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노트북을 열며

신화의 끝, 교훈의 시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2면

전영선 기자 중앙일보 팀장
전영선 산업1팀 기자

전영선 산업1팀 기자

신화(神話·myth)가 아니었으면 훨씬 좋았을 것이다. 대우그룹 창업주 김우중 전 회장의 부고에 그의 발자취를 다시 들여다보며 든 생각이다. ‘샐러리맨의 신화’가 지자 각계에서 추모가 한창이다. 며칠 새 페이스북 등 각종 소셜미디어 타임라인에서 고인과의 여러 추억이 공개되기도 했다. 일반인 조문객 행렬도 이어지고 있다. 쓸쓸했다는 그의 말년을 생각할 때 가시는 길이 조금 덜 외로울 것 같다.

다만 김우중 신화의 의미에 대해서는 짚고 넘어가야 한다. 신화는 과거로부터 전승되는 일종의 종교적 체계, 하지만 현재에는 적용할 수 없는 옛 얘기다. 한 사회가 과거를 효율적으로 기억할 수 있도록 해주고 이 바탕에서 문화가 자란다. 김우중 회장의 삶이 ‘신화’로 표현되는 것은 그래서 여러모로 적합하다. 김우중은 영감의 대상일지언정, 더는 그의 방식을 따를 수는 없다.

고인이 이룬 업적을 뒤돌아보면, 대단하다고밖에 할 수 없는 것이 많다. 500만원을 쥐고 시작한 사업을 불과 몇 년 만에 1억 달러 수출탑을 자랑하는 기업으로 키우는 일은 아무나 할 수 없다. 결단력과 용기도 그의 특장점이었다.

노트북을 열며 12/12

노트북을 열며 12/12

그러나 딱 여기까지다. 모든 신화가 그렇듯, 경계해야 할 것은 지나친 미화와 선택적 망각이다. 대우그룹의 실패는 아직 한국 경제에, 사회에 아프게 기록돼 있다. 대우그룹 해체 이후 대우조선해양에 투입된 천문학적 공적자금은 이중 꽤 큰 상처다. 그 병든 거인은 한국 조선업의 운명을 쥐고 있다. GM에 매각된 대우자동차는 20년째 생존 투쟁 중이다. 김 회장에게 17조9253억원이라는 거액의 추징금이 부과되고, 이 중 0.5%만 납부한 것도 엄연한 사실이다.

그의 영전에서 할 일은 재계 서열 2위 그룹이 무너진 과정을 복기하면서 사회에 남긴 교훈을 되새기는 것 아닐까. 외환위기를 통해 우리는 대단한 도전을 할 때도 투명함과 준법의식이 매우 중요함을 비싼 수업료를 내고 배웠다. 당시 정권의 탄압이 있었다는 설도 제기되지만, 설령 부분적으로 그렇다고 하더라도 본질은 대우의 과도한 부채와 타이밍을 놓친 구조조정, 잘못된 경영적 선택이라고 보는 게 맞다. 영광은 영광대로, 실패는 실패대로 기록해야 한다.

김우중, 혹은 대우그룹이 신화가 아닌 펄펄 살아 뛰는 현재진행형 성장담이었더라면 훨씬 좋았겠다. 아쉽지만 이는 이루지 못한 꿈이다. 늘 그렇듯, 거물의 공과는 몇 마디로 단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할 일은 많고 세계조차 비좁다고 한 김 회장이 편히 쉬시길, 그의 명복을 진심으로 빈다.

전영선 산업1팀 기자