은 해외 투자은행(IB)도 내년 경제가 각각 1.6%·1.7%로 더 악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아직 경기 바닥을 점치기 어렵다는 의미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한국 경제가 다시 회복세를 탈 가능성이 높지만, 중국·인도 성장세 둔화에 수출이 다시 부진해지거나 기업 투자가 늘지 못할 경우 더블딥에 빠질 수도 있다"며 "한국 경제는 2013년에서 2015년 상반기 사이 경기가 잠시 회복 흐름을 보이다 다시 가라앉는 더블딥을 경험했다"고 설명했다.

국제기구와 정부·유관기관의 전망은 본래 목표치에 가까운 데다, 경기침체기에는 경제 심리 위축을 더욱 의식할 수밖에 없다. 반면 민간기관들이 내는 수치는 기업의 사업계획에 활용되는 경우가 많아 좀 더 부정적인 편이다. 양측에서 내년 성장률을 두고 ‘동상이몽’(同床異夢)이 나타나는 이유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내년 2.3%의 성장률을 전망한 한국은행 등의 경제전망은 이뤄졌으면 하는 바람을 담은 희망치로 보인다”라며 “세계 경기와 수출이 부진하고, 생산과 소득이 감소하는 점을 고려하면 민간소비 및 설비투자 증가율이 낙관적인 수치가 아닌가 싶다”라고 평가했다.
이처럼 내년 한국 경제가 각종 대외 변수에 이리저리 휘둘리는 모양새가 예상되다 보니 성장률뿐만 아니라, 내년 원·달러 환율, 물가 등 주요 지표에 대한 전망도 주요 기관마다 엇갈리고 있다.

L자형 경제 흐름…일본 같은 '잃어버린 20년' 우려

경제학자들은 단순한 지표의 수치보다는 우리 경제의 방향성과 흐름에 더 주목하고 있다. 이들은 내년 경기가 개선돼라도 경기저점을 찍은 후 반등하는 ‘V자형’·‘U자형’보다 침체가 계속 이어지는 ‘L자형’에 가까운 흐름으로 전개될 것이라는 데 무게를 두고 있다. 생산가능 인구 감소 추세에 따라 잠재성장률이 구조적으로 낮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물가상승률은 사상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세금을 쏟아부은 정부 지출을 제외하면 경기를 끌어올릴 만한 확실한 ‘한방’을 찾기 힘들다. 결국 1990년대 이후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처럼 저성장·저물가 기조로 가게 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2020년 산업전망 기상도.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2020년 산업전망 기상도.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한국경제학회의 이인실(서강대 경제대학원 교수) 회장은 “2년 정도의 경기변동 주기를 감안해 타이밍상 경기 바닥론 얘기가 나오는 것 같다”며 “내년 성장률이 올해보다 다소 나아지더라도 이는 부진이 길어지면서 나타나는 기저효과 측면이 크기 때문에 (경기 바닥을) 섣불리 판단해선 곤란하다”라고 설명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국내총생산(GDP) 디플레이터가 계속 마이너스라는 점에서 사실상 수요 부진에 따른 디플레이션이 진행 중인 것으로 봐야 한다”며 “선제적인 통화·재정정책과 함께 적극적인 구조개선 노력이 병행돼야 L자형 흐름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손해용 경제에디터 sohn.y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